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고네이아

 

'''Τηλεγόνεια / Telegony'''
1. 개요
2. 줄거리
3. 평가
3.1. 작품성
3.2. 관련 오해
4. 관련 문서


1. 개요


고대 그리스서사시. 오디세이아의 후속작이자 서사시환 최후의 작품이다.
저자는 에우가몬.[1] 본문은 오래 전에 분실되어 전해지지 않지만 여러 학자들의 기록과 작품에서 언급된다.

2. 줄거리


2부작으로 구성된 텔레고네이아는 오디세우스의 테스트로피아 여정과 텔레고노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본문이 오래 전에 분실돼서 텔레고네이아의 본문은 두 줄밖에 남지 않았지만 줄거리는 알려져 있다. 프로클로스의 기록에 의하면 페넬로페의 구혼자들의 장례를 치루는 것으로 시작한다. 테스트로피아에 간 오디세우스는 칼리디케 여왕과 결혼해 아들 폴리포이테스를 낳고 테스트로피아에 눌러앉는다. 이후 테스트로피아에 일어난 전쟁에서 칼리디케가 죽자 폴리포이테스가 왕위를 계승하고 오디세우스는 이타카로 귀환한다.
한편 아이아이에 섬에서 키르케는 자신이 오디세우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막내 아들 텔레고노스에게 아버지에 대해서 말해준다. 아테나는 키르케에게 아버지에 대해 텔레고노스에게 밝히라고 조언했고 아버지가 트로이 전쟁의 영웅임을 알게 된 텔레고노스는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모험을 떠난다. 이 과정에서 헤파이스토스로부터 가오리 뼈 창을 받았다. 폭풍으로 자신이 어디인지 몰랐던 텔레고노스는 이타카를 약탈했고 이를 막으러 온 아버지 오디세우스를 죽이고 만다.
아버지의 시신을 아이아이에 섬으로 가져가는데 이 과정에서 페넬로페와 텔레마코스를 데려간다.[2] 키르케는 오디세우스를 닮은 텔레마코스에게 반해 그와 결혼한다. 텔레고노스는 페넬로페를 아내로 맞이하는데 이에는 아테나가 둘을 짝지어 줬다는 전승과 키르케가 처음부터 텔레고노스와 페넬로페를 결혼시킬 계획이였다는 전승도 있다. 키르케는 텔레고노스와 페넬로페를 불로불사로 만들고 둘은 엘리시온에서 평생을 행복하게 보낸다는 것으로 서사시가 끝난다.

3. 평가



3.1. 작품성


'''그리스 로마 신화 중에서도 알아주는 막장 이야기다. 개연성도 없는 팬픽 수준이다.''' 작품의 시작은 페넬로페의 구혼자들의 일족과의 분쟁을 끝내고 난 후 오디세우스페넬로페는 내팽겨치고 칼리디케와 바람이 낫다는 거부터 마이너스 요소로 여겨진다. 오디세이아에서 오디세우스는 키르케칼립소와 관계를 가진 적은 있어도 그것은 페넬로페가 재혼했다고 여겨서였지 어머니로부터 페넬로페가 여전히 자신을 기다린다는 것을 안 후에는 거의 일편단심으로 페넬로페를 사랑했다. 도중에 나우시카라는 어리고 아름다운 공주와 결혼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거절한 것이 예.
문제는 이후다. 호메로스는 오디세우스가 아내와 아들과 함께 어질게 나라를 다스리며 행복한 여생을 보냈다며 해피 엔딩으로 끝맺었음에도 이 후일담으로 인해 이 훈훈한 이야기는 개족보가 되어버렸다. 사실 그리스 신화의 저작권을 호메로스가 가진 것도 아니고 원래 신화가 여러 전승이 꼬이고 꼬이는 거지만.
남편을 20년이나 기다렸던 페넬로페는 남편이 다른 여자에게서 얻은 아들이자 남편을 죽인 텔레고노스와 결혼함으로써 오디세우스의 며느리가 되어버렸고 텔레마코스가 키르케와 결혼하게 됨으로써 시어머니의 시어머니가 되고 말았다.
페넬로페텔레고노스의 결혼에 대해서는 여러 전승이 있다. 본문이 소실되어 확인할 수는 없지만 일단 아테나가 둘을 짝 지어줬다는 전승도 있고 처음부터 '''페넬로페텔레고노스에게 결혼시키는 것이 키르케의 계획이였다는 전승'''이 있다. 전자라면 여신이 자신이 아끼던 영웅을 죽인 놈에게 벌은 커녕 보상으로 페넬로페를 주는 식이 되고 후자라면 텔레고노스 내용 전체가 키르케의 계락이 되어버린다.
이 이야기를 졸작으로 만드는 가장 큰 문제는 단순히 막장 드라마인 점이 아니라, 그리스 신화 전반에 깔린 윤리적 개연성을 깡그리 무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오이디푸스오레스테스의 이야기를 보면 알 수 있지만, 그리스 신화 내의 부모 살해는 그 이유를 불문하고 아주 엄중하게 다뤄진다. 그런데 이 작품의 텔레고노스는 부친 살해를 저지르고도 페넬로페랑 행복하게 잘 살다가 엘리시온까지 갔다고 서술되니, 상술한 다른 개연성들이 애교로 보일 정도의 심각한 오류가 생긴다. 고대 그리스에서 신화라는 것이 단순히 재밌는 이야기거리로 소모되는 것이 아니라 신앙심을 고취시키고 도덕률을 강조하는 데 쓰였음을 고려하면, 왜 이 작품이 고금불문 쉽게 정사로 취급받지 않는 지도 알 수 있다.
또한 옛 신화는 관련된 신들을 섬기는 신전의 세력과도 밀접하며 텔레고네이아는 처음부터 끝까지 키르케 중심으로 쓰여진 서사시다. 실제로도 키르케는 마술과 마녀로 유명한 신화 속 존재이니 이를 따르는 신전과 사제세력이 존재했음이 유력하므로 키르케를 숭배하는 세력이 자신들의 입지를 강화시키는 차원에서 활용되었음이 유추가능하다. 물론 키르케와 오디세우스 사이에서 난 아이들 자체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도 이름이 올라가있으므로 분명 아이야 있었겠지만 텔레고네이아는 그 과장이 심하다는 것.
다만 고대 로마 시대에는 이 작품이 인기가 있었는지 히기누스는 이 이야기를 자신이 집필한 신화 모음집 《이야기》에 정사로 기록했다. 무리는 아닌게 이 텔레고노스의 아들인 이탈로스는 시쿨리족의 왕이라 언급되고 후손들 중에는 시켈리아, 로무스가 있는데 로마를 연상케 하는 로무스와 시칠리아의 어원이 되는 시켈리아가 끼어있다. 다시 말해 로마의 권역은 결국 다 로마와 관련있다는 식의, 본래는 근거가 빈약한 것을 억지로 정규화하면서 일어나는 흔히 개연성 밥말아먹은 작품 중 하나의 예시.
정리하자면 실제 역사 속에서 일어난 것과는 별개로 같은 사건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서술하는 일은 흔했으므로 그러한 사례 중 하나라 여기면 될 것이다.
Fate/Grand Order오디세우스키르케가 등장하는데, 타입문에서는 서사시환에서 이 작품만 빼고서 원전으로 채택했으며[3] 따라서 키르케는 오디세우스와 이어지지 못 하고 생을 마감했다는게 밝혀졌다.

3.2. 관련 오해


호메로스의 작품에 비해서 '''한참 부족한 작품성'''이나 현대 관점은 둘째치고 '''당대 그리스 관점에서도 받아들일 수 없는 윤리적 관념'''때문에 흔히 텔레고네이아는 원작자 호메로스의 작품을 망친 수준으로 치부하고는 하는데, 작품성은 둘째치고 텔레고네이아를 단순한 2차 창작으로 구분하는 것은 틀린 시각이다.
우선 그리스 로마 신화라는 것에 저작권같은 것은 없기 때문에, 그 호메로스의 작품들조차도 넓은 그리스 신화 세계관의 일부에 불과하다. 여러 가지 전승이 있기 때문에 다른 서사시의 내용과 모순되는 경우는 같은 시기를 다룬 《일리오스 낙성》과 《소 일리아스》에서도 흔히 볼 수 있으며 저자나 시인마다 채택하는 전승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단순히 해당 시인이 더 높은 위상을 가졌다고 그것이 정사고 다른 것은 비정사라는 논리가 통하지 않는 것.
아폴로도로스의 《도서관》과 히기누스의 《이야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텔레고노스페넬로페의 결혼은 단순히 에우가몬의 창작이라기 보다는 수많은 오디세우스의 전승 중 하나로서 내려져왔고 그것을 소재로 에우가몬이 서사시를 집필했지만, 하필이면 졸작이였던 것 뿐이다.

4. 관련 문서



[1] 다른 작가로부터 작품을 훔쳤다는 이야기도 있다. 호메로스가 아니다![2] 프로클로스에 의하면 어머니의 명령으로 납치 당한 것.[3] 오디세우스의 프로필 출전이 오디세이아와 일리아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