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파쿠 상론

 


1. 개요
2. 배경
2.1. 혼노지의 변과 히데요시의 집권
2.2. 조정 관위의 상황
3. 전개


1. 개요


関白相論
쇼쿠호 시대, 고셋케 내부에서 칸파쿠직을 두고 벌어졌던 정치적 논쟁. 코노에 가와 니죠 가 사이에 벌어진 다툼이었다. 결과적으로는 양 가문 모두 이 상론의 결과 칸파쿠에 오르지 못했고, 그 대신 칸파쿠직을 차지한 것이 바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였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도요토미 정권의 방향성에 크나큰 영향을 미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2. 배경



2.1. 혼노지의 변과 히데요시의 집권


오다 노부나가가 혼노지에서 아케치 미츠히데의 모반으로 쓰러진 뒤, 그 원수를 갚고 순식간에 세력을 키워 키나이를 장악한 것은 바로 히데요시였다. 그는 야마자키 전투에서 미츠히데를 제거하고, 키요스 회의에서 가중에서 본인의 위치를 상승시켰으며, 시즈가타케 전투에서 시바타 카츠이에를 격파했다. 그러한 과정을 거치며 그의 천하인으로서의 위치는 굳건한 것이 되어갔다.
초기에 히데요시는 이전 노부나가가 그랬듯이[1] 조정과 일정한 거리와 친근감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정치를 행했다. 이는 명목상으로는 그가 오다 가의 가신 신분이었던 것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코마키 나가쿠테 전투로 주군에 해당하던 오다 노부카츠를 굴복시킨 히데요시는 다른 정치적 권위[2]를 만들어내어 자신의 정권을 공고히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이를 위하여 그는 조정에 접근, 관위를 획득하여 조정 권위를 가문 권위로 삼는 것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3] 이후 그가 조정에 협력하고 나이다이진(内大臣)의 관위를 받은 것은 이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2.2. 조정 관위의 상황


여기서 문제가 된 것은, 이 당시 조정에는 이미 특정 가문들이 주도하는 관직 질서가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당시 조정에서는 관직을 조정 귀족들이 그 가격(家格)에 따라 맡는 질서가 만들어져 있었고, 특히 고셋케라 불리는 후지와라 계통의 다섯 가문, 즉 코노에, 쿠죠, 이치죠, 니죠, 타카츠카사가 조정의 상위 관직들을 돌아가며 차지, 사실상 독점하는 양상이 이미 이어져오고 있었다. 이러한 질서에 전통 쿠게(公家)가 아닌 가문이 끼어드는 일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무로마치 막부 시절 쇼군 중 다이진의 관위에 임명된 이도 있었고, 당장 얼마 전에는 오다 노부나가가 우다이진을 맡았던 적이 있었다.
하지만, 노부나가의 우다이진 임관과 히데요시의 임관은 상황이 달랐다. 노부나가의 경우 우다이진에 임관해있던 기간은 2, 3년에 불과하였으며, 우다이진 이상의 관위를 요구하지도 않았다. 하지만 히데요시는 나이다이진에서 더 나아가 승진하기를 원하였다. 이는 고셋케의 관위 회전과 얽힐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얽혀서 문제를 일으켰다.

3. 전개


히데요시가 나이다이진이 되고 얼마 후, 조정에서는 그를 우다이진으로 승격시키고[4] 칸파쿠직을 회전시키려고 하였다. 하지만 히데요시는 이를 거부하였다. 그 이유로 히데요시가 댄 것은 우다이진 자리가 불길하며, 저주를 받은 자리라는 것이었다. 오다 노부나가가 혼노지의 불길로 사라진 것이, 그가 전 우다이진 신분이었을 때였기 때문이다. 히데요시는 이 이유로 우다이진을 받고 싶지 않다고 하며, 대신 사다이진에 임관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의사를 보였다.
[1] 노부나가는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교토에서 몰아낼 즈음에는 조정에 적극적으로 헌금하고 군사적으로 봉사하였지만, 1578년을 기점으로 모든 관위를 사임하고 조정과 거리를 두었다. 그가 명목상 내세운 근거는 후계자 오다 노부타다에 대한 가독 상속을 행하는 중이기에, 전임 당주가 되는 자신은 관위를 가지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노부나가의 태도는 조정에게 당혹감을 불러 일으켰고, [2] 즉, 오다 가문 내부의 위치에서 나오는 권위가 아닌, 그와 구별되는 하시바 가문의 권위.[3] 처음에는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통하여 막부 권력을 노렸다는 설도 있지만, 확실한 것은 아니다.[4] 히데요시가 오기마치 덴노양위 후 살 고쇼의 건축에 큰 도움을 주었기에, 그 공을 사 승진시키기로 한 것이다. 이는 오다 정권 말기부터 오기마치 덴노가 보인 양위에의 의지를 실현시키기 위한 일보였기 때문에, 조정에서 승진시킬 정도로 논공을 할 만한 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