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순
1. 당나라의 인물
장순(당나라) 항목 참조.
2. 수호지의 등장인물
장순(수호지) 항목 참조.
3. 후한 말의 인물 1
張純
(? ~ 189)
본래는 후한의 장수이자 전(前) 중산의 상으로 185년에 양주에서 한수와 변장 등이 강족과 함께 반란을 일으키자 장온#s-2이 이끄는 토벌군에 참여해 손견, 도겸 등과 종군하기를 원했는데, 장온이 공손찬과 종군하게 하자 불만을 품었다.
187년에 고향 친구이자 전(前) 태산의 상이었던 장거에게 오환족이 혼란을 일으키려고 하거나 조정이 양주의 도적들을 막지 못한 것 등을 얘기하는 것으로 설득해 함께 병사를 모으면서 구력거의 수하로 들어가 요서, 요동속국, 우북평 오환 등 삼군 오환의 우두머리가 되어 오환족의 대인들과 연합하면서 모반을 일으켰다.
계현 아래에서 성곽을 불사르거나 백성들을 노략질하다가 공손찬에게 격파되지만 우북평태수 유정, 요동태수 양종, 호오환교위 공기조 등을 공격해 죽였으며, 스스로 미천장군(彌天將軍), 안정왕(安定王)이라 자칭했으며, 오환의 구력거와 초왕 소복연 등과 함께 5만의 병력으로 청주, 서주, 유주, 기주 등으로 침공해 어양, 하간, 발해 등을 약탈하거나 청하현, 평원현 등을 공격해 관리와 백성을 살해했다.
188년 9월에 조정에서 중랑장 맹익을 보내 기도위 공손찬을 이끌고 가 토벌하게 하자 10월에 석문산에서 공손찬에게 격파되었다. 189년 3월에 조정에서 유우를 사마와 유주목을 겸하게 하자 유우는 장순의 수급에 현상금을 펼치면서 어진 정치를 펼쳐 장순, 장거와 연합한 오환족을 스스로 물러가게 했는데, 결국 유우의 지시를 받은 공손찬의 공격을 받아 격파되자 처자를 버리고 변방의 요새를 넘어 선비로 달아나다가 문객인 왕정에게 살해당했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장거와 형제로 나오며, 대장군을 자칭해 반란을 일으켰지만 유우군 휘하에서 선봉이 된 유비의 공격을 받아 패한 이후 횡포하게 굴다가 부하들에게 암살된다.
3.1. 미디어 믹스
삼국지 시리즈에선 삼국지 7,[1] 삼국지 8에 나온 이후 나오지 않다가 삼국지 12에 다시 등장했다.
12편의 능력치는 클론인 8편과 달리 통솔력 73/'''무력 81'''/지력 60/정치력 36으로 상향되었다. 높게 책정된 무력은 양종 등을 격파하고 그들의 목을 취했다는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병종은 기병, 전법은 공성강화라서 백도어에 특화된 무장이다. 어째선지 공손찬과 혐오무장이 아니고 자신을 토벌할 때 참전한 유비와 상성이 맞다. 일러스트는 검 손잡이를 바닥에 짚고 있다.
삼국지 13에서는 12편과 별 다르지 않은 능력치로 등장한다. 반란을 일으킨 행적 탓에 8편에서는 의리가 낮았으나 이번작에서는 의리가 보통이다. 특기는 훈련 4 단 하나지만 동료인 장거보다 레벨이 3 높다. 전수특기도 당연히 훈련이고 전법은 기병속공진이다.
삼국지를 품다에서 유비 삼형제의 공격을 받다가 장거와 함께 백성들이 있는 곳을 불태워 시간을 끌었다가 다리 쪽에서 대기하는데, 결국 다리 쪽에서 병사들을 이끌고 싸우다가 전사한다.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 71, 무력 77, 지력 56, 정치 43, 매력 35로 전작에 비해 정치력이 7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2, 무력과 지력이 각각 4 하락했다. 개성은 친오, 친선, 공명, 격분,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3, 진형은 봉시, 학익, 전법은 제사, 매성, 친애무장은 장거, 혐오무장은 없다.
[image]
삼국지조조전 Online에서는 공손찬전, 유비전 등에서 등장하며, 장거의 동생으로 나온다. 병과는 산악기병. 능력치는 무력 79, 지력 69, 통솔 54, 민첩 71, 행운 61. 성격은 요설.
공손찬전에서 처음에는 우군, 후반부에는 적으로 등장해 변장, 한수의 난에 종군하면서 자신의 부하로 들어온 공손찬이 자신의 명령없이 돌격하자 전투가 끝나고 장온이 공손찬을 칭찬하자 공손찬이 자신의 명령없이 함부로 돌격했다면서 장온에게 따졌다가 파면된다.
공손찬이 유주로 부임하자 이를 습격해서 죽이려고 했다가 패해서 유주로 도망가며, 공손찬이 유주를 약탈한 이민족들을 토벌하자 이민족들을 선동해 공손찬을 공격하도록 한다. 장거가 천자를 칭한다고 하자 처음에는 말리다가 왕으로 임명한다고 하자 말리지 않으며, 공손찬이 이민족들을 무찌른 후에 군사를 이끌고 공격하자 단기접전으로 공손찬에게 붙잡힌다.
공손찬이 처형하기 전에 자신에게 원한을 품은 이유를 들어보겠다고 하자 패악질을 부렸다면서 장온과 짜고 자신을 파면했다고 따진다. 그러나 공손찬은 그런 것과 상관없이 장온에 대한 항명으로 파면된 것이며, 공손찬이 먼저 돌격해 공을 세울 기회를 빼앗긴 것에 원망했을 뿐이라고 하자 순순히 인정하며, 공손찬이 사람을 시켜 끌고 나가게 하자 용서할 수 없다면서 끌려나가고 처형된다.
유비전에서는 반란을 일으켰다가 공손찬과 단기접전을 하다가 패해 도망치는 듯 하면서 공손찬을 유인해 포위하며, 이 때 공손찬에게 머리가 백마와 같다고 조롱한다. 결국 관우와의 단기접전으로 사망한다.
초상화는 은왕 사마앙과 돌려쓰는 공용 초상화.
4. 후한 말의 인물 2
張馴
생몰년도 미상
후한 말의 인물. 자는 자맹(子鯭).
제음군 정도현 사람으로 어린 시절부터 태학에 유학해 춘추좌씨전에 통달했으며, 대하후상서를 가르쳤다. 공부에 초빙되어 고제로 추천되어 의랑에 임명되었다가 175년에 채옹, 당계전, 양사, 한열, 선양 등과 육경의 문자를 바로잡겠다고 상주해 영제가 이를 수락했다. 이것을 채옹이 직접 비석에 글을 써서 석공을 시켜 후학들이 모두 바른 글을 배울 수 있었으며, 석경이 세워지자 이를 구경하러 오는 사람과 베끼러 온 사람들이 많아 수레가 하루에도 1천여 량이 모여들어 거리를 메웠다고 한다.
시중에 임명되었다가 비서 부서를 담당하게 되자 다수의 훌륭한 진언을 받아들였다고 하며, 상황에 맞춰 정치의 득실을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조정은 그의 의견을 아름답고 훌륭하다고 여겨 칭송했으며, 단양태수로 승진하면서 교화에 노력해 자비로운 정치를 펼치다가 181년에 중앙으로 부름을 받아 상서에 임명되었다가 대사농으로 승진했지만 초평 연간[2] 에 임관한 상태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