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과 한음

 



1. 소개


조선 중기의 재상이자 한국의 대표적인 친우 사이로 유명한 이항복이덕형을 이르는 말. 오성은 이항복의 작위명(오성 부원군)[1]이고 한음은 이덕형의 호다.
두 사람과 얽힌 코믹한 에피소드가 민담, 전래 동화 등으로 많이 다뤄졌으며, 흔히 두 사람이 어릴 때부터 친구였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두 사람이 진짜로 처음 만났던 때는 서기 1578년으로 두 사람이 과거 시험을 봤을 때였다. 이때가 이항복은 24세, 이덕형은 19세.
  • 만력 6년(1578년), 이때 비로소 백사 이상국 항복과 교분을 맺었다. - <한음문고>
  • 신의 선조와 오성은 과거장에서 서로 사귀게 되었는데, 한 번 보고 매우 친밀해졌습니다. 이는 사적에 실려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서로 사귀었다고 하는 것은 민간에서 속되게 전하는 바입니다. 나이는 오성이 신의 선조보다 다섯 살 많습니다. - 이덕형의 후손인 참찬관 이명교의 말. <승정원일기> 고종 10년(1873년) 9월 14일
이덕형의 문집인 한음문고와 그의 후손 이명교가 밝혔듯이 둘은 과거장에서 처음 만났고, 이항복이 이덕형보다 5살이나 더 많다.[2][3] 이명교가 이렇게 밝히기 전에 고종은 이명교에게 "오성과 한음이 소꿉친구라는 게 정말인가? 그 사람들 장난친 일이 아직도 전설로 전해지니 매우 멋진 일인듯. 나이는 누가 많고 적은지 모르겠네?"라고 물었다고 한다. 고종이 태어나서 즉위할 때까지 궐 밖에서 살았던 인물이었던만큼 거리의 이야기꾼이나 여러 야담집을 통해 오성과 한음 이야기를 접해 알고 있었으며, 오성과 한음이 어린 시절부터 친구였다는 이야기는 이때에도 민간에 널리 퍼져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심지어는 조선 후기 백성들 중에서는 이항복의 '''본명'''이 '오성'인줄 알고 성을 오씨로 알았던 사람도 있었다고 전한다.
역사상의 이항복, 이덕형의 본모습보다 민담 속에서 그려진 이야기가 더 유명해진 케이스지만[4] 이 두 사람이 평생에 걸친 각별한 우정을 나눈 남다른 관계였던 것 자체는 분명한 사실이다.
특히 이덕형의 문집인 한음문고를 보면 이덕형이 다른 사람들에게 보낸 편지가 총 110여통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중 이항복에게 보낸 편지만 무려 '''77통'''에 이른다. 특히 이덕형은 이항복을 형(兄)이라는 매우 격식 없는 호칭으로 부르고 있으며 "형도 내 마음 몰라요"라고 징징대는 편지도 남아 있다. 그런데 정작 이항복의 문집인 백사집에는 이덕형을 위해 지어준 시가 몇 수 남아 있지만, 이덕형에게 보낸 편지는 한 통도 실려 있지 않다.
하지만 이것만 보고 이항복이 이덕형을 특별히 생각하지 않았다고 할 수 없는 게 이덕형이 먼저 세상을 떠나자 이항복이 묘지명을 쓸 때 "내가 명보(이덕형의 자)를 그르쳤구나. 한스럽다."는 식으로 애통해 하고 있으며 이덕형이 세상을 떠났을 때 지은 시에서도 "목소리 죽여 남몰래 한원군(이덕형)을 곡하노라."는 구절이 남아 있다. 이항복이 꽤 인간 관계가 폭넓었던 것에 비해 이덕형은 인간 관계가 협소한 편이었지만 벼슬도 짝을 이뤄 한 경우도 있었고 실록에서도 이항복과 이덕형이 서로를 배려하는 기록도 남아 있던 만큼 두 사람이 매우 특별한 우정을 나눴던 것 자체는 분명하다.
이항복과 이덕형은 5살 차이였는데 공교롭게도 죽을 때에도 5년 차이가 났다. 이덕형은 1613년 52세로 사망했고, 이항복은 1618년 62세로 사망했다.
오성과 한음 말고 조선조 말썽으로 유명했던 실존 인물로 영조 대의 영중추부사 이천보의 양자인 속칭 '말썽 괴수' 이문원이 있다. 이문원의 야사 또한 이 오성과 한음 이야기와 겹치는 부분이 적지 않다.
야사에선 이문원가 일자무식이라고 나오지만, 실제로는 진사시는 합격했고 영조에게 과거시험장에서 3글자만 써서 그 당돌함 때문에 아버지 음덕으로 문과에 합격한 인물이다. 그렇지만 기본적인 학문만 알고있지 벼슬할 정도의 깊은 학식이 있는 건 아니였다. 맹꽁이 서당에선 이문원 친아버지가 이천보를 대감 아우라 하지만 정 반대로 이천보와 이문원은 나이 차가 42세로 조선시대로 치면 조부와 손자의 나이 차로 이천보가 이문원 친아버지의 친척 형 또는 친척 아저씨뻘이 된다.

포천시는 그들과 유서가 깊은 지역이기 때문에 마스코트 역시 오성과 한음이다.

2. 만화


위 두 사람을 소재로 한 박수동 화백의 만화 제목. 1970년대에 소년 중앙에서 연재되었다. 이하 신판 오성과 한음 문서로.
또 비디오판 애니메이션이 있는데 사자성어 한자 공부용 비디오 만화이다.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해 다양한 사자성어를 알수있다. 투니버스 개국 초기인 1996년에 방영되기도 했다.

3. 오성X한음


팬텀 하록으로 알려진 유승진이 한섬세대에 이어 네이버 웹툰에 연재를 시작한 웹툰. 해당 문서로.

4. 고전게임


1993년 에이플러스(A+)라는 교육 출판사 업체에서 만들고 금성 소프트(현재 LG그룹)에서 배급한 어드벤처 게임. 오성과 한음을 조종하여 여러가지 임무를 맡는 게임. 방식은 물론 캐릭터 등의 그래픽 스타일마저 미국 어드벤처 게임 고블린의 영향이 상당히 짙게 드러난다. 이젠 레어가 된 정품 구성. 풀 플레이
이제는 도스박스로 실행해야 한다.

5. 개그 콘서트의 전 코너




[1] 이항복의 호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도 많은데, 이항복의 호 중 대표적인 것은 백사(白沙)이다. 젊은 시절에는 필운(弼雲)이라는 호를 쓰기도 했으며, 조선 시대 문인들이 다 그렇듯 이항복은 그 외에도 호가 많았다.[2] 그런데 조선 시대에는 15살 이상 나이 차이가 나지 않으면 굳이 서열을 나누고 하지 않았다. 류성룡이순신의 경우도 유성룡이 나이가 3살 더 많았고, 끝내 서로 앙숙이 되었지만 한때는 서로 친밀한 관계였던 송시열윤휴도 송시열이 10살 연상이었지만, 송시열은 윤휴를 벗으로 대우했다. 해동역사를 저술한 한치윤과 그 서문을 써준 유득공 역시 15세 이상 차이가 났지만 친구 관계였다. 정몽주정도전도 정몽주가 5살이 더 많다. 사실 한두 살 나이 차이로 서열을 매기는 건 실제 조선시대 풍토와는 거리가 있다.[3] 오늘날에도 60대 이상 장년층이나 노년층에서 나이 몇 년이 차이가 나도 친구로 지내는 경우를 의외로 적잖이 볼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이 세대가 출생했던 무렵은 전쟁이나 행정체계의 미비, 영양상태 등 여러 이유가 작용해 출생신고가 제때 안 된 경우가 많아서(그래서 베이비붐 세대 이전에 태어난 사람들은 나이를 말할 때 실제 나이랑 주민등록 나이를 구별해서 말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나이에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지내는 것에 가깝다. 어떤 의미에서는 1, 2살 꼬치꼬치 따지는 건 기성세대보다도 젊은층에서 더 심해진 측면도 있다.[4] 비슷한 케이스를 들자면 암행어사로 유명한 박문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