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우

 


1. 개별 문서가 있는 이강우(교수)
2.1. 선거 이력
3. 만화가 이강우


1. 개별 문서가 있는 이강우(교수)


이강우(교수): EBSi 소속 제2외국어·한문 영역(베트남어) 강사


2. 대한민국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이강우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이강우'''
'''李康雨'''

[image]
<colcolor=#fff><colbgcolor=#0047a0> '''본관'''
경주 이씨#
'''출생'''
1890년[1] 1월 10일
경상도 진주목 중안면 삼동
(현 경상남도 진주시 평안동)
'''사망'''
미상
'''학력'''
야마자키고등측량학교 (광산과 / 졸업)
관립한성외국어학교 (졸업)
보성전문학교 (법학 / 중퇴)
니혼대학 (학사)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clearfix]
이강우는 1890년 1월 10일 경상도 진주목 중안면 삼동(현 경상남도 진주시 평안동)에서 태어났다.
사립 야마자키고등측량학교 광산과와 관립한성외국어학교를 졸업하고 보성전문학교 법과에 입학하였다가, 재학 중에 반일연설로 인해 체포되던 도중 탈출하여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이후 일본에 유학, 니혼대학 법과에 입학하여 재학 중이던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김재화(金在華) 등과 함께 만세시위를 계획, 독립선언문과 교유문(敎喩文) 수백매를 인쇄하고, 태극기를 제작하여 시민들에게 사전에 배포한 뒤 3월 18일 진주군 진주면의 장날을 기하여 시장에 운집한 수천군중을 규합하여 독립만세시위를 주동하였다.# 그 직후 그는 강달룡을 비롯한 300여 명과 함께 체포되었으며, 이강우는 소위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일본으로 돌아가 니혼대학을 졸업하였다.
졸업 후 귀국하여 진주공립고등보통학교에서 3년간 교편을 잡았으며, 이후 진주시립근로학원장을 지냈다. 광복 전후에는 농업에 종사하였다.
8.15 광복 후 잠깐동안 광산업에 종사하기도 하였으며,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진주에 출마해 당선되어 헌법정부조직법 기초위원으로 활동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유덕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6.25 전쟁납북당했고 이후 구체적인 행적은 알 수 없다.
1989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으며, 이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2.1. 선거 이력


연도
선거종류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남 제6선거구(진주시))
무소속
'''7,313표 (26.18%)'''
'''당선'''

1950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제7선거구(진주시))
무소속
2,383표 (8.11%)
낙선 (4위)



3. 만화가 이강우


대표작으로 리버스(만화)가 있다. [2]

[1] 또는 1889년.#[2] 풍월량 이 이강우 작가 밑에서 막내 문하생으로 일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