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근

 


'''이광근의 역임 직책 /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한국시리즈 우승 코치'''
'''2000'''
'''2003'''
'''2004'''

'''청보 핀토스 등번호 18번'''
장명부(1985)

'''이광근(1986)'''

신태중(1987)
'''청보 핀토스 등번호 7번'''
김명성(1985~1986)

'''이광근(1987)'''

팀 해체
'''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36번'''
팀 창단

'''이광근(1988~1992)'''

공의식(1993~1995)
'''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72번'''
정현발(1989~1993)

'''이광근(1995)'''

팀 해체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72번'''
팀 창단

'''이광근(1996~2007)'''

팀 해체
'''서울 /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72번'''
조규제(2008)

'''이광근(2009~2011)'''

허문회(2013~2019)
'''SK 와이번스 등번호 72번'''
이홍범(2010~2011)

'''이광근(2012~2013)'''

박경완(2014)
'''kt wiz 등번호 72번'''
팀 창단

'''이광근(2014~2016)'''

김진욱(2017~2018)


[image]
'''이름'''
이광근(李光根 / Kwang-Geun Lee)
'''생년월일'''
1961년 1월 24일 (63세)
'''출신지'''
인천광역시
'''학력'''
인천창영초-동산중-동산고-중앙대
'''포지션'''
외야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1986년 1차지명 3순위 (청보)
'''소속팀'''
한일은행 (1984~1985)
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 (1986~1992)
'''지도자'''
태평양 돌핀스 코치 (1995)
현대 유니콘스 2군 주루코치 (1996~1998)
'''현대 유니콘스 1군 주루코치 (1999~2006)'''
현대 유니콘스 1군 수석코치 (2007)
넥센 히어로즈 1군 수석코치 (2009~2011)
SK 와이번스 1군 수석코치 (2012~2013)
kt wiz 수석코치 (2014)
kt wiz 1군 수석코치 (2015)
kt wiz 2군 감독 (2015~2016)
동산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9~)
1. 소개
2. 선수 시절
3. 지도자 시절
4. 여담
5. 연도별 성적
6. 관련 문서


1. 소개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이자 現 지도자. 선수로서의 경력은 그리 길지 않지만, 지도자로서는 공백 없이 꾸준히 활동한 인물이다.

2. 선수 시절


동산고와 중앙대를 거친 선수로 선수 시절에는 평범한 외야수였다. 1983년 졸업한 후에 실업팀인 한일은행에 입단해서 2년을 보냈다. 실업야구 무대에서 톱타자로 국가대표에도 선발된 후, 1986년에 고향 연고팀인 청보에 입단한 후, 1992년까지 선수 생활을 했다. 선수로서는 다소 평범했다. 1988년부터 1990년까지 70경기 가량 나가 2할대 후반의 타율을 기록한 것이 그나마 준수했던 성적. 태평양 시절에는 외야 경쟁을 펼치는 선수로 1989년에 PO 진출에 그럭저럭 기여한 외야수 1 정도의 위상에 불과했다. 결국 1992년을 끝으로 방출되면서 팀을 떠났다.

3. 지도자 시절


1994년에 미국 시애틀 매리너스 산하 마이너리그 팀에서 1년간 코치 연수를 받은 후, 1995년에 태평양과 2군 코치 계약을 맺은 것을 시작으로 꾸준히 프로야구 판에 남아 코치로 활동했다. 태평양이 현대 유니콘스로 바뀐 후에도 꾸준히 코치로 남아 2군 코치를 했다. 1998년 김일권이 잘리면서 1군으로 올라와 1군 주루 코치를 역임한 후, 2006 시즌 종료 후 김재박LG 트윈스로 건너갈 때, 같이 LG로 간 현대의 코치들과 달리 현대에 잔류하여 1군 수석코치가 되었다.
2007년 현대가 해체되고 이듬해인 2008년 우리 히어로즈가 창단될 때, 김시진 감독과 함께 팀을 나갔다. 그러나 2009 시즌 김시진 감독이 컴백하자 다시 1군 수석코치가 되었다. 2011년까지 1군 수석코치로 재직했지만, 시즌 후 계약이 해지되었다.
SK 와이번스의 수석코치로 2011년부터 재직했다. SK 수코 시절엔 이만수 감독과 덕아웃에서 언쟁을 벌이는 등 트러블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2013 시즌 종료 후 계약이 만료되자 이번에는 kt wiz조범현 감독을 보좌할 수석코치로 영입하며 꾸준히 프로야구판에 계속 남을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시즌 초반에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황병일 2군감독과 보직을 바꿔서, 2군 감독으로 내려갔다.
2016 시즌 후 조범현 감독의 재계약 불발에 대한 책임을 지고 2군 감독에서 사임했다.
프로 지도자에서 물러난 뒤 한동안 야인으로 지내다 모교인 동산고 감독으로 부임하게 됐다.

4. 여담


인천 동산고 야구부 감독은 어떻게 ‘연봉 9600만원’이 됐나. # 동산고등학교 야부구 감독에 부임하자마자 업계 평균이던 감독연봉을 최고수준까지 올려 받아 구설수에 올랐다.
열심히 동산고를 이끌어가고있다.
.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사구
삼진
출루율
장타율
OPS
1986
청보
23
.180
9
2
0
0
4
5
1
7
1
8
.288
.220
.508
1987
75
.267
40
8
1
0
11
10
0
13
1
23
.327
.333
.661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사구
삼진
출루율
장타율
OPS
1988
태평양
67
.298
61
18
1
5
25
20
0
18
2
26
.358
.468
.827
1989
69
.264
38
11
1
1
20
9
0
17
1
18
.342
.375
.717
1990
66
.277
44
13
2
2
18
25
1
25
3
17
.385
.421
.806
1991
7
.000
0
0
0
0
0
0
0
2
0
2
.200
.000
.200
1992
94
.234
47
10
0
4
25
21
0
22
2
41
.316
.343
.659
<color=#373a3c> '''KBO 통산'''
(7시즌)
401
.261
239
62
5
12
103
90
2
104
10
135
.341
.378
.719

6. 관련 문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