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렁이

 

[image]
'''우렁이'''
River snail
이명 : 논우렁이
''' ''Viviparidae'' ''' Gray, 1847
분류

'''동물계'''

연체동물문(Mollusca)

복족강(Gastropoda)

중복족목(Mesogastropoda)
''''''
'''논우렁이과'''(Viviparidae)
[image]
1. 개요
2. 사육
3. 식용
4. 우렁이 농법
5. 기타


1. 개요


중복족목 논우렁이과의 연체동물이다. 과에서 알 수 있듯이 큰구슬우렁이와는 달리 서식지가 이나 연못 등의 민물이다. 껍질의 색깔은 갈색, 암갈색, 흑색 정도이며 민물의 플랑크톤이나 같은 물풀, 작은 생물들을 먹이로 삼는다.

2. 사육


우렁이는 종에 따라서 성체의 크기가 다르다. 집 어항에 관상용 물고기와 같이 키울 수 있으며 물고기 밥만 줘도 우렁이도 같이 잘 자란다. 바닥에 가라앉은 사료 찌꺼기와 물고기들이 먹다남은 사료를 먹는다. 외국 왕우렁이는 수초까지도 먹어치우지만 토종 우렁이는 시들지 않으면 건드리지 않는다. 어항에 물고기 키우는 게 취미인 사람들 커뮤니티를 보면, 토종우렁이라고 해서 샀는데 외산 왕우렁이여서 비싼 수초가 초토화되었다는 슬픈 경험담도 적지 않다.
또한 딱히 물고기들에게 해를 주지도 않고, 오히려 이끼 등을 제거해주는 등 좋은 부분이 많다. 원래 벽에 찰싹 붙어있는 종이라서…. 오히려 우렁이를 물고기가 쪼는 일은 있다. 다만, 우렁이는 물밖을 다닐 수 있기 때문에[1], 개체수가 많아지면 달팽이처럼 어항 위로 올라와 지저분한 흔적을 남길 수 있고 똥도 남긴다. 이게 수초의 양분이 되면 좋지만, 그 정도를 넘거나 수초가 없는 어항이라면 계속 쌓이는 것이기에 따로 청소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자세히 보면 입이 있는데 마치 기공처럼 좌 우로 벌어지며 동그랗게 생겼다. 활동하는 시간에는 조금도 쉬지 않고 계속 입을 뻐끔거린다.
간혹 어디서 우렁이를 주워와서 어항에 넣고 기를 수도 있지만 그 우렁이가 외국수입종인 왕우렁이라면 곧 투명한 점액과 함께 작은 알(핑크빛이 돈다)들을 까서 어항 벽에 마구 붙여놓는데, 상당히 그 수가 많다. 게다가 부화하는 시간도 굉장히 짧아서 금방 어항 벽에 우렁이들이 다닥다닥 도배되는 광경을 볼 수 있다. 토종 우렁이는 새끼를 바로 낳으며 그 수는 수십 마리 정도다. 야생 우렁이는 기생충의 중간숙주기도 하고 미생물을 품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어항 속의 약한 물고기에게는 별로 안 좋을 수 있다.
이 새끼들의 이동 방식이 특이한데 물의 수막을 이용해서 물 표면 위에서 기어다니는 걸 볼 수 있다.
애플스네일 항목이 없고 우렁이랑 비슷하기에 이곳에 서술하자면 어항에서 기르는 우렁이 계열 생물을 기를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수족관 등에서 구매가능한 애플스네일은 수입이 금지되어 있으며 비슷하게 애완용으로 길러왔던 우렁이류들 중 렘즈혼, 암모나이트, 자홍, 헬레나(자객)스네일은 거래 또한 금지며 사육 자제 및 폐기가 권장된다. 예외로 범블비 스네일은 한국의 환경을 버티지 못하므로 수입금지도 아니다. 사실 애플스네일은 거래금지인 자홍과 근연종이나, 야생의 수입된 왕우렁이와 색을 제외하면 외형이 똑같기에 환경청도 단속에 난색을 표하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이상의 모든 수입 달팽이는 야생 방생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되며 왠만하면 타인 분양도 자제해야 한다.(거래금지생물은 거래하면 불법)[2]

3. 식용


과거에는 '토삼(土蔘)'이라고도 불렸을 정도로 약효가 탁월한 식자재이기도 하며, 쫄깃한 식감과 고소한 맛 덕분에 시골 향토음식으로 인기가 있다. 깨끗한 물에 하루정도 담가 해감하고 끓는 물에 데친 다음 속살을 발라내 쌀뜨물이나 밀가루로 비벼 이물질을 씻어내면 손질 끝. 이후 쌈밥이나 된장국 등을 끓여먹으면 아주 맛있다. 실제로 우렁농법을 쓰는 농가에서는 우렁이를 채집하여 식용으로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양식이나 농법에 쓰이는 우렁이는 대개 외산 왕우렁이로, 토종에 비해 맛이나 식감이 영 모자란다는 이야기가 많다. 그래도 맛나게 못 먹을 정도는 아니라 실제로 가공-판매되는 대부분의 우렁이는 왕우렁이다. 잡식성이고 번식력이 왕성하다는 것이 큰 장점이기 때문. 다만 "아무거나 잘 먹고 잘 자라며 새끼를 많이 친다=사업성이 있다"가 아니기 때문에 판로확보를 생각 못한 채 귀농하거나 사업에 손 대는 왕우렁이 양식업자들이 이 도산하는 경우도 있다.
우렁이는 주혈흡충 같은 위험한 기생충들의 중간숙주이기[3] 때문에 최대한 오래 익혀먹어야 한다. 사실 이는 다른 달팽이류 생명체들에게도 해당되는 사항이다.

4. 우렁이 농법


식성이 좋아서 민물어류 등을 넣어서 유기물로 지저분해진 어항에 넣어주면 유기물을 먹으면서 청소를 해준다. 2000년대 이후 이 식성을 이용한 유기농법으로 에 우렁이를 방생시키는 우렁이 농법이 확산되어 어느정도 개체가 유지되고 있다고 한다. 근성으로 농약을 안 쓰던 농부의 아들이 식용 우렁이 사업을 하겠답시고 하라는 농사일도 안 하고 돈도 안 되는 우렁이만 관리하자 화가 나서 아들의 우렁이를 전부 논밭에 버렸는데, 그 이후 잡초가 전혀 나지 않아 농사에 도움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
다만 외국산 왕우렁이를 사용하는 농법은 재앙으로 돌아오기도 한다. 겨울엔 다 얼어죽고 말라죽어야 할 왕우렁이들이 월동에 성공해버린 것. 농민들의 관리소홀과 기후변화도 여기에 한몫 거든다. 그래서 이른 봄만 되면, 왕우렁이가 먹으라는 잡초뿐만 아니라 어린 모()와 엉뚱한 농작물까지 초토화시켜버렸다. 2014년 제주 미나리 농가 피해기사. 이 경우는 도산한 우렁이 양식장에서 탈출한 왕우렁이들이 원인이다. 알도 수백~수천개씩 까기 때문에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결국 정부가 퇴치기술/관리기술까지 만들어 보급하는 중이다. 반대로 중북부 지방인 경기도강원도는 월동에 성공한 예가 그닥 없어 농촌진흥청 등이 왕우렁이 농법을 계속 보급/모니터링했다. 2016년 한국 농어민신문 기사. 하지만 결국 2020년에는 퇴출 수순에 들어갔다. 기사. 잡아 먹거나 식용으로 팔면 안 되겠냐 하지만 왕우렁이 양식장도 망하는 판에 품질이 들쭉날쭉하고 수량도 일정하지 않은 방사 왕우렁이는 한계가 있으니 방법이 없다. 친환경농가가 아닌 일반 농가에 침입해 활동하는 왕우렁이라면 잡아봤자 온갖 미생물/농약에 노출된 놈이라 식용으로 쓰지도 못한다.
우렁이 뿐만 아니라 오리 농법 등 '내수면 생태 양식'의 전반적으로 유사한 단점이 드러나 점점 하향세다. 그러나 동일 면적에서 친환경적이고 생산성도 높아 어떻게든 해당 농법을 살리기 위해 여러 농촌 연구소에서 연구중이다. 항목 및 수경재배 항목 참조.
참고로 백로의 먹이가 우렁이라서 이를 잡아먹기 위해 주변 논 등지에 백로가 자리를 잡는다.

5. 기타


골뱅이랑 여러모로 닮았지만, 골뱅이 쪽이 훨씬 비싸다. 다만 어슷비슷한 식감을 가졌으며 썰어놓으면 구별이 힘들다. 그래서 비양심적인 장사치들 중에서 골뱅이를 납품하기로 해 놓고는 우렁이를 납품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이에 관해서 재밌는 사건이 있다. 삼성 에버랜드가 골뱅이를 납품하기로 한 해군 군납계약에서 우렁이를 납품하였다가 골뱅이가 아니라는 이유로 거절당하자, 납품 안 하고 버티다가 정당한 사유 없이 계약 불이행을 이유로 관급공사 입찰자격 제한을 먹고, "골뱅이나 우렁이나 그게 그거임!"이라고 법원에서 주장했지만 패소했다.관련기사
설화 우렁각시에 '우렁이 속에 숨어 있는 미녀가 매일 몰래 집안일을 해준다'는 내용이 나온다.
[1] 시골 개울이나 둑방에서 놀아본 사람들은 기억할 것이다.[2] 그러나 마트 애완동물 코너 같은데 보면 이걸 여전히 파는 케이스도 있다.[3] 모든 우렁이가 주혈흡충의 중간숙주인 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