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레스테스

 

2. 서로마의 마지막 실권자


1. 그리스 신화영웅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아가멤논 왕과 클리타임네스트라의 아들.
어머니 클리타임네스트라가 아이기스토스와 함께 아버지 아가멤논을 죽이고 오레스테스까지 죽일 계획을 하자 피신하면서 누나 엘렉트라의 권유를 따라 포키스의 스트로피오스 왕[1]에게 갔고 스트로피오스 왕의 아들인 필라데스와 함께 자라나면서 굳건한 우정을 맺게 된다. 이후 신탁에서 "아버지를 죽인 자들을 죽이라"라는 말[2]을 듣고 필라테스와 함께 미케네로 가게 된다. 이후 누이인 엘렉트라와 재회하여 함께 힘을 모아 아이기스토스와 클리타임네스트라를 살해한다.[3]
그러나 어머니를 살인한 죄는 패륜의 극치였고 이로 인해 에리니에스에게 공격당하면서 반쯤 미쳐버리고 만다. 에리니에스는 자연법칙에 어긋나는 행동을 심판하는데, 오레스테스는 자신을 낳은[4] 어머니를 죽였으므로 어마어마한 죄를 지은 것과 같았다. 그리고 이렇게 미쳐 떠도는 과정에서 아킬레우스의 아들 네오프톨레모스가 자신의 약혼녀이자 사촌이었던 헤르미오네와 결혼해놓고 트로이에서 납치해온 안드로마케를 더 사랑하자 네오프톨레모스를 살해한 뒤, 헤르미오네와 결혼한다.[5]
그래서 아폴론은 남편을 살해한 클리타임네스트라의 행동으로 그를 옹호했으나 남편과 아내는 피가 이어져있지 않으므로 오레스테스의 죄만 못하다는 에리니스의 주장에는 이기지 못했다.
결국 아테네 법정에서 신들이 배심원으로 오레스테스를 재판하게 된다. 이 재판에서 오레스테스의 유죄/무죄에 대해 같은 수의 표가 나왔을 때 재판장인 아테나가 자신의 표를 무죄 쪽으로 던짐으로써 무죄로 판견났다.[6]
그 뒤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한 것이긴 했으나 자신을 낳은 친어머니를 살해한 이유로 사형 선고를 받게 된다. 그러자 오레스테스는 클리타임네스트라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미케네를 방문한 이모이자 숙모인 헬레네를 인질로 잡고서 감형해 달라며 협박했고 헬레네의 안전을 우려한 숙부 메넬라오스가 압력을 넣어 결국 1년 추방형으로 감형되었다.
이후 어머니를 살해한 죄를 씻기 위해[7] 타우리스의 아르테미스 신상을 가져오라는 명령을 받은 오레스테스는 타우리스에 가서 아르테미스 신상을 가져오려 하지만 타우리스 주민들에게 붙잡혀 아르테미스 여신에게 산제물로 바쳐지려는 위기에 처한다. 그런데 이때 트로이 전쟁 때 산제물로 바쳐진 줄로 알았던 누나 이피게니아와 재회[8]하여 목숨을 건지고 아르테미스 신상을 가지고 돌아온다.
그 사이 미케네는 아이기스토스와 클리타임네스트라 사이에서 태어난 알레테스가 왕이 되어있었는데 오레스테스는 알레테스의 목숨을 빼앗고는 미케네의 왕위에 올랐다. 이후 미케네의 영토를 크게 확장시킨 정복군주가 되었고[9][10] 그리스 로마 신화 독자들에겐 그저 에필로그에 나오는 소년 정도지만 실상 최종보스로 그가 세운 체제는 도리스인들의 침공과 헤라클레이다이의 귀환 전까지 쭉 이어진다. 노년에 뱀에 물려 독사하면서 아르카디아의 테게아에 묻혔다고 전해진다.[11]
극적인 오레스테스의 신화는 그리스 비극 작가들의 단골 소재가 되었는데 아이스킬로스의 오레스테이아 3부작, 에우리피데스의 엘렉트라, 오레스테스, 소포클레스의 엘렉트라 등이 오레스테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비극이다. 복수의 과정은 이야기에 따라 상이하다.
탄탈로스의 아들이자 한 번 아버지에게 죽었다가 신들에게 되살아난 펠롭스의 자손들 중 한 번 막장 테크를 타긴 했으나 안습 인생으로 끝나지 않고 펠롭스의 후손들의 불행에 종지부를 찍은 인물.[12]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이피게니아와의 재회와 아테네 법정에서의 재판의 순서가 바뀌어나오고, 재판 뒤엔 그냥 잘 살았다는 걸로 끝난다.[13]
여담이지만 2004년 또는 2005년 당시 작품 외적인 면에서 마징가 시리즈 TV판의 어둠의 제왕이 그리스 신화의 오레스테스와 동일인물이 아니냐는 추측 및 가설이 나왔다. 물론 공식 설정이 아니며 어디까지나 추측 및 가설일 뿐이다.

2. 서로마의 마지막 실권자


훈족의 제왕인 아틸라의 장인이자 가신이기도 했으며 아틸라 사후 로마에 돌아와서는 로마 최고의 실권자인 리키메르의 밑에서 일했다. 그리고 리키메르의 사후 그의 지지 세력을 이끌었으며[14] 황제 율리우스 네포스를 쫓아내고 자기 아들인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황제 자리에 앉힌다.[15]
그러나 무슨 배짱에서인지 이 과정에서 자신을 도우면 땅을 주겠다고 한 야만족 군대와의 약속을 저버렸고 이에 분개한 이들이 오도아케르를 리더로 해서 쳐들어왔고 빈약한 군대로 요격에 나섰지만 결국 패배하면서 전사했으며, 그의 아들은 폐위되면서 서로마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사실 이 부분은 오레스테스가 오판했을 가능성이 높다. 당시 오도아케르의 군대는 수만의 규모이긴 했으나 대부분 여러 부족에서 인연을 끊고 이탈해 온 '외로운 늑대' 들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별다른 후원을 받을 수 없었고 로마 현지인과의 관계도 별로 좋지 않았으며 오레스테스가 통치하는 지역은 이 시기에도 여전히 수백만의 인구를 유지하고 있어 이를 기반으로 저항이 가능하다 판단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로마인들은 매국노 오레스테스도 좋게 보지 않았으므로 결국 그 판단은 실패로 돌아갔다.

[1] 아가멤논의 친척이란 말이 있고, 친구라는 말도 있다.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아가멤논의 매제로 나온다.[2] 굳이 신탁을 들은 건 신들이 복수를 지지하는지 알고픈 마음도 있었고 아이기스토스는 몰라도 어머니 클리타임네스트라는 도무지 죽일 수 없었기에 용기를 얻고자 한 것이었다.[3] 엘렉트라는 오레스테스가 도망치자 아이기스토스가 궁전에서 쫓아내 버렸다. 본래는 죽이려 했지만 클리타임네스트라가 만류했다고 한다.[4] 자신을 이 세상에 존재하게 한, 피가 이어진.[5] 처음부터 헤르미오네와 결혼했다는 전승도 있다.[6] 오레스테스도 패륜을 저질렀지만 그 이전에 클리타임네스트라는 아가멤논의 아들이라는 이유로, 또 증언을 하지 못 하게 하려고 오레스테스를 살해하려 하는, 또다른 패륜을 저질렀다. '''즉 이 여자의 악행이 오레스테스가 저지른 죄보다 더욱 컸다.''' 흔히 패륜은 자식이 부모한테 저지르는 거라 생각하겠지만, 클리타임네스트라처럼 부모가 자식한테 저지르는 경우도 많다. 대표적으로 아동 학대.[7] 에우리피데스의 연극에선 자신의 투표 결과에 승복하지 못한 에리니스들이 있었다고 한다.[8] 어느 판본에선 처음에는 서로 못 알아봤는데 나직하게 내 큰누님처럼 나도 아르테미스께 바쳐지는 거냐며 한탄하는 걸 듣고 사람을 물린 뒤 정체를 밝힌다.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선 이쪽을 택했다.[9] 아르고스의 예언자왕들의 계보와 정통 아르고스 왕가의 계보가 테바이 연전과 트로이 전쟁 속에 끊겨버리자 오레스테스가 정복해서 아크리시오스 시대 이후 최초로 아르고스 지역을 통일하고, 외가쪽이자 아내쪽 상속권으로 스파르타와 메세니아까지 장악하여 아르고스 세계를 모두 손에 넣었다.[10] 메넬라오스에게 서자가 있었지만 헬레네 소생이 아니라서 튄다레오스의 핏줄은 오레스테스 하나만 남은 상태였다. 부계 상속을 당연시하는 풍조는 고전기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라서 당시 라코니아인들이 라케다이몬의 핏줄이 이어지는 것을 중시했다는 설명이 따로 전하기도 한다.[11] 라케다이몬인들의 주장에 따르면 후에 유언에 따라 라케다이몬 지역으로 이장했다고 한다.[12] 오레스테스는 비록 아버지의 원수를 갚고자 어머니를 살해하는 패륜을 저질렀고 그로 인해 괴로운 시절을 보내기도 했지만 결국 자기 죄가 무죄라는 걸 여신 아테나와 아테네 배심원들을 통해 인정받고 정당한 후계자 자리를 찾았으며 미케네 영토를 크게 확장시킨 정복 군주가 되었다. [13] 여기서는 아내(여자)가 남편(남자)을 죽인 죄가 아들(남자)가 어머니(여자)를 죽인 죄보다 크다는 그리스 시대의 남성우월설을 채택하여 아테네가 오레스테스의 손을 들어주었다고 나온다. 또한 후일담이 없기에 네오프톨레모스를 죽인 이야기 등은 나오지 않는다.[14] 물론 처음부터 이끌었던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리키메르 사후 초기에는 그의 조카 군도발트가 허수아비 황제 올리브리우스를 살해하고 그 자리에 역시 허수아비인 글리케리우스를 앉혀 놓을 만큼 권세가 강했다. 다만 그가 내세운 글리케리우스 황제는 율리우스 네포스의 손에 폐위당하는데 이후 입지가 나빠진 군도발트를 대신하여 주도권을 잡게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확실한 건 의외로 처세술은 뛰어났다는 것.[15] 오레스테스 본인이 로마인이라서 황제로 즉위하는데 법적인 하자는 없었지만, 아틸라에게 부역한 경력 때문에 매국노 이미지가 강해서 직접 즉위하지 않고 어린 아들을 황제로 추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