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 창안-톈산 회랑 도로망

 



'''유네스코 세계유산'''
[image]
이름
한국어
실크로드: 창안-톈산 회랑 도로망
영어
Silk Roads: [1]
중국어
絲綢之路:
长安-天山廊道的路網
프랑스어
Routes de la soie : [2]
국가·위치
중국,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재유형
문화유산
등재연도
2014년
등재기준
(ii)[3], (iii)[4], (v)[5], (vi)[6]
지정번호
1442
[image]
중국어: 丝绸之路:长安-天山廊道的路网
카자흐어: Чанъань-Тянь-Шань дәлізіндегі Ұлы Жібек жолы
키르기스어: “Жибек Жолу”: Тянь-Шань коридорунун маршруттарынын тармагы жана башталыш участогу
1. 개요
2. 등재 기준
3. 등재 유산

[clearfix]

1. 개요


2014년 지정된 중국,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세계유산이다. 실크로드를 따라 있었던 성과 궁전, 무역 장소, 옛 도로, 관문, 역참, 사찰, 요새, 봉수대 등 총 33개의 문화유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유산의 위치로 보면 중국에 22곳, 카자흐스탄에 8곳, 키르기스스탄에 3곳이 있다. 원래 이름은 "실크로드: 장안-톈산 회랑 도로망"이 맞겠으나, 유네스코 한국 본부에서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Chang'an을 창안으로 번역하였고, 이 때문에 모든 백과사전에서 "실크로드: 창안-톈산 회랑 도로망"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본 문서의 표제어 역시 유네스코 한국 본부의 공식 번역 명칭을 사용한다.
실크로드의 세계유산에의 등재는 2006년부터 본격화하기 시작하였다. 2006년 투르판에서 열린 회담에서 중국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과 함께 실크로드 유적을 세계유산의 등재할 것을 합의하였고, 2008년에는 이란이, 2010년에는 인도가 독자적으로 실크로드 유적을 잠정목록에 등재하였다. 이렇게 규모가 커지자, 유네스코는 실크로드를 회랑 별로 나누어 각각 등재할 것을 권고하였고, 이에 중국,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이 먼저 장안-톈산 회랑을 세계유산에 신청하게 된 것이다. 결국 2014년 제38회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이 구간을 세계유산에 등재하기에 이른다.

2. 등재 기준


유네스코에서 밝힌 등재 기준은 다음과 같다. 출처는 #
기준 (ii): 대륙을 횡단하는 광활한 교통망, 지극히 장기간에 걸친 이용 기간, 현전하는 유산의 다양성과 역동적인 상호 연계성, 실크로드가 촉진한 문화적 교류의 풍성함, 그리고 실크로드가 이어준 다양한 지리적 환경 등은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16세기에 이르는 동안 유라시아 대륙에서 진행된 다채로운 문화 지역 내에서 이루어진 광범한 상호 작용, 특히 스텝 지역의 유목민과 정주민들의 농업·오아시스·목축 문명 사이의 상호 작용을 명백하게 증명하고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실크로드를 따라 형성된 전 지역에서, 특히 건축과 도시 계획의 발달, 종교와 신앙, 도시 문화와 주거생활, 무역과 민족간의 상호 관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톈산 회랑은 유라시아 대륙을 가로지르며 다양한 문명과 문화를 서로 이어주었던 역동적인 통로가 당해 문명과 문화 사이에서 아주 오랜 동안 지속된 상호교류를 어떻게 구현하였는지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세계사 속의 특별한 사례이다.
기준(iii): 톈산 회랑은 통신의 전통, 경제·문화적 교류,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16세기에 이르는 동안 유라시아 대륙에서 있었던 사회적 발전에 대한 특별한 증거를 지니고 있다. 유목민 공동체와 정주 공동체를 하나로 이어주는 도시와 마을의 발달, 이러한 도시를 지탱하는 물 관리 체계, 여행자의 편의를 돕고 그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요새와 봉수대, 중간 기착지, 카라반 숙소 등을 잇는 광범한 네트워크, 일련의 불교 사찰과 석굴 사찰, 끝으로 고부가가치 교역을 통해서 큰 이익을 본, 범세계적, 다민족 공동체가 파생시킨 조로아스터교마니교네스토리우스교이슬람교를 포함한 불교 외의 종교를 발현시킴으로써 교역은 이 지역의 도시 구조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기준 (v): 톈산 회랑은 고부가가치 상품의 장거리 교역이, 주민과 여행자 그리고 작물에 물을 대기 위해 강으로부터 물을 끌어다 쓰는 정교한 물 관리 체계와 우물, 지하수를 기반으로 거대 규모의 마을과 도시의 발달을 촉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특별한 사례이다
기준 (vi): 톈산 회랑은 유라시아 대륙의 인류 문명·문화 교류에 있어 일대 사건인 장건(張騫, ?~BC 114)을 중심으로 한 사신단의 서역 파견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아울러, 이후 동아시아의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불교가 고대 중국에 얼마나 깊은 충격을 주었는지 가시적으로 조명하며, 네스토리우스교(서기 500년경에 중국에 도래)·조로아스터교·마니교 그리고 초기 이슬람교의 확산에 대한 증거를 담고 있다. 톈산 회랑을 따라 발달한 여러 마을과 도시에는 또한 수자원의 이용, 건축, 도시 설계 등과 관련된 여러 사상이 실크로드를 따라 흘러들어와 영향을 미쳤고 이러한 영향이 특별한 방식으로 나타나 있다.

3. 등재 유산


등재된 유산은 총 33곳으로, 중국에 22곳, 카자흐스탄에 8곳, 키르기스스탄에 3곳이 있다.

3.1. 중국


  • 낙양성 유적지 - 한나라, 북위 시대 궁전
  • 정정(定鼎)문 -수·당시기 낙양궁의 정문.
  • 함곡관
  • 효함고도 스하오 부분
  • 미앙궁 - 한나라 시대 궁전
  • 대명궁 - 당나라 시대 궁전
  • 대안탑
  • 소안탑
  • 시안 흥교사
  • 빈현석굴
  • 장건
  • 맥적산 석굴
  • 병령사 석굴
  • 옥문관 - 한나라 시대에 축조된 만리장성 부분을 포함한다.
[image]
[image]
  • 현천치 역참 : 한나라 시대에 있던 역참 유적으로, 역참의 흔적은 없어졌지만, 목간 등 여러 문화재들이 발굴되고 있다.
  • 쇄양성 유적지
  • 고창고성 유적지 :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루판에 위치한 고성이다.
[image]
  • 교하고성 유적지 :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루판에 위치한 고성으로, 위구르어로는 야르허투라고도 한다. 고대 중국의 차사전국(車師前國)의 수도였으며, 13세기 몽고의 침입으로 멸망하였다.
[image]
[image]
[image]
  • 키질가하 봉수대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쿠처에 위치한 한나라 시대에 지어진 봉수대로, 실크로드 톈산 남부 길목에 위치하여 있다. 높이는 13m로, 실크로드에 있는 봉수대 중, 가장 높이가 크며, 가장 잘 보전되어 있는 봉수대이기도 하다.
[image]
  • 키질 천불동
  • 쑤바스 불교 사원 유적지

3.2. 카자흐스탄


  • 카얄릭 유적
  • 카라메겐 유적 : 일리 강 삼각주에 위치하였던 중세 도시.
[image]
  • 탈가르 유적
[image]
  • 악토베 유적
[image]
  • 쿨란 유적
[image]
  • 아키르타스 유적
[image]
  • 오르넥 유적
[image]
  • 코스토베 유적
[image]

3.3. 키르기스스탄


  • 수야브 유적 : 서돌궐의 수도였다.
[image]
  • 발라사군 유적
[image]
  • 나베케트 유적 : 서돌궐의 여름 수도였다.
[image]
[1] the Routes Network of Chang'an-Tianshan Corridor[2] le réseau de routes du corridor de Chang’an-Tian-shan[3]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4]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5] 특히 번복할 수 없는 변화의 영향으로 취약해졌을 때 환경이나 인간의 상호 작용이나 문화를 대변하는 전통적 정주지나 육지·바다의 사용을 예증하는 대표 사례일 것[6]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