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하 문자

 



西 / Tangut script
[image]
1. 소개
2.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1. 소개



탕구트족 계통의 국가인 서하(西夏)에서 쓰인 표어문자. 서하어를 표기하는 데 쓰였다. 초대 황제 이원호(李元昊) 때 제정되었다.
거란 문자, 여진 문자와 같이 한자에서 모티브를 따왔으나 훨씬 복잡하다. 거란 문자와 여진 문자는 기본적으로 한자를 변형하고 보충하여 넓은 의미에서 한자로 볼 수 있는 문자이다. 하지만 서하 문자는 글자를 만드는 원리는 본땄을지언정 '''구성 요소들은 근본적으로 새로 만들어서''' 한자로 분류할 수 없는 수준이며 서하 문자는 한자보다 '''획수가 미친듯이 많다.''' 거란 문자와 여진 문자는 한자의 모양을 그대로 따오고 소리만 다른 경우도 많지만, 서하 문자는 새로 만든 추상화된 기호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것들을 합하여 문자를 이룬다.
재미있게도 문자로 중국을 대차게 까고 있다. 서하 문자에는 한자의 부수개념에 해당하는 부호들이 있는데 중국을 나타내는 글자를 구성하는 이 부수부호는 「작다」라는 부호와 「벌레」라는 부호를 합친 것이다. 한자에서 주변 '오랑캐'들을 나타내는 문자들 중에 비하하는 게 많은데 서하가 자기네 문자로 카운터 어택을 날린 셈이다.
표어문자에 해당하며, 문자 수는 이체자를 제외하고 5,800여개이다. 서하국은 1227년에 망했으나, 명나라 말기까지는 옛 탕구트의 후예들이 서하 문자를 간간히 사용했다. 현존하는 서하문 중 가장 최근 것은 1502년에 제작된 석당(石幢)이다.
이미 사멸한 문자이지만, 이런저런 자료들이 많아 남아 있어서 거란, 여진 문자보다는 더 잘 연구된 편으로 중국일본에 전문 연구자들이 있다. 국내에서도 외대와 광운대에 서하 문자 사전이 비치되어 있으니 관심있는 분들은 찾아보기 바란다. 2016년 6월 기준 유니코드 9.0에 추가되었다(U+17000 ~ U+18AFF 영역).
사실 서하인은 표음문자표의문자보다 쓰기 편하다는 사실은 진작에 알고 있었다. 실제로 서하인은 티베트 문자데바나가리 문자로 자국의 언어를 표기한 사례도 종종 있었다. 하지만 이들이 굳이 불편을 감수하면서 고유의 문자를 만든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우선 서하의 영토에는 서하인 외에 티베트인, 위구르인, 한족들도 살고 있었으므로 언어가 다른 이들이 이해하기에는 표음문자보다 표의문자 쪽이 훨씬 나았고(즉 필담용 공용어의 용도로 서하 문자를 썼다), 서하어는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동음이의어의 수가 아주 많았기 때문에 표음문자로 적을 경우 의미가 헷갈릴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2.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슈팅 게임 선더포스Ⅵ에서 뜬금없이 은하연방이 쓰는 문자로 등장한다(...). 마찬가지로 뜬금없게도 적 세력인 온 제국은 몽골어를 쓴다. 전례없는 다양한 게임 음악 작곡가들의 BGM 외주 참여와 더불어 전작들에 비해서 게임의 분위기를 이질적으로 느껴지게 만드는 대표적인 장치.
  • 일본의 소설가 이노우에 야스시(井上靜)가 쓴 소설 돈황(敦煌)의 이야기는 주인공 조행덕이 저자에서 서하 문자가 적힌 문서를 발견하는 데에서 시작한다.
  • 만화 슈토헬에서는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군이 중원을 유린할 때 자신들의 문자를 지키려는 인물들이 등장하는데 그 문자가 바로 서하 문자. 글씨체가 묘하게 간지나서 은근히 수요가 있다.[스포일러]

[스포일러] 작중 칭기즈 칸은 집요하게 서하 문자의 말살에 집착하는데, 칸의 등짝에 어렸을때 낙인으로 새겨진 "서하의 노예"라는 글자 때문이다. 설사 자신의 등의 글자가 노출되더라도 이 글자를 아는 사람이 없으면 대칸의 권위에 금이 갈 수 없기 때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