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1. 개요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Kaarlo Juho Ståhlberg, 1865년 1월 28일 ~ 1952년 9월 22일)는 핀란드의 법학자, 정치인이자 초대대통령을 역임한 인물이다.
2. 생애
2.1. 초기 경력
훗날 겨울전쟁 때 격전지가 되는 핀란드 대공국의 수오무살미에서 태어났다. 스웨덴계 핀란드인으로라 본명은 "칼 요한(Carl Johan)"이었으나 핀란드 민족자각운동(페노마니아)에 참여하면서 "카를로 유호"라고 핀란드식으로 개명했다.
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헬싱키 대학교에 진학, 1899년 법학학사, 1893년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페노마니아는 정치적으로 분화했는데, 보수주의적이고 러시아 총독부에 협조해 자치를 얻고자 하는 타협파(myöntyväisyyslinjan), 그리고 리버럴적이고 과거 스웨덴의 시절 입헌된 헌법을 수호하자는 호헌파(Perustuslailliset)로 나뉘었다. 타협파의 주장은 세계적으로 별 새로울 것이 없는 자치론이지만, 핀란드 호헌파는 상당히 특이한 존재다. 호헌파는 핀란드는 과거 스웨덴의 지배를 받았던 시절 이미 헌법(1772년 스웨덴 헌법)이 입헌되어 입헌군주국이 되었으니 러시아 차르가 러시아에서는 어떠한 권력을 누릴지 몰라도, 입헌군주국인 핀란드에서는 입헌군주인 핀란드 대공으로서 헌법의 제한을 받아야 한다는 씽크빅한 주장을 하는 집단이었다.[1] 스톨베리는 이 호헌파 중에서 가장 진보적인 축에 들었다.
스톨베리는 원로원(핀란드 대공국의 내각)에 일반직 공무원으로 취직해 한동안 법률관료 생활을 했다. 그러다 1902년 핀란드인에게까지 강제 병역을 법제화하는 것에 반대하다 해임되었다. 1905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은 핀란드 민중들(호헌파 + 사회주의자 연합전선)의 요구를 일정 부분 수용하게 되었는데, 이 때 러시아는 상대적으로 온건한 호헌파만을 대화 상대로 선택함으로써 양자 사이에 분열을 일으켰다. 호헌파의 영수인 레오 메켈린이 새 원로원장이 되었고, 스톨베리는 메켈린 원로원의 상공국장(현 경제장관의 전신)이 되었다. 호헌파 원로원은 신분제 의회였던 핀란드 국회를 단원제 의회로 개혁하고 미성년자(기준 24세)를 제외한 모든 국민에게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보장하는[2] 파격적인 의회개혁을 진행했는데 스톨베리가 그 초안을 정초했다.
의회개혁이 완수되자 스톨베리는 학계로 돌아가 헬싱키 대학교 교수가 되어 행정법을 강의했다. 동시에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어 핀란드 내전이 일어나는 1918년까지 그 직을 유지했다. 당적은 호헌파 정당인 청년 핀란드당에 두었다.
2.2. 독립 전후
1917년 2월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하자 우파에서는 스톨베리를 차기 원로원장으로 밀었다. 하지만 선거에서 사회민주당이 단독 과반을 달성하여[3] 사회민주당의 오스카리 토코이가 원로원장이 되었다. 토코이는 대신 스톨베리에게 헌법재판소장 격인 의회 헌법위원회 위원장 자리를 주었다. 이 때 토코이가 주도하여 사회민주당 내각의 명의로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하려 하자 핀란드 우파들이 케렌스키에게 사주하여 토코이 원로원을 해산시키는 사건이 발생, 사회민주당을 지지하는 노동자들이 분노해 봉기하면서 내전이 발생한다.
내전에서 우파가 승리한 이후 우파가 분열되었다. 하나는 옛 협조파들의 정당인 그냥 "핀란드당"과 청년 핀란드당 당내 우파 "제비파"로 이루어진 집단이었다. 이들은 독일 황제 빌헬름 2세의 매제를 핀란드 왕국의 왕으로 추대하려 했다. 다른 하나는 청년 핀란드당 당내 좌파 "참새파"와 소농민 대변정당 농민당으로 이루어진 집단으로, 공화제를 지지했다. 스톨베리는 이 때 참새파의 수장이었다. 여론은 공화제가 우세했으나 독일의 압력으로 군주제가 결정되었다. 그러나 곧이어 서부전선에서 독일이 망하면서 다 없던 얘기가 되고 핀란드는 공화국이 되었다.
국체 결정 과정에서 골이 깊어진 청년 핀란드당의 양 계파는 결국 분당, 제비파는 핀란드당과 합당해 국민연합당이 되고, 참새파는 국민진보당이 된다. 스톨베리는 국민진보당 창당에 참여하고, 핀란드 공화국 초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상대는 전쟁영웅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 하지만 스톨베리는 143대 50으로 트리플스코어로 만네르헤임을 발라 버리고 초대 대통령에 당선된다. 이것은 스톨베리의 정당인 진보당 뿐 아니라 농민당과 사민당이 우파 중 가장 진보적인 스톨베리에게 표를 몽땅 몰아주었기 때문이다.[4] 농민당과 사민당도 후보를 냈지만(라우리 크리스티안 렐란데르, 배이뇌 탄네르) 본인들 표로 생각되는 1표씩만 받았다.
2.3. 대통령 임기
초대 대통령이 된 스톨베리는 자신의 모든 행동이 후임 대통령들의 전범이 될 것이라는 생각 하에 매사에 조심스럽게 행동했다. 그는 내각제 공화국의 대통령으로서 총리의 내각 운영에 간섭하지 않으려 했다. 1924년 공산주의 성향의 의원들이 체포당하자 재선거를 통해 의원수를 회복할 것을 총리 퀴외스티 칼리오에게 주문했는데 칼리오가 불복하자 내각을 실각시킨 것이 유일한 예외였다.
내전 이후 첫 대통령으로서 스톨베리에게 주어진 가장 당면한 과제는 전후 복구였다. 그리고 내전기에 적군에 가담한 사람들도 스톨베리에게는 그 복구의 대상에 포함되었다. 그는 좌익들도 새로운 민주공화국을 받아들일 수 있게 만들고 싶었고, 군부와 보수파의 격렬한 항의를 무시하고 1920년 내전기에 체포되어 수감된 좌익경력자들에 대한 대사면을 발표했다.
외교적으로는 재임 초기에 스웨덴이 올란드 제도를 노린 위기가 있었다. 페노마니아 출신답게 그는 스웨덴이나 독일 같은 게르만계 국가들에게 조심스러웠다. 그렇다고 극렬 민족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러시아를 쳐서 고토를 회복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도 않았다. 스톨베리는 영국, 프랑스, 폴란드 같은 서방 진영 국가와 친하게 지내고 싶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다.
스톨베리의 이런 "용공적" 정책을은 보수주의자들의 불만을 가중시켰고, 1922년에는 스톨베리의 측근이었던 내무장관 헤이키 리타부오리가 자택 앞에서 군부 내 스웨덴계 사조직의 지령을 받은 백색테러리스트에게 암살당하는 일이 벌어졌다. 리타부오리는 좌익 대사면의 실무책임자였고, 내무장관으로서 핀란드 민족주의자들이 의용병을 꾸려 러시아의 핀란드계 주민 지역의 봉기를 지원하려는 것을 막았기에 우익에게 극심한 증오를 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스톨베리는 대통령으로서 큰 스트레스를 받았고, 1925년 대선에 출마하지 않았다. 그는 자신이 좌익들에게 대사면으로써 신뢰를 얻었듯이, 재선을 포기하면 우익들에게도 공화국에 대한 신뢰를 회복시킬 수 있으리라, 좌익과 중도와 우익이 모두 화해의 장에서 대화를 나눌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2.4. 말년
하지만 스톨베리의 기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핀란드의 자생적 파시즘은 날로 극심해졌다. 심지어 1930년에는 파시스트들이 스톨베리 부부를 납치해서 소련 국경으로 끌고가는 사건이 벌어졌다. 겨우 목숨은 건졌지만 전직 대통령 같은 요인이 이런 대접을 당할 정도로 나라가 혼란스러웠다.
책임감을 느낀 스톨베리는 이듬해 1931년 대선에 다시 나섰지만, 3차 투표까지 간 끝에 국민연합당의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에게 2표 차이로 패했다. 이후 스톨베리는 정치적으로는 재기하지 못하고 현직 정치인들에게 자문이나 해 주는 원로의 자리에 만족해야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까지 오래오래 살아 1946년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대통령의 법률고문까지 되었다. 1952년 사망.
3. 평가
핀란드의 또다른 국부. 만네르헤임이 "핀란드 공화국"이라는 하드웨어를 보존했다면, 스톨베리는 "핀란드 헌법"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설계, 설치하고 유지하려 힘쓴 사람이다.
전간기라는 미친 시대에 이 소프트웨어를 지켜내는 것은 보통 힘든 일이 아니었다. 만네르헤임은 외유나 다니며 방관하고, 스빈후부드는 파시스트들과 손잡고 흔들어대고, 강대한 가상적국인 소련이 눈을 희번득이고 있는 상황이었으니, 그렇기에 만신창이가 되어가면서까지 민주헌법의 불씨를 보존해낸 스톨베리의 공은 만네르헤임의 공에 비해 결코 작지 않다. 핀란드하면 알려져 있는 이념을 초월한 국민단합, 대화와 존중 같은 것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핀란드 내전은 시체의 산을 쌓았지만, 3만 구의 시체는 그런 교훈을 얻기에는 너무 싼 값이었다.[5] 핀란드의 근대 공화국으로서의 정신적 가치는 내전이라는 참사와 전간기의 파시스트 준동, 냉전기의 소련의 간섭을 이겨내며 단련되어 온 것이고, 그 시작점에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가 있었다.
2004년 YLE에서 선정한 위대한 핀란드인 47위에 랭크되었다.
4. 기타
- 핀란드어 백괴사전에 따르면 극도로 재미없고 지루한 사람으로, 재임기 좌우갈등이나 스웨덴과의 외교문제를 모든 사람을 문자 그대로 잠재워 버림으로써 해결했고, 라푸아 운동에게 납치당했을 때는 납치범들에게 법학 강의를 해주자 납치범들이 모두 잠들어서 탈출했다고 한다.
[1] 당연히 러시아 황제는 그걸 씹었고, 그래서 호헌파는 1905년 혁명 이전까지 사회주의자들과 함께 탄압당했다.[2] 세계 최초의 여성 참정권이 뉴질랜드라고 알려져 있는데, 피선거권까지 포함하면 핀란드가 최초다. 이듬해 첫 총선에서 핀란드는 정원의 10%인 19명의 여성 의원을 세계 최초로 당선시키는 기염을 토한다.[3] 이것도 특이한 것이, 계급혁명을 주장하는 사회주의 정당이 민주적 선거를 통해 단독 과반(103/200)을 달성한 것은 유례를 찾기가 힘들다. 당시 핀란드 사회가 그 정도로 진보적인 담론이 오가던 상황이었음을 보여주며, 이것이 내전 패배 이후 사회민주당이 금세 부활한 원동력이었다.[4] 핀란드 대선은 초기에는 간선제였다.[5] 섬뜩한 이야기지만, 그 시대는 그런 시대였다. 핀란드 내전의 충격으로 핀란드가 덜컥 중도정치를 걷게 되었다는 흔히 알려진 통념(그러니까 이런 거) 역시 역사적 실제와는 거리가 먼 신화에 가까운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