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역별 결과
1.1.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10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2,523,110'''
| '''1위'''
|
'''50.92%'''
| '''5'''
|
2
| 자유한국당
| '''1,250,856'''
| '''2위'''
|
'''25.24%'''
| '''3'''
|
3
| 바른미래당
| '''569,224'''
| '''3위'''
|
'''11.48%'''
| '''1'''
|
4
| 민주평화당
| 43,839
| 5위
|
0.88%
|
|
5
| 정의당
| '''480,371'''
| '''4위'''
|
'''9.69%'''
| '''1'''
|
6
| 민중당
| 17,249
| 7위
|
0.34%
|
|
7
| 대한애국당
| 15,726
| 8위
|
0.31%
|
|
8
| 국제녹색당
| 2,559
| 11위
|
0.05%
|
|
9
| 녹색당
| 37,974
| 6위
|
0.76%
|
|
10
| 우리미래
| 8,223
| 9위
|
0.16%
|
|
11
| 친박연대
| 5,802
| 10위
|
0.11%
|
|
'''계'''
| 선거인 수
| 8,380,947
| 투표율 59.9%
|
투표 수
| 5,017,105
|
무효표 수
| 62,172
|
서울시장선거에서 당선된
박원순 후보의 득표율보다 살짝 낮지만, 그래도 완전히 두 야당을 깔아뭉갰다.
보수 야당들은 서울에서 완벽한 참패를 거뒀다. 그나마 25%라도 챙긴 한국당이야 그렇다 쳐도, 미래당은 4위 정의당과도 겨우 '''1.79%''' 차이에 그치며 진보,보수 두 계층에서 모두 외면받았다.
녹색당은 작전에 성공했다. 퀴어 축제 관련 박원순 시장의 논란을 이용해 페미니스트를 강조하며 0.76%를 기록하며 나름 선방했다.
여담으로, 군소정당
친박연대(2017년)은 그들 입장에서 보면 상당히 의미있는 성과를 거뒀는데, 0.06% 차이로 같은 보수 정당
국제녹색당을 이기고 탈꼴찌한 것.뭐 그래봤자 의미는 딱히 없지만.
1.2.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5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825,832'''
| '''1위'''
|
'''48.81%'''
| '''3'''
|
2
| 자유한국당
| '''621,446'''
| '''2위'''
|
'''36.73%'''
| '''2'''
|
3
| 바른미래당
| 113,881
| 3위
|
6.73%
|
|
4
| 민주평화당
| 7,289
| 8위
|
0.43%
|
|
5
| 정의당
| 92,157
| 4위
|
5.44%
|
|
6
| 민중당
| 11,833
| 6위
|
0.69%
|
|
7
| 대한애국당
| 7,523
| 7위
|
0.44%
|
|
8
| 녹색당
| 11,915
| 5위
|
0.7%
|
|
'''계'''
| 선거인 수
| 2,939,046
| 투표율 58.8%
|
투표 수
| 1,727,251
|
무효표 수
| 35,375
|
자유한국당은 기어코 텃밭 부산도 뺏겼다. 이 모든 일을 일으킨
만악의 원인은 바로 서병수. 그야말로 최악의 행정 능력을 보여주며 50%를 넘던 한국당의 지지율을 15% 감소시켰다.
바른미래당은 6.7%에 그치며 당선자 배출에 실패,
하태경이라는 지역구 의원이 있음에도 이 같은 득표율을 거둔 것이다. 이렇게 되면서 다음 선거서 하태경 의원이 사수할 수 있을지도 걱정이 되는 상황.
1.3.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3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410,081'''
| '''2위'''
|
'''35.78%'''
| '''1'''
|
2
| 자유한국당
| '''528,806'''
| '''1위'''
|
'''46.14%'''
| '''2'''
|
3
| 바른미래당
| 123,592
| 3위
|
10.78%
|
|
5
| 정의당
| 49,736
| 4위
|
4.34%
|
|
6
| 민중당
| 5,559
| 7위
|
0.48%
|
|
7
| 대한애국당
| 15,211
| 5위
|
1.32%
|
|
8
| 노동당
| 5,380
| 8위
|
0.46%
|
|
9
| 녹색당
| 7,535
| 6위
|
0.65%
|
|
'''계'''
| 선거인 수
| 2,047,286
| 투표율 57.3%
|
투표 수
| 1,172,082
|
무효표 수
| 26,182
|
민주당은 보수의 심장에서 36%를 기록하며 대구 민심의 이반을 보여주었다. 반면 바른미래당은
유승민 파워도 없었는지 고작 10.8%에 그치며 당선자 배출에 실패했다. 또한 극우정당
대한애국당은 고작 1.3%에 그치며 4.3%인 정의당에게도 완전히 밀리며 친박의 몰락을 보여주었다.
1.4.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4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733,691'''
| '''1위'''
|
'''55.27%'''
| '''2'''
|
2
| 자유한국당
| '''350,909'''
| '''2위'''
|
'''26.43%'''
| '''1'''
|
3
| 바른미래당
| 88,093
| 4위
|
6.63%
|
|
4
| 민주평화당
| 8,909
| 5위
|
0.67%
|
|
5
| 정의당
| '''122,539'''
| '''3위'''
|
'''9.23%'''
| '''1'''
|
6
| 민중당
| 5,645
| 7위
|
0.42%
|
|
7
| 대한애국당
| 4,566
| 9위
|
0.34%
|
|
8
| 노동당
| 4,979
| 8위
|
0.37%
|
|
9
| 녹색당
| 7,900
| 6위
|
0.59%
|
|
'''계'''
| 선거인 수
| 2,440,779
| 투표율 55.3%
|
투표 수
| 1,348,769
|
무효표 수
| 21,538
|
인천은 안 그래도 한국당에게 굉장히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었는데, 여기에
이부망천이 완전히 기름을 부으며 26.4%, 55.3%의 1위 민주당에게 더블스코어로 밀리는 비극을 만들어냈다.
바른미래당은 6.6%에 그치며 망한 반면,
정의당은 9.2%로 당선자를 배출하는 쾌거를 이루어냈다.
1.5.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3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461,406'''
| '''1위'''
|
'''67.47%'''
| '''2'''
|
2
| 자유한국당
| 9,465
| 6위
|
1.38%
|
|
3
| 바른미래당
| 30,015
| 5위
|
4.38%
|
|
4
| 민주평화당
| 56,341
| 3위
|
8.23%
|
|
5
| 정의당
| '''87,327'''
| '''2위'''
|
'''12.77%'''
| '''1'''
|
6
| 민중당
| 31,417
| 4위
|
4.59%
|
|
7
| 노동당
| 4,257
| 7위
|
0.62%
|
|
8
| 녹색당
| 3,610
| 8위
|
0.52%
|
|
'''계'''
| 선거인 수
| 1,172,429
| 투표율 59.2%
|
투표 수
| 694,138
|
무효표 수
| 10,300
|
민주당의 68% 완승이야 예견되었지만, 명색이 호남 정당인 민평당은 고작 8.2%를 득표, 12.8%인 정의당에게 완전히 밀리며 호남 정당이라는 별명을 구겼다. 그리고 그들의 형제(....)
바른미래당은 4.4%로, 그래도 조직력이 살아있는
민중당의 4.6%에도 밀리며 완전히 호남에서의 영향력을 상실했음을 입증했다.
1.6.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3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384,083'''
| '''1위'''
|
'''55.21%'''
| '''2'''
|
2
| 자유한국당
| '''183,819'''
| '''2위'''
|
'''26.42%'''
| '''1'''
|
3
| 바른미래당
| 61,971
| 3위
|
8.9%
|
|
5
| 정의당
| 54,292
| 4위
|
7.8%
|
|
6
| 민중당
| 3,613
| 6위
|
0.51%
|
|
7
| 노동당
| 3,315
| 7위
|
0.47%
|
|
8
| 녹색당
| 4,509
| 5위
|
0.64%
|
|
'''계'''
| 선거인 수
| 1,219,513
| 투표율 58%
|
투표 수
| 706,847
|
무효표 수
| 11,245
|
괜히 민심의 풍향계가 아니었다. 민주 vs 한국에서 민주당은 28.8% 차이, 더블스코어로 한국당을 학살하며 이번 선거를 요약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 바른미래당은 9%도 넘기지 못하며 7.8%인 정의당에게도 1.1% 차이로 쫓겼다.
1.7.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3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281,772'''
| '''1위'''
|
'''47%'''
| '''2'''
|
2
| 자유한국당
| '''199,505'''
| '''2위'''
|
'''33.28%'''
| '''1'''
|
3
| 바른미래당
| 31,414
| 5위
|
5.24%
|
|
5
| 정의당
| 38,680
| 3위
|
6.45%
|
|
6
| 민중당
| 31,932
| 4위
|
5.32%
|
|
7
| 대한애국당
| 2,872
| 7위
|
0.47%
|
|
8
| 노동당
| 10,439
| 6위
|
1.74%
|
|
9
| 녹색당
| 2,824
| 8위
|
0.47%
|
|
'''계'''
| 선거인 수
| 942,550
| 투표율 64.8%
|
투표 수
| 610,550
|
무효표 수
| 11,112
|
진보정당의 성지가 무색하게 정의당은 6.5%, 민중당은 5.3%에 그치며 당선자를 배출해내지 못했다.
노동당 역시 1.7%에 그치며
진보신당 시절의 위용이 무색해졌다. 참고로 이 세 당의 득표율을 합치면 13.6%인데, 이는 한국당의 33.3%의 절반에도 한참 못 미친다(....)
1.8.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2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79,752'''
| '''1위'''
|
'''59.01%'''
| '''1'''
|
2
| 자유한국당
| '''23,567'''
| '''2위'''
|
'''17.43%'''
| '''1'''
|
3
| 바른미래당
| 14,455
| 4위
|
10.69%
|
|
5
| 정의당
| 17,369
| 3위
|
12.85%
|
|
|
|
|
|
사퇴
|
|
'''계'''
| 선거인 수
| 222,852
| 투표율 61.7%
|
투표 수
| 137,593
|
무효표 수
| 2,450
|
자유한국당은 세종에서 17.4%에 그치며 민주당에게 약 41.6%p 정도 밀렸고, 사실상 세종에서의 자유한국당의 영향력은 0에 가까웠다. 다만, 세종시의 비례 정원이 단 2석 뿐이라, 이렇게 차이가 나고도 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은 1석씩을 나눠갖게 되었다.
3위 정의당은 의석을 배분받지 못했지만, 12.9%를 득표하며 자유한국당과 고작 4.5%p 차이밖에 나지 않았는데, 읍면동별로 보면, 동 지역 전체(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는 전부 정의당 득표수가 자유한국당보다 더 많이 나왔다. 다만 그 차이가 그렇게 크지는 않았다.
조치원읍과 면 지역에선 그래도 자유한국당 표가 정의당 표보다는 훨씬 많이 나왔고 이게 2-3위간 순위를 확정지은 요인이 되었다.
'''경기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13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3,168,149'''
| '''1위'''
|
'''52.81%'''
| '''7'''
|
2
| 자유한국당
| '''1,528,315'''
| '''2위'''
|
'''25.47%'''
| '''3'''
|
3
| 바른미래당
| '''467,000'''
| '''4위'''
|
'''7.78%'''
| '''1'''
|
4
| 민주평화당
| 39,734
| 5위
|
0.66%
|
|
5
| 정의당
| '''686,579'''
| '''3위'''
|
'''11.44%'''
| '''2'''
|
6
| 민중당
| 25,687
| 7위
|
0.42%
|
|
7
| 대한애국당
| 18,353
| 8위
|
0.3%
|
|
8
| 노동당
| 18,034
| 9위
|
0.3%
|
|
9
| 녹색당
| 31,462
| 6위
|
0.52%
|
|
10
| 우리미래
| 15,341
| 10위
|
0.25%
|
|
'''계'''
| 선거인 수
| 10,533,027
| 투표율 57.8%
|
투표 수
| 6,082,648
|
무효표 수
| 83,994
|
현역 지사
남경필의 존재가 무색하게 한국당은 25.5%에 그치며 1위 민주당(52.9%)에 학살당했다. 반면에
정의당은 11.4%로 7.8%의
바른미래당을 제친 건 물론, 당선자를 2명이나 배출했다. 민중당 0.4%+노동당 0.3%+녹색당 0.5%로 확실히 제1진보당의 위치를 공고히 한 건 덤.
'''강원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5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388,465'''
| '''1위'''
|
'''48.88%'''
| '''3'''
|
2
| 자유한국당
| '''268,114'''
| '''2위'''
|
'''33.74%'''
| '''2'''
|
3
| 바른미래당
| 52,358
| 4위
|
6.58%
|
|
4
| 민주평화당
| 4,864
| 7위
|
0.61%
|
|
5
| 정의당
| 55,082
| 3위
|
6.93%
|
|
6
| 민중당
| 5,955
| 6위
|
0.74%
|
|
7
| 대한애국당
| 3,849
| 10위
|
0.48%
|
|
8
| 노동당
| 4,109
| 8위
|
0.51%
|
|
9
| 녹색당
| 3,861
| 9위
|
0.48%
|
|
10
| 새누리당
| 7,978
| 5위
|
1%
|
|
'''계'''
| 선거인 수
| 1,296,196
| 투표율 %
|
투표 수
| 819,280
|
무효표 수
| 24,645
|
평창 동계 올림픽의 완벽한 성공으로 민주당은 48.9%를 득표, 강원도도 손에 넣었다.
사실 강원도에서는 미래당,정의당 모두 존재감이 없었는데, 둘이 각각 6.6%,6.9%에 그쳤기 때문. 여담으로 원외 극우+친박 정당
새누리당은 1%를 득표, 같은 극우 정당
대한애국당의 2배를 득표하며 나름 위안을 삼을 수 있게 됐다.
'''충청북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3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388,869'''
| '''1위'''
|
'''51.06%'''
| '''2'''
|
2
| 자유한국당
| '''237,403'''
| '''2위'''
|
'''31.17%'''
| '''1'''
|
3
| 바른미래당
| 51,144
| 4위
|
6.71%
|
|
4
| 민주평화당
| 5,048
| 5위
|
0.66%
|
|
5
| 정의당
| 62,903
| 3위
|
8.26%
|
|
6
| 민중당
| 4,422
| 6위
|
0.58%
|
|
7
| 노동당
| 4,123
| 7위
|
0.54%
|
|
8
| 녹색당
| 3,734
| 9위
|
0.49%
|
|
9
| 우리미래
| 3,880
| 8위
|
0.5%
|
|
'''계'''
| 선거인 수
| 1,318,186
| 투표율 59.3%
|
투표 수
| 782,129
|
무효표 수
| 20,603
|
'''충청남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4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513,623'''
| '''1위'''
|
'''52.47%'''
| '''2'''
|
2
| 자유한국당
| '''308,911'''
| '''2위'''
|
'''31.55%'''
| '''1'''
|
3
| 바른미래당
| 62,651
| 4위
|
6.4%
|
|
5
| 정의당
| '''75,441'''
| '''3위'''
|
'''7.7%'''
| '''1'''
|
6
| 민중당
| 10,442
| 5위
|
1.06%
|
|
7
| 녹색당
| 7,775
| 6위
|
0.79%
|
|
'''계'''
| 선거인 수
| 1,740,413
| 투표율 58.1%
|
투표 수
| 1,011,235
|
무효표 수
| 32,292
|
'''전라북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4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654,606'''
| '''1위'''
|
'''68.1%'''
| '''2'''
|
2
| 자유한국당
| 34,924
| 5위
|
3.63%
|
|
3
| 바른미래당
| 35,902
| 4위
|
3.73%
|
|
4
| 민주평화당
| '''89,809'''
| '''3위'''
|
'''9.34%'''
| '''1'''
|
5
| 정의당
| '''123,833'''
| '''2위'''
|
'''12.88%'''
| '''1'''
|
6
| 민중당
| 11,981
| 6위
|
1.24%
|
|
7
| 녹색당
| 10,168
| 7위
|
1.05%
|
|
'''계'''
| 선거인 수
| 1,527,729
| 투표율 65.2%
|
투표 수
| 996,370
|
무효표 수
| 35,147
|
'''전라남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6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723,050'''
| '''1위'''
|
'''69.06%'''
| '''4'''
|
2
| 자유한국당
| 26,446
| 6위
|
2.52%
|
|
3
| 바른미래당
| 36,670
| 5위
|
3.5%
|
|
4
| 민주평화당
| '''120,536'''
| '''2위'''
|
'''11.51%'''
| '''1'''
|
5
| 정의당
| '''91,160'''
| '''3위'''
|
'''8.7%'''
| '''1'''
|
6
| 민중당
| 37,342
| 4위
|
3.56%
|
|
7
| 녹색당
| 11,644
| 7위
|
1.11%
|
|
'''계'''
| 선거인 수
| 1,577,224
| 투표율 69.2%
|
투표 수
| 1,092,029
|
무효표 수
| 45,181
|
'''경상북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6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475,292'''
| '''2위'''
|
'''34.05%'''
| '''2'''
|
2
| 자유한국당
| '''697,539'''
| '''1위'''
|
'''49.98%'''
| '''3'''
|
3
| 바른미래당
| '''115,303'''
| '''3위'''
|
'''8.26%'''
| '''1'''
|
4
| 민주평화당
| 8,863
| 8위
|
0.63%
|
|
5
| 정의당
| 54,329
| 4위
|
3.89%
|
|
6
| 민중당
| 13,429
| 6위
|
0.96%
|
|
7
| 대한애국당
| 17,717
| 5위
|
1.26%
|
|
|
|
|
|
등록무효
|
|
9
| 친박연대
| 13,038
| 7위
|
0.93%
|
|
'''계'''
| 선거인 수
| 1,577,224
| 투표율 64.7%
|
투표 수
| 1,395,480
|
무효표 수
| 45,181
|
'''경상남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6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799,593'''
| '''1위'''
|
'''45.31%'''
| '''3'''
|
2
| 자유한국당
| '''685,824'''
| '''2위'''
|
'''38.86%'''
| '''2'''
|
3
| 바른미래당
| 93,965
| 4위
|
5.32%
|
|
5
| 정의당
| '''135,339'''
| '''3위'''
|
'''7.66%'''
| '''1'''
|
6
| 민중당
| 23,435
| 5위
|
1.32%
|
|
7
| 대한애국당
| 12,011
| 7위
|
0.68%
|
|
8
| 녹색당
| 14,437
| 6위
|
0.81%
|
|
'''계'''
| 선거인 수
| 2,765,485
| 투표율 65.8%
|
투표 수
| 1,819,095
|
무효표 수
| 54,491
|
'''자유한국당의 텃밭, 민주당의 우세 지역이 되다'''
자유한국당은 우세 지역인 경남에서 38.86%를 받았지만 민주당은 45.31%를 받으며 한국당을 약 6.5%p 정도 앞서게 된다. 이로 민주당은 3석을 얻고 한국당은 2석을 얻고 정의당은 7.66%를 얻어 1석을 얻었다.
1.1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비례대표''' (선거정수 7석)
|
기호
| 정당명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당선인 수
|
1
| 더불어민주당
| '''185,218'''
| '''1위'''
|
'''54.25%'''
| '''4'''
|
2
| 자유한국당
| '''61,705'''
| '''2위'''
|
'''18.07%'''
| '''1'''
|
3
| 바른미래당
| '''25,503'''
| '''4위'''
|
'''7.47%'''
| '''1'''
|
5
| 정의당
| '''40,553'''
| '''3위'''
|
'''11.87%'''
| '''1'''
|
6
| 민중당
| 5,496
| 7위
|
1.6%
|
|
7
| 노동당
| 6,277
| 6위
|
1.83%
|
|
8
| 녹색당
| 16,640
| 5위
|
4.87%
|
|
'''계'''
| 선거인 수
| 532,515
| 투표율 65.9%
|
투표 수
| 350,904
|
무효표 수
| 9,512
|
'''완전히 엇갈린 표심'''
제주도지사는 새누리당-바른미래당 출신의 원희룡 후보가 문대림 후보를 약 11.7%p 차로 앞섰지만 다른 나머지 선거는 민주당이 압도적으로 앞섰다. 이로 이 비례대표 도의원은 민주당이 4명, 한국당은 고작 1석, 정의당, 바른미래당도 1석씩 내주었다. 정의당과 바른미래당도 상당히 앞서간 선거 결과있다. 녹색당도 약 5% 정도를 얻어 선전했다고 볼 수 있다. 여담으로 정말 압도적이라고 느껴지는 것이 민주당계(민주,정의,민중,노동,녹색당)같은 경우는 비례대표를 모두 합치면 '''약 75%(!!)'''가 나온다는 것이다.
심지어 단순 득표율로 진보정당인 정의당, 노동당, 녹색당, 민중당의 득표율을 합하면 '''한국당의 득표율을 넘게 된다!!'''
2. 전국 결과
'''지역'''
| '''민주'''
| '''한국'''
| '''바른'''
| '''평화'''
| <color=#373a3c> '''정의'''
|
'''서울'''
| '''5'''
| 3
| 1
| 0
| 1
|
'''부산'''
| '''3'''
| 2
| 0
| 0
| 0
|
'''대구'''
| 1
| '''2'''
| 0
| -
| 0
|
'''인천'''
| '''2'''
| 1
| 0
| 0
| 1
|
'''광주'''
| '''2'''
| 0
| 0
| 0
| 1
|
'''대전'''
| '''2'''
| 1
| 0
| -
| 0
|
'''울산'''
| '''2'''
| 1
| 0
| -
| 0
|
'''세종'''
| 1
| 1
| 0
| -
| 0
|
'''경기'''
| '''7'''
| 3
| 1
| 0
| 2
|
'''강원'''
| '''3'''
| 2
| 0
| 0
| 0
|
'''충북'''
| '''2'''
| 1
| 0
| 0
| 0
|
'''충남'''
| '''2'''
| 1
| 0
| -
| 1
|
'''전북'''
| '''2'''
| 0
| 0
| 1
| 1
|
'''전남'''
| '''4'''
| 0
| 0
| 1
| 1
|
'''경북'''
| 2
| '''3'''
| 1
| 0
| 0
|
'''경남'''
| '''3'''
| 2
| 0
| 0
| 1
|
'''제주'''
| '''4'''
| 1
| 1
| 0
| 1
|
'''전체'''
| '''47'''
| 24
| 4
| 2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