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근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9대 육군참모총장
이형근[1]
李亨根 | Lee Hyung-geun
'''
<colbgcolor=#dd0000><colcolor=white> '''출생'''
1920년 11월 2일
충청남도 공주군 (現 충청남도 공주시)
'''사망'''
2002년 1월 13일 (81세)
서울특별시
'''본관'''
공주 이씨
'''호'''
청재(靑哉)
'''복무'''
일본제국 육군
1942년 ~ 1945년
대한민국 육군
1946년 ~ 1959년
'''재임기간'''
초대 연합참모본부총장
1954년 5월 5일 ~ 1956년 6월 27일
제9대 육군참모총장
1956년 6월 27일 ~ 1957년 5월 17일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dd0000><colcolor=white> '''형제자매'''
동생 이상근
'''배우자'''
이필륜 (사별)
이혜란 (재혼)
'''학력'''
청주고등보통학교 (졸업)
일본육군야전포병학교 (졸업)
'''임관'''
일본육군사관학교 (56기)
군사영어학교 (1기)
'''최종계급'''
대위 (일본제국 육군)
대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보직'''
합동참모의장
'''주요보직'''
육군제8보병사단장
육군사관학교장
육군참모총장
주필리핀한국대사

1. 개요
2. 생애
3.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외교관.

2. 생애


충청남도 공주 출생.
1942년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2] 포병 대위로 복무하다 태평양 전쟁 종전을 맞았다. 전쟁 말 대륙타통작전 관련 이야기를 회고록에서 한다.
'''대한민국 국군 군번 제1번'''으로 유명하며 초대 육군참모총장을 지낸 이응준 장군의 사위이다. 참고로 여기서 국군 제1번이란 회고록에 의하면 군사 영어 학교 등록 번호이고 성적이라는 것인데, 실질적으로 군사 영어 학교에서 군번 취득용 시험은 없었다는게 오늘날의 기록이고 등록 번호 등은 채병덕등이 앞선 것도 사실이었다. 이런저런 사항을 감안하면 5번대 이후라는 것이 채병덕 평전에서 주장하는 내용. [3]
이형근의 회고록에서는 자신이 번호가 너무 빨라서 미군에게 내가 일본군에서 그들보다 계급이 낮은데 어떻게 된거냐고 물어보자 "우리는 일본군을 만들려고 한 것이 아니다. 국군을 만들려고 한 것이다. 과거 일본군에서 보내준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가 결정하였다."라고 하였다(이전에는 '군사 영어 학교 시험 성적으로 결정하였다.'라고 하였지만 안통하니 말을 바꾸었다). 이에 대해 채병덕 평전에서는 이미 망한 일본군에서 무슨 경황이 있다고 복무 성적 등 자료를 보내주는가 하며 비판하였다.
문제는 채병덕과 군번으로 인한 갈등 때문에 국군 탄생과 동시에 파벌이 생겼다. 이 갈등 와중에 채병덕이 육군 참모 총장이 되어 완벽하게 국군을 말아 먹는다. 그리고 이형근은 채병덕이 수상하다며 그의 회고록에서 계속하여 비판한다(채병덕 평전에는 이형근이 장인 백으로 군번 1번을 받았다며 비난한다).
1946년에 조선경비사관학교 교장을 맡았고, 국방 경비대 총사령관 겸 육군사관학교장, 통위부 참모총장, 제 8사단장을 역임했다.
6.25 전쟁이 터진 1950년 6월 제2사단장에 부임했고, 1951년 9월 휴전 회담 당시 한국 측 대표를 맡았다.
1956년 9월 제9대 육군참모총장이 되었으며 백선엽, 정일권과 함께 1950년대 군 주축 세력으로 활약하다 1959년 8월 대장으로 전역했다.
이후 주필리핀한국대사를 지냈다.

3. 여담


백선엽의 군과 나 이후에 군번 1번의 외길 인생이란 회고록을 월간 중앙에 연재했는데 마지막 부분에 제시한 "6.25 전쟁 10대 미스터리"가 아직도 인터넷에서는 유명하다. 오히려 업적보다도 이런 점으로 더 유명한 편.
2000년대 군사지에서 소개한 미 군사 고문단 관련 연구 자료와 미 군사 고문단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전쟁 초기에 주요 침공로인 축석로 방어에 중대한 오점을 남겼다는 이야기가 있다. 개전 후 오전 8시에 각 부대 지휘관의 원대 복귀를 명했고, 이형근의 고문관도 비슷한 시기에 부대 복귀를 명받았지만 막상 이형근은 오후나 되어서 복귀한다. 그때는 이미 축석령 부분의 방위는 포기한 상태였다. 간첩...론은 아니지만, 38선에서 흔히 일어나는 분쟁 정도로 가볍게 봤을 가능성도 있고 미 고문단 보고서도 이형근의 그런 실책을 암시하는 정도이다.
10대 미스터리는 주요한 떡밥이라서 연구가 되긴 했는데. 2017년 현재는 그렇게 신빙성 있는 의견은 나오지 못하고 있다. 한국 전쟁 연구 학자들이나 군 전문가들의 연구로 인해 부정되고 있는데 대체적으로는 이형근 본인의 판단 오류와, 초창기 한국군의 미숙함에서 비롯된 불운으로 해석하는 편이다. 일부 정치적인 논쟁거리로만[4] 나오는 편. 오히려 이형근의 여러 실책들이 묻히는 감이 있긴 하다.
1970년대 초에 젊은 시절을 보낸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아들인 가수 이현 (본명 이헌)이 더 유명할 지도 모른다. 이현은 '잘 있어요' 등의 히트곡을 남겼고, 가수 은퇴 후에는 기업인이 되었다고 한다.
[image]

[1] 일제강점기 당시 칭씨명은 마쓰야마 다케오 (松山武雄)[2] 이 시기 같은 학교에 있던 영친왕과 대면한 적이 있었는데 처음 만났을 당시에는 일본어로만 말해서 약간 실망했지만 광복 다음 날에 만났을 때는 일본인같은 행동거지를 제외하고 완벽한 한국어를 구사해서 놀랐다고 한다. 이전에는 조심해서 처신해야 해서 그랬지만 광복 이후에는 그럴 필요가 없어져서 그랬던 모양.[3] 채병덕과 군번 싸움으로도 말이 많았지만, 사실 김홍일이나 김석원 같은 원로가 군번 1번을 상징적이나마 받지 못한 것이 당대에도 말이 많았다. 일본군 경력자인 김석원이야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김홍일 장군은 광복군 출신이었는데도 말이다.[4] 이를테면 유재흥이라든가, 뉴데일리같은데서 나오는 좌빨 암약설이라든가. 최근에 조선일보에서는 모태범이라는 국군 장교가 이 10대 미스터리를 뒤에서 획책한 통적분자라고 나왔다. 그리고 정말 우연히 그날 동계 올림픽에서 모태범 선수가 금메달을 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