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0보병여단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수도군단 제17보병사단 예하 '''제100보병여단'''. 별칭은 '''백승부대'''.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위치하고 있다.
2. 상세
제33보병사단 시절에는 평택, 화성 일대의 해안경계를 담당했던 것으로보아 당시에는 남양반도를 비롯한 아산만 근처의 경기 서남부권(수원, 화성, 평택)이 관할구역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인천항을 위시한 주변 지역 방위[1] 및 한강 하구 강안 경계[2] 를 맡고 있다. 연대본부는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위치해 있다.[3] 부대 개편이 예정된 연대로 현재 전입병 수가 크게 줄어든 상태며 연대본부와 가까운 2대대의 경우 대대급 통합막사 신축으로 인해 컨테이너 생활관을 구축해 사용 중이다. 과거 제2신병교육대대를 운영하던 시절 17보병사단 제2신병교육대대가 100연대 1대대였다.
3대대는 원래 학운부대였으나 18년 초 이X순 중령에 의해 뇌전으로 명칭 변경되었다. 3대대는 강화도 초지대교 남단의 대명리소초부터 경인북항 경인감시기지까지 3개의 소초와 1개의 감시기지가 있는데, 중대별로 GOP, GP처럼 순환으로 투입 철수하는 해안경계부대다. 평소 외출 외박이 제한되어있으나, 용사들은 한달에 3일의 해안경계보상휴가와 추가 경계비를 받는다. 해안에 투입된 부대는 9,10,11중대등의 명칭 이외에 장도중대라고 불리기도 한다. (중대본부가 장도소초에 있기 때문)
2020년 말에 연대 통합막사가 신축되면서, 사단 영내에 독립대대로 주둔하던 1대대가 연본과 2대대가 있는 계양구 쪽으로 이전하였다. 기존에 1대대가 맡던 사단영내 예비대 역할은 102연대로 다시 넘어가게 되었다.
국방개혁 2.0 2020년 12월 1일부로 연대에서 여단으로 개편되었다.
3. 편제
3.1. 여단 직할대
3.2. 군수지원대대
3.3. 제1대대 진격
- 본부중대
- 제1중대
- 제2중대
- 제3중대
- 제4중대
3.4. 제2대대 천마
- 본부중대
- 제5중대
- 제6중대
- 제7중대
- 제8중대
3.5. 제3대대 뇌전
- 본부중대
- 제9중대
- 제10중대
- 제11중대
- 제12중대
4. 과거부대
제2신병교육대를 운영하던 시절, 17사단의 제2신병교육대는 100여단 1대대가 운영했었다. 1대대가 과거 독립대대였던 이유. 현재는 제2신병교육대 자체가 없어져서 제2신병교육대를 거치지 않은 2010년대 중후반대 군번들의 대부분은 1대대가 뜬금없이 독립대대가 되어 본대에서 떨어져 사단 본부에 홀로 주둔했었던 이유를 몰랐다.[4]
5. 출신인물
5.1. 여단장
5.2. 장교/부사관
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 17사 예하 보병여단 중에서는 사단 본부와 가장 먼 곳에 주둔 중인 여단이다. 하지만 광역시 소재 부대답게 주변 교통환경은 매우 양호한 편에 속한다. 여단본부는 인천 지하철 1호선 귤현역 역세권이며 예하 대대들은 계양역 역세권에 해당한다. 계양역이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인천 지하철 1호선의 환승역이기 때문에 출타 때는 경인 지역이 연고지인 장병이 아닌 이상 대부분 공항철도 타고 서울로 나가는 것을 선호한다.
- 대대별로 맡고 있는 임무가 달라서 근무 환경은 대대별로 차이가 많이 있었다.(19년도 군번 기준) 특히 2020년 12월 여단급 개편 전까지 부평구 사단본부 영내에 독립대대 형태로 주둔 중이었던 1대대의 경우 연대(現 여단) 주임무에서 벗어난, 사단 본부 영내 예비대 역할 및 5분대기조 역할을 맡았다. 지금은 대대 통합 막사가 신축되고 모든 대대가 막사를 공유하게 되어 지금은 근무 환경이 대대별로 비슷해진 상황. 하지만 여전히 해강안 경계임무를 맡고 있는 3대대는 다른 대대에 훈련을 짬시킨 대신 실제 작전으로 24시간이 돌아가는 부대라 경계병들이 분기별로 바뀌는 생활패턴에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