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엔

 


[image]
1. 개요
2. 역사
2.1. 대한제국 시기
2.2. 조선 총독부 시기
2.3. 해방 이후
3. 환율과 가치
4. 지폐의 인물은 누구인가?
5. 화폐수집시 가치
6. 같이보기


1. 개요


조선 엔은 1905년 이후의 대한제국 시기와 일제강점기에 쓰이던 한반도통화이다. 제일은행권, 구(舊)한국은행권, 조선은행권의 세종류가 있다. 그러나 시기적으로 앞의 두 종류는 짧은 시간 동안만 유통되었고 대부분의 시기는 조선은행권이 사용되었다.

2. 역사



2.1. 대한제국 시기


러일전쟁이 1904년에 터지고, 제1차 한일협약이 맺어지면서 대한 제국 정부에 일본이 2명의 고문을 파견한다. 이중에서 서양인 외교 고문이 뒤에 암살당하는 더럼 스티븐스이고, 일본인 경제 고문이 메가타 다네타로였다. 이렇게 파견된 메가타가 역점을 두고 진행한 것이 화폐정리사업이다. 메가타는 대한 제국의 전환국에서 발행했던 기존의 백동화상평통보를 폐지하기 위해서 1905년 일본 제일은행[1]에 위탁해 지폐를 발행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조선 엔의 시작이다.[2] 1909년 이후에는 한국통감부의 사실상의 지배하에 있었던 대한제국의 구(舊)한국은행에 업무를 이관한다. 그리고 경술국치 이후 조선총독부가 들어서자 1911년 3월 구(舊)한국은행은 조선은행으로 이름을 바꾸게 된다.[3] 그러나 경술국치후 조선은행으로 바뀐 뒤에도 준비부족 등의 이유로 1914년까지 전의 제일은행권과 구(舊)한국은행권을 혼용하였다.
보조 단위로는, 전후 일본의 물가폭등으로 인해 현대 일본에서 이미 사라진 단위인 센(銭)이 쓰였다.

2.2. 조선 총독부 시기


조선 엔은 일본 은행권 금엔 지폐를 정화보증으로 삼아 찍어냈다. 한국에서만 쓰이지 않고 만주, 요동, 일본의 지배하의 중국에서도 통용되었다. 식민지 내에서만 쓰는 화폐를 따로 만든 셈. 식민지도 외국이라면 일종의 국제 화폐 역할을 한 것.
1945년 8월 15일 이전의 조선 은행권의 종류는 발행 순서대로 금권 → 개권 → 갑권이며 지급 어음으로 1차, 2차, 3차가 발행되었다.
당시에 조선 은행은 지폐만 발권하였으며, 동전은 일본의 것을 그대로 가져다썼다. 한국의 오래된 집에서 뜬금없이 大日本이라는 글자가 쓰여진 동전을 심심찮게 보게 되는 건 물론, 배재학당 건물에서 10엔짜리 금화가 발견되는 이유이며, 현재 한국의 고화폐 수집상에서 해방 전까지의 일본 동전이 많이 넘쳐나는 이유다.
민간에서는 일본어 상용 정책이 본격화되기 전까지는 '원'이라고 한국식 독음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 초창기에는 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2.3. 해방 이후


일본이 항복한 1945년 8월부터 미군이 주둔한 1945년 9월까지 일본 정부는 도쿄에서 급히 돈을 발행하여 공수하고, 닳아서 폐기해야 할 구권을 계속 보관하는 등의 작업으로 기존 발행량의 두배가 넘는 돈을 쌓아둔 뒤 패망이 확실시 될때부터 미군정이 들어올때까지 돈을 살포하여 일본인 귀향 자금, 친일반민족행위자에게 재산 분배, 퇴직금, 재한 일본인 단체의 사업 자금으로 썼고 그 돈이 풀리자 한국 내의 물가가 넉 달 사이에 수십배로 폭등하였다.

3. 환율과 가치



4. 지폐의 인물은 누구인가?


지폐의 모델이 누구인지가 불분명한데 지폐에 인물만 있고 누구인지 쓰여있지 않다. 이 인물은 일제강점기 내내 같은 인물이었으며 조선은행에서 누구라고 공식적으로 선언한 일도 없어 오리무중이다.
일본 신화의 인물인 타케우치노 스쿠네라는 설이 있다. 그는 임나일본부 신화의 진구 황후 휘하의 무장으로 신라 정벌의 선봉장이라고 전해진다. 또한 도가의 '장수노인(쥬로진)'[4]이라는 설도 있으며, 김윤식이라는 말도 있다. 하지만 김윤식이 3.1운동에 충격을 받고 독립운동을 지지했다가 자작 작위를 박탈당하고 2개월간 투옥되었던 것을 보면, 김윤식은 아닐것 같다. 지폐 속 인물이 정자관을 쓰고 있는 것을 보면, 모델이 누구이든 조선인들의 정서를 적당히 감안해서 디자인한 도안으로 보인다.

5. 화폐수집시 가치


몇몇 특정 지폐(미발행 갑 1000엔 등)는 한번 경매나 상점에 올라오면 수천만원에서 수억원까지의 거액에 거래되고 있는것도 있으나 위의 사진은 개10원짜리로, 접혀 좀 쓴듯한 느낌을 받는 지폐는 5000원에서 2만원이면 산다.

6. 같이보기



[1]미즈호 은행의 전신이 된 은행. 시부사와 재벌에 소속된 은행으로 대한 제국 시기부터 정부의 중앙 은행 역할을 하였고, 이렇게 모인 돈을 대한 제국에서 활동하려고 하던 일본인들에게 대출하는 역할도 하고 있었다. 이런 일본의 경제적 영향력을 벗어나기 위해서 진행되었던 것이 한러은행 설치였는데, 독립협회의 방해로 한러은행 설치가 저지되고 일본 제일은행은 계속 꿀을 빨 수 있었다.[2] 그래서 극초기 지폐에는 다이이치은행 로고가 박혀있었다. 다만 강점기 이후 조선 엔이 공식 화폐로 지정되었음에도, 일부 도서 지역에서는 보조 화폐급으로 여전히 상평통보가 유통되고 있었다. 상세는 문서 참고.[3] 비슷하게 일제중앙은행을 다른 침략지였던 일본령 대만대만은행, 만주국에는 만주중앙은행, 중국점령지에는 몽강국몽강은행, 중국연합준비은행, 화흥은행을 각각 설립하였다.[4] 일본 민간신앙에서 숭배하는 칠복신 중의 하나로, 학창의와 화양건을 쓴 모습으로 묘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