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3회 (신)명인전
1. 개요
2007년 12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진행됐던 명인전.
이 대회에서는 출전에 관련된 두가지 기록이 나왔다.
- 천자루이 九단[1]은 53세 3개월 이라는 최고령 나이에 명인 리그전에 첫 출전하는 기록을 세웠다.[3]
- 이야마 유타 七단은 18세 5개월로 최연소 명인 리그전 출전 기록을 세웠다.[4]
2. 최종 예선
3. 출전 선수 명단
4. 본선 리그
5. 도전 7번기
'''장쉬, 타이틀 방어!'''[7]
| 1조 | ||||||||
| 야마시타 게이고 | 이야마 유타 | 나카오노다 도모미 | 야다 나오키 | 판산치 | 고노린 | 나카무라 히데히토 | 혼다 구니히사 | 슈토 슌 |
| 고노 | ||||||||
| 이야마 | 나카오노다 | 고노 | 슈토 | |||||
| 이야마 | 고노 | |||||||
| '''이야마 유타''' | ||||||||
| 2조 | |||||||||
| 미무라 도모야스 | 천자루이 | 쑤야오궈 | 하네 나오키 | 오가키 유사쿠 | 미조카미 도모치카 | 이마무라 도시야 | 오가타 마사키 | 유키 사토시 | 우에키 요시오 |
| 하네 | 오가타 | ||||||||
| 천 | 하네 | 오가타 | 유키 | ||||||
| 천 | 오가타 | ||||||||
| '''천자루이''' | |||||||||
| 3조 | |||||||||
| 히코사카 나오토 | 조선진 | 왕밍완 | 조치훈 | 사토 마사하루 | 소노다 유이치 | 구로타키 마사노리 | 가타야마 야스오 | 고바야시 고이치 | 야마다 다쿠지 |
| 조(치) | 구로타키 | ||||||||
| 조(선) | 조(치) | 소노다 | 고바야시 | ||||||
| 조(치) | 소노다 | ||||||||
| '''조치훈''' | |||||||||
| '''타이틀 보유자''' | '''출생 년도''' | '''출생지''' | '''리그 출전 횟수''' | '''우승 경력''' | '''도전기 패배 경력''' |
| 장쉬 九단 | 1980년 1월 20일 | 대만 | 6회 연속, 총 6회 출전 | 3회 | 1회 |
| '''이름''' | '''출생 년도''' | '''출생지''' | '''리그 출전 횟수''' | '''우승 경력''' | '''도전기 패배 경력''' |
| 다카오 신지 九단 | 1976년 10월 26일 | 치바현 | 3회 연속, 총 3회 출전 | 1회 | 1회 |
| 야마다 기미오 九단 | 1972년 9월 9일 | 오사카부 | 5회 연속, 총 5회 출전 | | |
| 사카이 히데유키 七단 | 1973년 4월 23일 | 효고현 | 4회 연속, 총 4회 출전 | | |
| 고바야시 사토루 九단 | 1959년 4월 5일 | 나가노현 | 5회 연속, 총 7회 출전 | | 1회 |
| 요다 노리모토 九단 | 1966년 2월 11일 | 홋카이도 | 13회 연속, 총 19회 출전 | 4회 | 2회 |
| 황이주 七단 | 1987년 4월 10일 | 대만 | 3회 연속, 총 3회 출전 | | |
| 조치훈 九단 | 1956년 6월 20일 | 한국 | 4회만의 출전, 총 29회 출전 | 9회 | 3회 |
| 천자루이 九단 | 1954년 8월 23일 | 중국[5] 29세에 홍콩으로 이주 하였다. | 첫 출전 | | |
| 이야마 유타 七단 | 1989년 5월 24일 | 오사카부 | 첫 출전 | | |
| '''서열''' | '''이름''' | '''다카오''' | '''야마다''' | '''사카이''' | '''고바야시''' | '''요다''' | '''황''' | '''조''' | '''천''' | '''이야마''' | '''승''' | '''패''' | '''결과''' |
| 1 | 다카오 신지 九단 | ''' ''' | O | X | O | X | X | O | O | X | 4 | 4 | 4위 |
| 2 | 야마다 기미오 九단 | X | ''' ''' | O | O | X | O | X | O | O | 5 | 3 | 2위 |
| 3 | 사카이 히데유키 七단 | O | X | ''' ''' | X | O | O | X | O | X | 4 | 4 | 5위 |
| 4 | 고바야시 사토루 九단 | X | X | O | ''' ''' | O | X | O | O | X | 4 | 4 | 6위 |
| 5 | 요다 노리모토 九단 | O | O | X | X | ''' ''' | X | X | O | O | 4 | 4 | 탈락 |
| 6 | 황이주 七단 | O | X | X | O | O | ''' ''' | X | O | X | 4 | 4 | 탈락 |
| 7 | 조치훈 九단 | X | O | O | X | O | O | ''' ''' | O | X | 5 | 3 | 3위 |
| 7 | 천자루이 九단 | X | X | X | X | X | X | X | ''' ''' | X | 0 | 8 | 탈락 |
| 7 | 이야마 유타 七단 | O | X | O | O | X | O | O | O | ''' ''' | 6 | 2 | '''도전자'''[6] 이로 인해 七단에서 八단으로 승단하였다. |
| 대국 구분 | 일정 | 승자 | 패자 | 장소 | 결과 |
| 1국 | 9월 4, 5일 목, 금요일 | 이야마 유타 | '''장쉬''' |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 | 백 5집반승 |
| 2국 | 9월 17, 18일 수, 목요일 | 이야마 유타 | '''장쉬''' | 시가현 오쓰시 | 흑 반집승 |
| 3국 | 9월 24, 25일 수, 목요일 | '''장쉬''' | 이야마 유타 | 기후현 다카야마시 | 흑 불계승 |
| 4국 | 10월 8, 9일 수, 목요일 | '''장쉬''' | 이야마 유타 | 시즈오카현 아타미시 | 백 불계승 |
| 5국 | 10월 15, 16일 수, 목요일 | '''장쉬''' | 이야마 유타 | 시즈오카현 이토시 | 흑 반집승 |
| 6국 | 10월 30, 31일 목, 금요일 | 이야마 유타 | '''장쉬''' | 시즈오카현 이즈시 | 흑 불계승 |
| 7국 | 11월 5, 6일 수, 목요일 | '''장쉬''' | 이야마 유타 | 야마나시현 고후시 | 백 불계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