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아프가니스탄 관계

 



[image]
[image]
'''터키'''
'''아프가니스탄'''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현대 이전
2.2. 현대
3. 관련 문서


1. 개요


터키아프가니스탄의 관계. 양국은 언어, 문화, 종교에서 공통점이 존재한다.

2. 역사적 관계



2.1. 현대 이전


고대부터 중앙아시아페르시아인페르시아계 민족들이 많이 거주했다. 또한, 튀르크계 민족들도 중앙아시아에 많이 정착했는데, 튀르크계 민족들과 페르시아계 민족들은 언어, 문화 등의 교류가 활발했고 동시에 통혼도 많이 이뤄졌다.
중세부터 아라비아 반도에서 이슬람교가 생겨난 이후, 아랍인들이 페르시아를 정복했다. 페르시아가 이슬람교를 받아들이면서 중앙아시아 지역도 영향을 많이 받게 되었다. 그리고 중앙아시아에 튀르크계 민족들이 정착한 이후, 셀주크 제국이 중앙아시아에서 생겨났다. 셀주크 제국은 동로마 제국의 영토를 차츰 점령했고 오스만 제국동로마 제국을 정복했다. 아프간 지역도 셀주크 제국외에도 여러 튀르크계 민족들이 많이 정착했고 오스만 제국과 아프간 지역간에 페르시아를 통한 교역도 활발했다.
아프간과 오스만 제국은 교류가 활발했지만, 러시아 제국중앙아시아 지역을 차지하면서 양 지역은 교류가 줄어들었다. 중앙아시아 지역은 19세기부터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고 아프간도 러시아 제국의 공격을 받았다. 영국과 러시아 제국이 합의로 아프간은 영국의 보호국이 되었고 오스만 제국도 19세기부터 쇠퇴하면서 양 지역간의 교역이나 교류가 줄어들게 되었다.
20세기에는 신생 터키 공화국과 아프간의 바라크자이 왕조가 수교했다. 하지만 아프간이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왕국이 무너지고 공산 정권이 수립되고 아프간과 터키의 관계가 끊어졌다. 90년대초에 아프간은 공산정권이 무너졌지만, 탈레반 정권이 들어서면서 극소수의 국가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간의 관계는 없었다. 단, 북부 동맹은 터키의 지원을 받고 있었다. 우즈벡 군벌이었던 압둘 라시드 도스툼이 터키의 지원을 받았다.

2.2. 현대


아프간이 탈레반 정권이 무너지면서 재수교했다. 현재는 양국간에 일부 교류가 있다. 터키내에도 일부 아프간인들이 거주하고 있지만, 아프간내의 튀르크계 민족(투르크멘, 우즈베크, 키르기스 등)들이 상당수 거주하고 있다보니 아프간도 터키와 관계가 있는 편이다. 터키는 아프간을 지원하고 있다. 잠시 터키군이 아프간에 주둔하기도 했다.
양국은 이슬람 협력기구의 회원국이다. 그외에도 터키 드라마가 아프간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2010년대부터 터키어를 배우는 아프간인들도 늘고 있다.#(러시아어)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