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 구국 이슬람 통일 전선

 

[image]
'''아프가니스탄의 단체'''
'''단체명'''
'''아프가니스탄 구국 이슬람 통일 전선'''
'''(United Islamic Front for the Salvation of Afghanistan)'''[1]
'''(페르시아어: جبهه متحد اسلامی ملی برای نجات افغانستان‎)'''
'''결성일'''
'''1996년 9월'''
'''해산일'''
'''2001년 12월'''[2]
'''활동지역'''
'''아프가니스탄''' [image]
'''대표'''[3]
'''부르하누딘 라바니'''†
'''아흐마드 샤 마수드'''†
'''압둘 라시드 도스툼'''
'''아시프 모흐세니'''
'''모하메드 모하퀴크'''
'''압둘 카디르'''
'''동맹세력(혹은 국가)'''
'''이란''' [image]
'''터키''' [image]
'''타지키스탄''' [image]
'''러시아''' [image]
'''우즈베키스탄''' [image]
'''미국''' [image][4]
'''투르크메니스탄''' [image]
'''인도''' [image]
'''적대세력(혹은 국가)'''
'''탈레반''' [image]
'''알 카에다''' [image]
'''파키스탄''' [image]
1. 개요
2. 역사
3. 여담

[clearfix]

1. 개요


아프가니스탄 구국 이슬람 통일 전선, 속칭 '''북부동맹'''[5]은 현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근원이 되는 단체이다. 2001년 9.11테러 이후 미국UN의 지원을 바탕으로 탈레반 정권 전복과 정권 교체에 성공. 하미드 카르자이를 아프가니스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하였다.
다만 이는 연합정부 형식으로, 카르자이를 대통령으로 앉히고 인정해주는 대신, 주요 요직은 북부동맹 출신이 다수를 차지한 것에 가깝다. 당장 카르자이 정부의 부통령 겸 국방장관이 북부동맹 출신인데, '''이 자는 과거에 카르자이를 스파이 혐의로 감옥에 쳐넣으려고 한 인물이다.''' 또 내부 파벌 간의 갈등이 굉장히 심해서 2002년~2003년까지 북부동맹 주도의 쿠데타가 3번 있었는데, 그 중에서 골때리는 쿠데타는 우즈벡계 군벌인 압둘 라시드 도스툼이라는 자가 일으켰던 쿠데타였다. 그는 2003년 아프니스탄 북부에 '''아프가니스탄 북부지대라는 괴뢰 행정국을 세우고 카르자이의 명령을 따르지 않겠다'''고 선포하기까지 했다.
그래도 소수의 별난 군벌들을 제외하고는 그럭저럭 돌아가서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북부동맹 출신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 등 외국에서는 탈레반 정권을 전복시켰다는 사실로 인해 좋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알고보면 '''얘들도 결코 순수한 목적으로 결성된 단체가 아니다.''' 집단 성폭행과 민간인 학살 등을 자행했다고 알려진 단체(...). 때문에 북부동맹의 몇몇 인물들은 아예 전쟁 범죄 혐의를 받고 있다. 위의 도스툼이 그런 경우.

2. 역사


[image]
'''미군 개입 직전의 북부동맹 영토(붉은색)'''
1996년 수도 카불을 점령하고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설립한 탈레반에게 대항하기 위해 결성되었으며, 탈레반 전 정권(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여러 인사들이 포함되어있다.[6] 2001년까지는 아프가니스탄의 90%가 탈레반의 치하에 있었고, 북부동맹은 러시아, 이란, 타지키스탄, 인도 등의 지원을 받으며 동북부 10% 정도만을 지키고 있었다. 이런 절망적인 상황이 여러 군벌을 단결하게 만들었는데, '''마수드(타지크족)''', '''도스툼(우즈베크족)''', '''압둘 하크(파슈툰족)''',[7] '''하자르족 군벌'''까지 단결하여 필사적으로 탈레반과 맞서고 있었다. 반대로 탈레반은 대다수가 파슈툰족이었지만 파키스탄으로부터 인적[8] 및 군수물자 지원을,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금전적인 지원을 받고 있어 전체적인 상황은 탈레반이 훨씬 유리한 상황이었다. 거기다 절망적이게도 2001년 9월 9일에는 북부동맹의 국방장관 아흐마드 샤 마수드알카에다[9][10]에게 암살을 당하는 등 최악의 상황까지 갔으나, 9.11테러가 일어나자 상황은 반전되어 탈레반 정권을 전복시키기 위한 미국영국[11]의 군수물자와 공중지원을 받으며 물밀듯이 탈레반을 격파해갔다. 그리고 그해 11월 13일 탈레반으로부터 카불을 탈환한다. 결국 탈레반 잔당들은 아프가니스탄 남부 칸다하르주로 후퇴하였다.
[image]
'''카불에 입성하는 북부동맹'''
이후 해체되어 카르자이 정권에 흡수, 그냥 각 지방의 유력자들로 [12] 열심히 근거지 지배에 열중하나 싶더니, 미군이 철수를 준비하면서 이에 위기감을 갖고 재결성 및 재무장을 하는 중이다. 이는 미군 철군 이후에도 탈레반이 아프간 전토를 확실히 지배 못할 이유 가운데 하나이며,[13][14] 이제는 미군 철수에 대비해 자금줄 을 중국이나 이란, 러시아 등으로 바꾸려고 하고 있다. 미국에게는 여러모로 난감한 상황.

3. 여담


  • 판지시르의 사자라고 불리던 아흐마드 샤 마수드가 여기서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 반 탈레반 하나만으로 뭉친 단체[15]답게 서로 이권 챙기기가 심하다. 이게 탈레반 부활의 원동력이 된건 불변의 진리.
  • 주요 구성원은 비(非) 파슈툰계 민족이다. 타지크 족, 우즈베크 족, 하자르 족 등.
  • 최근(?) 미군 철수의 조짐이 보이자 다시 무장을 하고 있다. 자신들이 한 일이 결국 자신들을 옥죄는 아이러니로 돌아온 셈.
  • 마수드와 미국의 관계와 탈레반과 오사마 빈 라덴의 밀월 관계에 대한 정리글 하지만 단순한 번역 토막글인 동시에 저널리스트 및 공익제보자, 폭로자가 아닌 관부 출신의 손으로 작성된 미국측 군사저서들은 희소성, 내용 양면으로 대다수가 별 사료적 가치가 없으므로 단순 참고나 흥미로 접근할 것.[16]
  • 이 조직의 구성원 가운데 그나마 나은 사람이 전술된 '판지사르의 사자' 아흐마드 샤 마수드 정도인데 이 양반도 CIA에게 신뢰받지 못할 짓을 몇 번 했다는 증거 문서들이 있어서 비판거리가 있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일례로 CIA 출처 지원금을 유용하고서 참가하기로 약속한 작전에 참여하지 않고 모르쇠로 발뺌했다는 혐의다. 그러나 군자금, 정치자금, 비자금 명목으로 치더라도 1980년대 기준 그 액수는 CIA에게 있어서는 푼돈으로 취급도 안되는 액수이므로 미합중국 정보기관과 마수드간의 불신의 근본적 촉발원인이 금전거래라는건 침소봉대라는 의견도 있다. 마수드-미 정보기관간 트러블의 핵심이 저게 아니고 증거문서가 근거로 도용된 주장은 CIA의 면피논리란 의미로 보인다,
  • 반군 주식회사에서 플레이어가 이끄는 정부가 바로 아프가니스탄 구국 이슬람 통일 전선이며 반대로 플레이어가 진압해야하는 적군은 탈레반이다.



[1] 보편적으로 Northern Alliance로 알려졌지만 공식적인 명칭은 United Islamic Front for the Salvation of Afghanistan다[2] 동맹 해체 후 카르자이 내각으로 들어간다. 다만 완벽하게 해산 및 카르자이 내각으로의 융화를 거친 것은 아니어서 아프가니스탄 북부 지역에 아직도 영향력이 남아있고, 그 덕분에 미군 철수가 임박해진 최근, 재결성되어 재무장을 진행중에 있다.[3] 애초에 각 지역에서 날고 기는 군벌들이 탈레반에 맞서려고 만든 단체라 대표가 여러명이다.[4] 9.11테러 이후[5] 동명의 이탈리아 정당 북부동맹과는 무관하다.[6] 반대로 다른 많은 파슈툰족 인사들이 이슬람 원리주의자 무자헤딘 굴부딘 헤크마티아르에게 가기도 했다. 다만 아흐마드 샤 마수드와 같은 반소련 무자헤딘 활동을 개시한 사람들도 여럿 있어 그렇게 나지불라 정권 인사들의 바람이 강하지는 않았다는 정황증거도 여럿 있다.[7] 파슈툰족이라고 모두 종교에 미친 탈레반은 아니다.[8] 파키스탄에도 수많은 파슈툰족이 살고 있고, 실제로 아프가니스탄 내전부터 국경을 넘어 탈레반에 속해 싸워왔다.[9] 도피처가 필요했던 알카에다가 탈레반에게 눈엣가시 같았던 마수드를 암살해주는 대신 탈레반은 알카에다를 아프가니스탄에 숨겨주겠다고 밀약을 맺었던 것.[10] 알카에다는 탈레반과 함께 북부동맹을 공격하기도 했고, 후에는 미군과도 싸웠다.[11] 영국 역시 미국 다음으로 전쟁에 참가하여 적극적으로 전쟁을 수행했다.[12] 이들이 테러리스트를 붙잡는데 쓸 자금도 횡령했기 때문에 탈레반이 소탕되지 못한다는 웃지 못할 얘기가 아프간 현지에서도 나오며, 탈레반만큼은 아니지만 어찌됐든 이러한 부패상으로 인해 현 아프간 민중들로부터 호감보단 되레 반감을 사고 있다는 얘기도 있다.[13] 애초에 탈레반 자신들이 정권을 잡고 있을 때도 북부동맹과 그 점령지에 대한 100%의 지배와 컨트롤은 불가능했고, 확실하게 애먹이는 존재 가운데 하나였다.[14] 나머지는 2010년대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쫓기다시피 들어온 이슬람 국가의 존재 및 그들의 아프간에서의 세력 확장과 국제 사회의 시선이다.[15] 부족이 다르고, 소속 단체가 다르고, 목적 역시 다르다.[16] 해금기간이 다하거나 정보공개가 허용된 문서가 아닌 나머지를 서적출판하는 행위는 기밀누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