삼성동(관악구)
1. 개요
관악구 신림동(법정동)의 행정동. 호암로를 기준으로 대학동 서쪽에 있으며 서쪽 난곡동/남서쪽 난향동과는 언덕을 끼고 있다. 주민센터는 호암로 589에 있다.
면적은 3.05km2이지만 대부분이 산지로 실거주 면적은 0.7km2 가량이다. 남북으로 길지만 동서로 좁아서 인근 서림동, 대학동과 실거주 면적은 비슷한 정도.
호암로가 동을 J자 모양으로 지난다. 원신초, 광신중, 광신고, 광신정보고, 신우초, 천주교 삼성산성지가 있다.
동 대부분이 1~2층의 낮은 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호암로에 바로 맞닿은 건물만이 4~5층 정도의 건물이 들어서있다. 이 때문에 호암로 너머의 대학동이나 서림동과는 다소 분위기가 다른 편. 신림뉴타운 계획 중이다.
강남구 삼성동(三成洞)과 음은 같지만 한자는 다르다(三聖洞). 삼성산에서 따 왔다. 삼성초, 중, 고등학교는 모두 동쪽 옆동네 대학동에 있다. 이름의 유래는 삼성산으로 동일하다.
이 일대에서는 신림시장이 유명하여 '(신림)시장쪽 동네' 식으로 언급할 때가 많다. 이는 대학동을 '녹두', '고시촌'이라고 주로 언급하는 것과 비슷하다.
2. 역사
- 조선시대 : 경기도 시흥군 동면 신림리
- 1914년 4월 1일 : 경기도 시흥군 동면 신림리
- 1963년 1월 1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림동
- 1970년 5월 18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림2동
- 1973년 7월 1일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2동
- 1975년 10월 1일 : 신림6동이 신림2동에서 분동
- 1980년 7월 1일 : 신림10동이 신림6동에서 분동
- 2008년 9월 1일 : 신림6동과 신림10동을 삼성동으로 통합
신림6동이었다가 1980년에 대략 미림여고 즈음을 남북으로 남쪽이 신림10동으로 분리되었으나 구 지도 2008년 다시 통합되면서 삼성동으로 개칭되었다.
3. 강남구 삼성동과의 혼동
신사동과 마찬가지로 짝퉁 삼성동이라는 비아냥마저 듣고 있다. 실제로 이것 때문에 강남구가 관악구를 상대로 권한쟁의를 걸었다. 2008헌라4. 당시 헌재는 "동 명칭이 지방자치단체의 정체성과 불가분의 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지자체와 다른 지자체의 관계에서 어느 지자체가 특정한 행정동 명칭을 독점적, 배타적으로 사용할 권한이 있다고 볼 수는 없다"고 결론지었다.
역사성을 강조해서 조선시대 이 지역에 있었던 자연부락인 자하동의 이름을 따 개칭했다면 더 좋았을 수도 있다.
4. 도로와 동 세부 구분
[image]
- 주요도로
- 마을도로 (북→남)
- 양산길(~3길)
- 방천길
- 양지길(~17길)
- 태흥길
- 성림길(~3길)
- 동마길
- 밤골길
- 호암로18길
- 호암로16길
- 약수암길(~1길)
- 신우길: 약수암길 위에 있다(사진 누락).
호암로를 쭉 타고 삼성산 주공아파트 방향으로 가다보면 난향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우회전을 하면 관악산휴먼시아, 난향동이 나온다.
삼성동은 대략 몇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 양산길/방천길 일대 (북쪽의 신림 현대아파트(서림동) 바로 남쪽)
- 중심의 원신길 북부(0~150 즈음, 1~6길) + 양지길 일대
- 광신길 일대 (삼성산 주공아파트)
- 원신길 중부(150~250, 7~8길) + 태흥길, 성림길, 동마길, 밤골길 일대
- 원신길 남부(250~300, 9~10길)
- 호암로16길, 호암로18길 일대 (미림여고 남쪽)
- 약수암길, 신우길 일대
지번은 주로 신림동 300번대로 붙어있다. 대체로 남쪽에서부터 북쪽으로 숫자가 커지는 경향성을 보인다.
5. 교통
5.1. 호암로
- 서울 버스 152
- 서울 버스 506 (서울대 정문 회차)
- 서울 버스 5522
- 서울 버스 6515
5.2. 원신길~광신길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