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름매미

 



'''쓰름매미'''

이명 : 쓰르라미, 뚤래미
''' ''Meimuna mongolica'' ''' (Distant, 1881)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노린재목(Hemiptera)
아목
매미아목(Auchenorrhyncha)

매미과(Cicadidae)

애매미속(''Meimuna'')
''''''
'''쓰름매미'''(''M. mongolica'')
{{{#!html
<iframe width="300" height="240" src="https://www.youtube-nocookie.com/embed/8KNu9eVGdDI?rel=0&showinfo=0"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1. 개요
2. 상세
3. 이야깃거리


1. 개요


매미과 애매미속에 속하는 곤충.
우리나라 방언 쓰르라미로 널리 알려져 있는 매미의 '''진짜 이름.'''

2. 상세


몸의 총 길이는 평균 약 31mm 이다.
몸의 윗면은 검은색 바탕에 녹색과 노란색을 띠는 선과 무늬가 어우러져 있다. 반면 몸체의 아랫면에는 연한 올리브색을 띠고 있다. 활동시기는 6월 말부터 시작해 9월 중순까지 볼 수가 있다. 이쪽이 '''진짜 쓰르라미'''이며 저녁매미(히구라시)와는 다른 종이다.
가끔 쓰름매미가 전국적으로 매우 흔하다고 하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애매미, 털매미, 말매미, 참매미(이마저도 도시 민가 기준으로는 지역차가 큼)가 전국적으로 매우 흔한 종이고, 쓰름매미와 유지매미는 지역차가 매우 큰 종으로, 없는 곳은 정말 눈을 씻고 찾아 봐도 여름 내내 울음소리 하나 들을 수 없을 정도이다.[1] 특히 쓰름매미는 도시, 특히 아파트가 많은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들고, 공원과 같이 어느 정도 숲이 울창한 곳에 가야 찾아볼 수 있다. 서울에는 양천구 쪽에 많다고 한다. 코엑스 근처의 선정릉에 가면 울음소리를 잘 들을 수 있다.
울음소리는 이름 그대로 "쓰~름 쓰~름"이지만, 이름을 모르는 상태에서 들으면 "스테~얼 스테~얼"이나 "스치~열 스치~열"로 들리기도 한다.
일본에는 없고[2] 한국, 중국에 분포한다. 일본 쓰르라미가 저녁매미고 한국 쓰르라미가 쓰름매미라는 이상한 말도 돌아다니는데 쓰르라미는 쓰름매미고 터무니없는 소리다. 헷갈리는 사람들을 위해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쓰름매미=쓰르라미
  • 쓰르라미 울 적에 등의 일본 창작물에서 언급되는 쓰르라미는 저녁매미이다. 진짜 쓰르라미(쓰름매미)와는 종이 다르다. 다시 말해서, 원래는 쓰르라미라 불려서는 안 되는 종. 애초에 번역이 잘못된 것이다. 굳이 번역하자면 저녁매미 울 적에 정도 일 것이다.
저녁매미와는 달리 여느 다른 매미들처럼 '''아침~한낮에 울며, 소리가 굉장히 밝고 활기차다.'''[3]

3. 이야깃거리


  • 사람에 대한 경계가 유지매미보다 더 심하다. 유지매미는 많은 곳에 가면 참매미와 쌍벽을 이룰정도로 흔하지만 쓰르라미는 흔한 곳이라 해도 나무 꼭대기에 앉아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조금만 다가가도 귀신같이 알아채고 날아간다.
  • 이정신의 시조에도 등장한다! 초장의 '쓰르람미 쓰다 우니'
  • 황해도 지방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한국의 민요 '싸름'[4]이 바로 이 쓰르라미를 말한다.
쓰름매미, 쓰르라미라는 이름답게 '쓰름 쓰름'하고 우는 게 특징.
  • 요츠바랑!에서는 이것과 근연종인 애매미(Meimuna opalifera)가 여름이 가는 걸 알리는 '쓰름이'로 나왔다. '정확한 한국어 명칭은 애매미지만, 어감상 '쓰름이'라는 애칭을 썼다' 라고 역자인 금정이 4권 내 주석을 붙였다.[5]


[1] 한 예로 울산광역시의 경우, 남구 기준으로 울산대공원, 태화강역(舊 울산역) 등 비교적 큰 공원 지역에서 간혹 쓰름매미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고, 유지매미는 아예 서식하지 않는다.[2] 일본에 서식하는 종은 저녁매미이다. 쓰르라미로 곧잘 오역되는 저녁매미는 일본에만 서식한다.[3] 한국에서는 대도시 지역의 말매미를 제외하면 저녁이나 밤에 우는 매미는 아예 없으며, 밤에는 귀뚜라미같은 풀벌레소리 정도만 들린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시골 한여름 밤은 '''매우 조용하다.'''[4] 초등학교 6학년 음악 교과서에 나오는 그 민요 맞다.[5] 애매미의 일본말이 '츠쿠츠쿠보시'로 요츠바가 '츠쿠시'라고 애칭을 지어주는 상황인데 한국말로 대체하기 어려워서 바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