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고상

 


1. 개요
2. 유명 석고상


1. 개요


한 때 입시미술계를 주름잡았던 영광의 얼굴들. 소묘나, 석고정물수채화 등의 입시과목에서 따라 그리는 용도로 많이 쓰였다. 그러나 21세기로 넘어오며 너무 획일화된 방법이라고 지양하는 추세.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시대의 대리석, 청동 인물상을 석고로 복제한 것의 부분들이며 그 당시의 유명인들이 많다. 고대 로마의 인물상은 일종의 홍보물로, 로마에서 석고로 만든 머리를 각 지방으로 보내면 그 곳에서 머리를 제대로 된 재료로 조각하여 복제한 뒤 몸통, 팔다리 등을 각기 다른 조각가들이 대량으로 조각해서 조립하였기 때문에, 같은 인물이라도 조금씩 다른 버젼이 존재하는 것도 특징. 서구에서 장식이나 미술 교육용으로 복제하기 시작한 것이 원류로, 이에 영향받은 한국, 일본의 미술입시계에도 도입. 다만 입시미술계에서 불리는 이름들은 정확한 고증 없이 닮은 이미지만 가지고 부르기 때문에 실제와는 다른 경우가 많다.
미술학원이나 학교 미술실에도 몇 개쯤은 필수적으로 존재하는데, 이게 밤에 보면 은근히 무섭다보니 미술실에 관련된 괴담이나 납량특집 등에 단골로 등장하기도 한다. 또 아주 정교하게 만들어진 석고상의 머리 부분이 사실은 진짜 사람의 머리로 만들어졌다거나 하는 괴담도 있다.
석고 보이즈의 주인공들이기도 하다.
아래에 있는 석고상들 외에 다른 석고상들의 종류를 확인하고 싶으면 이 항목을 참조하자. 석고상 일람

2. 유명 석고상



2.1. 소형 석고



2.1.1. 아그리파


한국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석고상 중 하나. 양감은 풍부하지만 머리의 굴곡이 적어 쉽기 때문에 주로 입문용으로 쓰인다. 원본은 고대 로마의 유명한 장군이자 아우구스투스의 오른팔이었던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의 석상이다.
[image]

2.1.2. 줄리앙


석고소묘에서 가장 널리 그려지는 석고상계의 아이돌. 난이도는 중급 정도. 원본은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메디치 가문의 영묘를 위해 만든 조각으로, 젊어서 죽은 줄리아노 디 피에로 데 메디치의 생전 모습이라고 한다.
[image] [image]


2.1.3. 비너스


그 유명한 '''밀로의 비너스'''의 두상. 전신상은 높이 204cm,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있다. 1820년 4월 8일 아프로디테 신전 근방에서 밭을 갈던 한 농부에 의해 발견되어 루이 18세에게 헌납되어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었다.
[image]

2.1.4. 브루투스


흔히 '''청년 브루투스'''로 불리우며, 원본은 로마 건국 신화에 나오는 로마 공화국의 전설적 창시자 루키우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의 청년 시절을 묘사한 조각상. 카이사르를 배신때리고 암살한 것으로 유명한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와는 다르다. 다만 이와 대비되는 대형석고상인 '''장년 브루투스'''는 카이사르를 찌른 그 브루투스다. 이쪽은 미켈란젤로가 제작.
[image]

2.2. 중형 석고



2.2.1. 아리아드네


[image]
그리스 신화의 여성, 아리아드네의 조각상 복제품. 한국에서는 어째서인지 아리아스로 불리운다.

2.2.2. 호메로스


고대 그리스의 음유시인. 렘브란트의 그림 속에서도 등장하는 석고상이다. 한국에서는 영어식인 호머로 불린다.
[image] [image]

2.2.3. 카라칼라


로마 제국의 황제. 폭군으로 유명하다. 본인 스스로 흉포하게 생긴 자신의 흉상을 좋아했다고. 석고상의 경우 옷의 면적이 넓고 굴곡이 큰 반면, 머리카락은 양감은 적고 자잘한 부분이 많아 다소 그리기 까다롭다.
[image]


2.2.4. 키케로


고대 로마의 정치가, 철학자, 변호사이다. 한국에서는 석고상의 이름을 왠지 독일의 철학자인 칸트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1][2]
[image]
[image]
[1] 칸트라고 부른 건 양반이고, 나이 든 강사들은 일본식 발음으로 '''간도'''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2] [image]아마 칸트의 이 초상화와 인상이 비슷하여 누군가 오인하여 가르친 게 굳어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