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

 


1. 潮汐
1.1. 관련 문서
2. 朝夕


1. 潮汐


밀물과 썰물
Tide
태양중력으로 발생한 기조력[1]의 영향으로 해수면의 높낮이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현상. 지구 표면에 액체 상태로 떠 있는 바다가 지구 중심을 형성하는 고체층과 서로 다른 중력 가속도를 받기 때문에 생긴다.[2] 우리나라 서해세계구급으로 조석이 굉장히 뚜렷하게 드러나는 곳이고[3] 그래서 갯벌이 잘 발달했다. 반면 동해는 아예 언제가 밀물이고 언제가 썰물인지 느끼지도 못할 정도다. 남해는 동해보다는 서해의 특징에 좀 더 가까운 편이며, 남해와 동해 바다가 만나는 부산광역시에서는 도시 안에서도 다대포해수욕장이 있는 서부산과 해운대해수욕장, 송정해수욕장 등이 있는 동부산 해안의 조석 변화 차이가 눈에 띌 정도다.
순 우리말로는 '미세기'라고 하며, 한자어로는 조석(潮汐), 일본어로는 うしお라고 한다.
해수면이 최고조에 달할 때를 만조(滿潮), 가장 낮아졌을 때를 간조(干潮)라 하며, 만조와 간조의 차이를 조석 간만의 차(조차, 潮差)라 한다. 간조에서 만조까지 바닷물이 밀려오는 현상을 밀물, 만조에서 간조까지 바닷물이 나가는 현상을 썰물이라고 한다. 한반도 서해안은 남해안, 동해안에 비해 조차가 크게 나타난다. 대체로 아산만 일대가 가장 큰 조차를 보이며, 인천, 군산 등이 그 다음이고, 목포, 남포 등은 비교적 작게 나타난다.
밀물과 썰물은 달과 태양의 인력에 의해 발생하는데, 달의 인력이 태양의 인력보다 더 크게 작용한다. 태양과 지구, 달이 일직선을 이루는 합삭(음력 29일 전후), 만월(음력 15일 전후) 때에 조차가 크게 일어나며, 직각을 이루는 상현, 하현 때에 조차가 작게 일어나는데[4] 조차가 크게 일어나는 때를 대조(大潮, 사리[5]), 작게 일어나는 때를 소조(小潮, 조금)라고 한다.
[image]
밀물과 썰물 현상은 대체로 6시간 간격으로 하루 두 차례 반복되며 어업 종사자 및 해안가 거주자들의 삶 및 생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를테면 어선이 밀물 때에 맞춰 입출항하는 것과 갯마을 주민들이 썰물 때에 갯벌에 나가 어패류를 채취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된다. 또한 밀물 때에 만조 수위가 상승하여 해안가에 침수 피해가 일어나는가 하면 밀물 때에 드러나지 않았던 육지와 섬, 혹은 섬과 섬을 연결하는 바닷길이 썰물 때에 열려 이 길을 통해 두 지역이 서로 왕래하기도 한다.[6] 이 때문에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매우 큰 인천, 태안, 군산, 목포 등 서해안 지역 어촌에서는 만조와 간조 시간(일명 '물때')이 매일 적어둔 달력을 집에 걸어놓고[7] 이를 매일 확인한다. 인천항에 설치된 갑문식 도크와 군산항에 설치된 부교(浮橋) 역시 조수 간만의 차이에 따른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설치된 시설물이다.
섬과 육지, 섬과 섬 사이에 좁은 수로(해협)가 있을 경우 밀물과 썰물 때에 급격한 흐름이 생기기도 한다. 대표적인 곳이 전라남도 해남과 진도 사이의 울둘목으로 이순신 장군은 이 흐름을 이용해 명량 해전의 승리를 이끌기도 했다.
바다와 강이 만나는 하구에서는 썰물 때에 강물의 유속이 빨라지는가 하면 밀물 때에는 바닷물이 강으로 역류해 들어와 주변 지역에 염해를 입히기도 한다. 이 역류의 흐름이 심할 때는 그냥 바닷물이 스며드는 수준이 아니라 급류를 이루기도 한다. 아마존 강포로로카, 중국 첸탕강(錢塘江)의 해소(海嘯) [8]가 그 예이다. 조석 간만의 차이가 큰 지역에서는 강물에 쓸려온 토사들이 해안가에 퇴적하여 갯벌이 형성되는데, 조수 간만의 차이가 큰 서해안에서 이러한 갯벌이 많이 형성되었다.
달이 지금보다 가까웠던 선캄브리아대에는 조수 간만의 차도 지금보다 훨씬 큰 수십 m에 달했으리라 추정한다.
참고로 밀물과 썰물이 자전하고 있는 지구를 바깥쪽으로 끌어당기면서 지구의 자전속도가 느려져 하루에 해당하는 약 24시간이 6만 2500년에 1초씩 가량 길어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바다 낚시를 즐기는 사람에게는 매일, 매달의 조석 변화가 조황과 자리 선택, 공략 어종 선택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므로, 스마트폰에 어플을 반드시 깔아 놓고 있다. 자리가 물에 잠기느냐 아니느냐가 달라지는 서-남해안은 말할 것도 없고, 간만차가 심하지 않은 동해안에서도 조석에 따른 물고기의 이동과 활동 시간은 달라지기 때문. 심지어 사리 때와 조금 때 조황이 달라지기도 한다. 밀물 때 바닷물이 올라오는 강 하구 기수역 또한 마찬가지.
단순히 여가로 낚시를 즐기는 걸 넘어서 전업 어업인들에겐 더더욱 중요한 부분이다. 그래서 해안 지역에서는 아예 달력에 매일매일의 예상 물때(조석변화)를 기록해놓는다. 물때는 달의 위상에 따라 결정되므로 해안가에서 음력은 필수요소이다. 이것은 외국도 마찬가지로 물때표(tide table)를 만들어 배포하지만, 한국과 달리 각 물때(무쉬, 1물, 2물 등등)를 지칭하는 용어는 따로 없다. 참고 짤

1.1. 관련 문서



2. 朝夕


주야(晝夜)와 같이 아침 저녁을 아울러 이르는 말. 하루라는 뜻으로 통한다.

3. 대한민국 육군 제65보병사단 밀물부대




[1] 만유인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저 천체들에 의해 받는 힘은 지표면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2] 즉, 지구 중심에 걸리는 달의 중력과 지구 표면에 걸리는 달의 중력에 차이가 생겨서 발생하는 것. 지각이나 맨틀 같은 암석층은 결합력이 훨씬 크기 때문에 달이 움직여도 꿈쩍 않지만, 유체인 물은 달을 따라서 출렁인다. 흔히 슈퍼문이 떴을 때 보도되는 '달이 접근하면 지진 등 재앙이 일어난다.'는 속설 역시, 달이 너무 가까이 오면 기조력이 강해져서 고체인 지각에도 영향을 줄 거라는 속설에서 생긴 것.[3] 그래서 시화호에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발전소가 들어섰다.[4] 대체로 만월 때는 밀물이 많이 들어오고 합삭 때는 썰물이 많이 빠진다.[5] 매년 음력 7월 15일백중 때 조차가 가장 크다. 그래서 이 무렵만 되면 일기예보를 통해 백중사리라는 말을 쉽게 들을 수 있다. 이 시기는 만조 시기 물 높이가 1년 중 가장 높아지는데 가뜩이나 물 높이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파도까지 세게 치면 해안 월파 사고와 해수 침수 등 안전사고가 일어난다. 하필 백중 시기가 찾아오는 양력 8월 하순에서 9월 초는 비바람을 동반한 태풍대한민국, 일본, 중국, 대만 등 태평양 연안 국가에 몰아치는 때인데 백중사리 시기에 태풍까지 몰아치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6] 가장 유명한 곳이 전라남도 진도의 바닷길이지만 이와 같은 바닷길 현상은 서해안 곳곳에서 소규모로 드물지 않게 나타난다.[7] 보통 지역의 농협, 수협, 새마을금고에서 배포하는 달력에 물때가 적혔다.[8] 참고로 해소(海嘯)와 관련된 서울신문 기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