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두까기 인형

 


1. 호두를 까는 도구이자 인형
2. E.T.A 호프만의 동화
3. 위의 동화를 기초로 한 발레
3.1. The Nutcracker(Op.71)
3.2. 모음곡 버전(Op.71a)
3.3.1. 호두까기 인형 중 행진곡
3.3.1.1. 과감하게 난이도
3.3.1.2. 격렬하게 난이도
3.3.2. 호두까기 인형 중 러시아의 춤
4. 위의 발레곡을 소재로 한 영화
5. 대중 매체에서의 호두까기 인형


1. 호두를 까는 도구이자 인형


[image]

영어
Nutcracker
독일어
Nussknacker
프랑스어
Casse-noix
호두는 견과류 종류 중에서도 껍데기가 매우 단단한 축에 속하기 때문에, 이를 깨기 위한 도구가 여러 지역과 문화권에서 만들어졌다. 특히 중부 유럽 지방에서는 호두를 까는 도구라는 실용적인 목적 외에 장식용으로도 쓸 수 있도록 목각인형으로 만드는 호두까기 인형이 대략 15세기 무렵부터 제작되기 시작했다.
이후 이 호두까기 인형은 기독교 문화권의 공통적인 축일인 크리스마스와도 결부되어 신도들 간의 선물용으로도 많이 쓰였고, 지금도 개신교가 대세인 독일 작센튀링엔 지방에는 이 인형을 비롯한 크리스마스 장식물들을 전문적으로 만드는 가내수공업형 장인들이 많이 활동하고 있다. 보통 목제 인형이 많지만, 지역과 장인에 따라 금속이나 도자기 등 다른 재료로 제작하기도 한다. 일단 모든 인형은 호두를 깔 수 있도록 실용적으로 제작되지만, 현대에는 주로 장식용으로 쓰이고 실제로 이걸로 호두를 까는 경우는 대단히 드물어졌다.
실제로 포장에 '호두 까는 용도로 사용하지 마시오'라고 주의문까지 쓰여있는 경우도 있다. 게다가 메이드 인 차이나가 늘면서 품질이 안좋은 제품의 경우 진짜로 호두를 까다간 호두까기 인형의 턱이 망가지니 조심. 물론 실제로 호두를 깔 수 있는 제품도 있다.
전통적인 호두까기 인형은 카이저 수염을 기르고 정복을 입은 군인의 모습으로 제작되고, 등 쪽의 레버를 올리면 입이 열리고 열린 입에 호두를 넣고 레버를 내리면 호두가 깨지는 구조이다. 이러한 전통 호두까기 인형은 지금도 많이 제작되고 있고, 독일이 2차대전 패전 후 동독과 서독으로 분리되었을 때도 동독 정부의 귀중한 외화벌이 상품 중 하나이기도 했다. 한 때 미군이나 소련군 등 점령군 복장을 한 호두까기 인형이 군인들의 요구로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반짝 유행 후 사그라든 뒤에는 계속 전통적인 디자인의 인형이 생산/판매되고 있다.
'넛크래커'라는 영칭 때문에 영어권에선 영 좋지 않은 곳깨부수는 행위나 물건 을 의미하는 용어로 쓰이기도 한다. 물론 호두까기 인형 자체의 명칭때문에 한국도 비슷한 의미로 드립 치기도한다.[1]
수퍼내추럴에 나온 한 장면을 보면 무엇을 깨는 것을 의미하는지 명확하다. 영상을 보면 くるみわり(쿠루미와리) 라는 일본어가 나오는데 호두까기를 의미하는 단어다.

2. E.T.A 호프만의 동화


원제는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대왕》(1816년)이지만 한국에는《호두까기 인형》이라는 제목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저자 호프만이 친구의 아이들에게 들려주기 위해 쓴 동화라고 한다. 동화 속 등장 인물인 마리, 프리츠도 실제 아이들의 이름에서 따 온 것이라고.
일곱살 난 소녀 마리 슈탈바움과 그녀가 사랑하는 호두까기 인형에 대한 동화다. 또다른 주요 인물인 드로셀마이어 대부의 직업은 3의 발레와는 달리 시계 제작자이자 고등 법원 판사이며,[2] 그가 마리에게 들려주는 호두까기 인형이 못생긴 외모를 가지게 된 이유에 대한 이야기에 이름이 같은 연금술사가 등장하는데 동일인물인지의 여부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는다.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대왕의 전투, 그 외의 환상적인 장면들이 꿈이라고 나오는 발레곡과는 달리 원작에서는 그것들이 현실인지 마리의 환상(꿈)인지 확실히 밝히지 않는다.
드로셀마이어 대부가 자신의 이야기 속 연금술사와 동일인물인지, 그 이야기의 내용대로 호두까기 인형과 드로셀마이어 조카가 동일인물인지도 알 수 없다. 드로셀마이어 조카(의 모습이 되어 찾아온 호두까기 인형)와 마리가 결혼하는 결말도 마리의 환상으로 봐야 할지, 혹은 환상의 현실화로 봐야 할지 확실하지 않다. 축약된 어린이용 동화책에서는 어디까지가 환상이고 어디까지가 현실인가에 대한 갈등 따위는 생략해 버리는 것 같지만, 원작은 환상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한 환상문학이다. (원작도 동화이기는 하다. 아이들의 이름을 부르며 설명하는 투가 종종 나오는 문체라든가, 전체적인 분위기 등을 봐서.) 이 작품을 보고나서 호두까기 인형을 괴롭히는 생쥐는 보는대로 모두 죽이자고 분노한 어린이들도 있었다고 한다.
호두까기 인형이 망가진 이유는 소녀 마리의 남동생 프리츠 때문이며 판본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어느 호두까기 인형 서양 애니메이션에서는 남동생이 원래는 그냥 호두만 까고 인형을 괴롭힐 생각은 전혀 없었는데 마침 호두가 떨어져서 대신에 평소에 가지고 놀던 장난감 대포의 철제 대포알로 장난하다 호두까기 인형의 나무 앞니 한개가 부러지고 남동생은 누나에게 크게 꾸중을 들었다. 이후에 호두까기 인형이 쥐마왕을 처치하고 돌아갈때 남동생도 호두까기 인형에게 지난 잘못을 사과하고 화해하며 진심으로 슬퍼한다.

3. 위의 동화를 기초로 한 발레


러시아어
Щелкунчик(셸쿤치크)
위의 동화를 기초로 만든 발레로, 발레음악은 차이콥스키가 작곡하였다. 그가 작곡한 3대 발레곡 중 하나이다. (나머지 2개가 잠자는 숲속의 미녀백조의 호수이다.) 곡이 워낙 잘만들어진지라 여러 사람의 안무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데, 마리우스 프티파의 버젼이 시초며 유명해진 것은 조지 발란신의 버젼이 뉴욕에서 1954년의 초연에서 대 히트한 이후다.[3] 그래서 그런지 원래는 유럽보다도 미국에서 인기가 훨씬 많았는데 지금은 러시아를 비롯한 유럽에서도 크리스마스마다 공연되고 있다.
원래 엔딩에서는 주인공이 잠에서 깨어나는게 아니라 왕자와 함께 다른 나라로 여행을 가면서 끝날 때 집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암시가 나온다. 이렇게 원래 살던 곳으로 돌아가지 않고 환상의 나라에서 행복하게 잘 살았다는 식으로 끝나는 동화가 당시 유행했던 것으로 보이며 이런 식으로 끝나는 발레도 몇 개 있다. 대표적으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가 작곡하고 빈 국립 오페라 극장에서 초연한 Schlagobers. 환상 속에서 사는게 암울한 현실보다 낫다는 인식이 있었다고.

3.1. The Nutcracker(Op.71)


1막(4장), 2막(3장)으로 이루어진 발레곡이다.
어느 독일화이트 크리스마스 이브, 실버하우스 씨의 저택에서 열리는 크리스마스 파티에서 클라라와 프리츠 남매는 클라라의 대부이자 마법사인 드로셀마이어 아저씨에게 선물을 받는다. 하지만 클라라가 받은 것은 못생긴 호두까기 인형. 더구나 프리츠가 장난을 치다가 고장을 내버린다. 드로셀마이어는 인형을 고쳐주고 자정이 되자 사람들은 집으로 돌아간다. (1막 2장까지)
호두까기 인형을 안은 채 잠들은 클라라의 꿈에서 크리스마스 트리가 거실을 채울만큼 거대해지고 떼의 습격이 시작된다. 하지만 트럼펫 소리와 함께 병정들이 호두까기 인형을 대장으로 등장하고 격전을 벌인다. 위기의 상황에서 클라라는 머리 일곱 달린 쥐마왕(생쥐왕, 쥐대왕)을 빗자루로 제압해버린다. 그 덕분에 마법이 풀리면서 호두까기 인형은 멋진 왕자로, 클라라는 아름다운 숙녀로 변한다. (1막 3장 - 클라라의 침실)
클라라의 침실은 한겨울 숲 속(1막 4장)으로 변하고, 이들은 환상의 나라(신비의 나라, 2막 1장)로 여행을 떠난다. 돌아온 쥐마왕이 다시 이들을 공격하지만 쉽게 물리치고 나비와 함께 여행을 계속한다. 마법사 드로셀마이어가 나타나 지팡이를 흔들자 아름다운 궁전이 나타나고 클라라의 방 안의 인형이 살아나 요정이 되어 춤을 추기 시작한다. 2막의 클라이막스 파트인 "신비의 궁전"(2막 2장)이다. 스페인 춤(초콜릿 요정), 아라비아 춤(커피 요정), 중국 춤(의 요정), 동키콩의 리듬게임에 리믹스되어 나와 유명해진 러시아 춤(Trepak 트레팍), 프랑스 춤(갈잎피리의 춤(Danse des Mirlitons)), 생강 어머니와 광대, 꽃의 왈츠[4], 클라라와 왕자의 그랑 파드되(2인무)로 이어진다. 꿈에서 깨어난 클라라는 행복한 크리스마스 아침을 맞이한다. (2막 3장) 호두까기 인형을 유행시키는데 공헌을 한 뉴욕 시티 발레의 버전에선 클라라가 2막에서 춤을 추지 않는다(클라라 자체가 발레 슬리퍼 역할이라 포인트 슈즈를 신지 않는다). 대신 슈거플럼 페어리와 기사가 클라라와 왕자를 위해 파드되를 춘다. 파드되가 끝나면 클라라와 호두까기 인형이 다음 나라로 여행을 떠나는걸로 막을 내린다
호두까기 인형의 대표 격인 1막 1장의 2악장인 "행진(March)"과 2막 2장의 요정들의 춤이 유명하다. 이중 차 요정의 춤갈잎피리의 춤 (3악장), 꽃의 요정의 춤(4악장), 설탕 요정의 춤 (5악장)[5]이 대표곡. [6]
특히 이 음악에 맞춘 발레는 미국에서 크리스마스에 공연되는 것으로 유명한데 미국 발레단의 연간 전체 수입의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국내에서도 국립발레단과 유니버설 발레단을 필두로 대개 크리스마스 시즌에 호두까기 인형을 공연하며, 연간 수입의 20~30% 이상을 차지할 정도다.
대부분 발레단이 보통은 학생석을 제공하는데 호두까기 인형은 그런거 없다. 티켓 자체도 평소보다 비싸게 책정하는 편이다.


3.2. 모음곡 버전(Op.71a)


위 발레에서 작은 서곡, 5개의 성격 춤곡(행진곡, 설탕요정의 춤, 러시아의 춤-트레팍, 아라비아의 춤, 중국의 춤, 갈잎(풀)피리의 춤), 꽃의 왈츠를 발췌한 것으로, 연주회용으로 이 버전이 자주 연주된다.
악기 편성은 플루트3(3번 주자는 피콜로를 겸함)/오보에2/코랑글레/클라리넷2(B플랫, A)/베이스 클라리넷(B플랫, A)/바순2/호른4/트럼펫2(A, B플랫)/트롬본3(테너2, 베이스1)/튜바/팀파니/작은북/심벌즈/큰북/트라이앵글/탬버린/캐스터네츠/탐탐/글로켄슈필/첼레스타/하프2/현5부이다.
하지만 이 모음곡에 탈락된 곡 중에서도 좋은 음악이 많아서 탈락된 몇몇 음악을 모음곡과 함께 연주하는 경우도 있다. 주로 러시아나 동유럽 출신 지휘자들이 이런 경우가 많다.

호두까기 모음곡 Op.71a 8곡은 위 영상을 참고하자. 꽃의 왈츠가 가장 유명하며, 3번~7번의 각종 춤도 들으면 다 알만한 유명하고 유쾌한 곡들이다.

3.3. 더뮤지션에서


더뮤지션에서는 두 가지 곡이 등장한다. 하나는 호두까기 인형 중 러시아의 춤이고, 또 하나는 호두까기 인형 중 행진곡이다.
난이도 별 MAX 콤보
분류
악기
가볍게
화려하게
과감하게
격렬하게
호두까기 인형 중 러시아의 춤
피아노
154
339
479
'''505'''
호두까기 인형 중 행진곡
236
419
'''472'''
660

3.3.1. 호두까기 인형 중 행진곡



3.3.1.1. 과감하게 난이도

노트 1개당 점수
순서
최대 피버 시간(초) / 점수(점)
구분
일반 상태
피버 상태
1
?
일반 노트
?
?
2
?
드래그 노트
?
?
3
?
롱 노트
?
?
4
?
최대 획득 가능 점수 (보너스 제외)
1,123,600
만점은 올 퍼펙트 달성 시 124만점대이다.

3.3.1.2. 격렬하게 난이도


AP 영상. 플레이어는 29600(Renevant).
노트 1개당 점수
순서
최대 피버 시간(초) / 점수(점)
구분
일반 상태
피버 상태
1
8.28 / 36,200
일반 노트
1,500
2,200
2
8.77 / 53,000
드래그 노트
900
1,300
3
9.47 / 52,600
롱 노트
2,500
3,700
4
10.00 / 51,500
최대 획득 가능 점수 (보너스 제외)
1,067,300
만점은 올 퍼펙트 달성 시 120만점대이다. 위의 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 총 세 번에 걸쳐 드래그 노트가 S자 모양으로 나온다. 이렇게 화면을 가로지르는 큰 드래그 노트가 나오고 중간중간에 잡노트가 섞이는 패턴은 이후 몇몇 곡에서도 재등장한다. 예를 들면 피아노 소나타 열정 3악장, 겨울바람 등이 있다.

3.3.2. 호두까기 인형 중 러시아의 춤



격렬하게 난이도.

4. 위의 발레곡을 소재로 한 영화


1993년 더티 댄싱의 에밀 아돌리노 감독(이거 찍고 TV영화 1편을 마지막으로 50살로 병사)이 맡은 뮤지컬 영화를 비롯(맥컬리 컬킨이 조연으로 나왔다)하여 여러 편이 있는데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영화는 2018년의 호두까기 인형과 4개의 왕국이다.

5. 대중 매체에서의 호두까기 인형



[1] 농담만은 아닌게 군사정권시절 호두까기 고문으로 성기능을 상실한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흠좀무.[2] 작가이자 음악가이자 대법원 판사였던 호프만 본인에게서 모티브를 가져왔기 때문이다.[3] 뉴욕 시티 발레는 아직도 그 버전을 50년 넘게 크리스마스 시즌마다 공연하고 있다.[4] 꽃의 왈츠 사장조 부분과 눈꽃송이 왈츠 합창 부분에는 연관성이 있다.[5] NES 테트리스 브금이기도 하다.(...)[6] 들어보면 알겠지만, 아무리 음악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어떤 경로로든지 최소 한곡 정도는 들어봤을 정도로 유명하다. [7] 물론 커리지의 이빨도 부서진다(...)[8] 한국 재능TV판은 '비실비실 스폰지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