퉁이 라이온스

 



'''퉁이 라이온스'''
Uni Lions
<color=#373a3c> '''정식명칭 '''
統一7-ELEVEn獅[1]
<color=#373a3c> '''창단 '''
1989년 7월
<color=#373a3c> '''연고지 '''
타이난(1990~)
<color=#373a3c> '''구단명 변천 '''
퉁이 라이온즈(1990~2007)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즈(2008~)[2]
<color=#373a3c> '''모기업 '''
퉁이그룹(統一企業) & 퉁이체인(統一超商)[3]
<color=#373a3c> '''감독 '''
린위에핑(林岳平)
<color=#373a3c> '''홈 구장 '''
타이난 시립 야구장
<color=#373a3c> '''킷 스폰서 '''

<color=#373a3c> '''역대 타이완 시리즈 우승 '''
(10회/최다우승)
'''1991''', '''1995'''[4], '''1996''', '''2000''', '''2007''', '''2008''', '''2009''', '''2011''', '''2013''', '''2020'''
<color=#373a3c> '''역대 시즌 우승 '''
(14회)
1991(후기), 1993(후기), 1995(전기/후기), 1996(후기), 2000(후기),
2001(전기), 2004(전기), 2008(전기), 2009(전기), 2011(전기), 2012(전기), 2013(후기), 2020(후기)

1. 소개
2. 역사
2.1. 2017 시즌
2.2. 2018 시즌
2.3. 2019 시즌
2.4. 2020 시즌
3. 홈구장
3.2. 아태국제야구장
3.3.
4. 유니폼
5. 선수단
6. 기타
7. 관련 문서


1. 소개


[image][5]
[image]
대만프로야구의 프로야구단. 연고지는 타이난으로 모기업 퉁이그룹. 본사 또한 타이난에 위치한다. 1989년 7월에 창단된 원년팀으로 2007년까지는 퉁이 라이온즈로 불리었으나 모기업인 퉁이 그룹의 주력 회사인 세븐일레븐명명권을 취득하면서 팀명에 세븐일레븐이 추가되었다. 퉁이그룹과 (주)대만세븐일레븐이 각각의 50%씩 지분을 나눠 가지고 있다. 2017시즌에 영문팀 명칭을 기존 모기업의 영문명인 uni-president 에서 uni로 바꾸고 로고와 유니폼에 들어가는 영문 명칭도 Uni Lions로 일치시킨다. 기존 마스코트나 로고 및 판매용 티셔츠에도 자주 쓰인 영문 명칭으로 팀 인터페이스를 바꾸는 과정에서 영문명을 일치시킨 것으로 보인다. 중국어 공식 팀명은 여전히 '''퉁이 7-ELEVEn 쓰(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이나 일반적으로 세븐일레븐은 빼고 '퉁이 쓰(퉁이 라이온스)'로 부른다.

2. 역사


1990년 프로 원년 참가를 목표로 1989년 창단하였다. 현재도 존재하는 실업팀 타이완전력 선수들을 기반으로 겨우 겨우 선수들을 모아 창단한다. 1990년 첫 시즌은 3위로 마감하였으나, 1991년 첫 우승을 달성한다.
1992년부터 94년까지 슝디 엘리펀츠의 압도적 전성기동안 선두 자리를 위협해 오면서 오늘날의 라이벌 관계가 형성된다.
92시즌과 94시즌에는 각각 후기리그 우승에 도전하였으나, 슝디는 두 시즌 모두 퉁이의 추격을 뿌리치고 타이완시리즈 없이 통합 우승을 이룬다.
하지만, 95시즌에는 퉁이가 통합우승을 달성하고, 96시즌도 타이완시리즈에서 우승한다. 하지만, 97시즌 새롭게 출범한 TML리그에 주력 선수들을 빼앗기며 전후기리그 각각 2위에 그쳤다.
이후로 리그 암흑기 동안 2000시즌 우승 1회 및 01, 04, 06시즌 준우승을 기록하였다. 2008년에는 계열사 세븐일레븐이 팀 명명권을 취득 퉁이세븐일레븐 라이온스가 되었다.
2007시즌부터 2013시즌까지 우승 5회, 준우승 1회를 차지하며 또 한 번의 전성기를 맞이한다. 특히 타이완시리즈에서 단 한 번도 이기지 못했던(1993, 2001시즌) 슝디를 상대로 2008, 2009시즌 연속 7차전 접전 끝에 우승을 따내며 양팀간 타이완시리즈 전적을 2승 2패로 맞추게 된다.
이 시기가 코나미컵-아시아시리즈가 열렸던 시기라 국내팬들에게도 우주최강 퉁이로 인지도를 높였다. 아시아시리즈에서는 2008, 2013 준우승 기록이 있다. 일본과 한국팀이 준결승에서 탈락해서 첫 우승을 노리다가 호주에 일격을 당한 2013년 대회는 두고두고 미스터리다.
이 여파인지 이후로 팀 성적은 바닥을 찍어 타이완시리즈에서 이 팀을 본 사람이 없다더라... 2014후기, 2015전후기, 2016후기리그에서 꼴찌를 마크하며 팬들의 울화통을 터지게 하였다.

2.1. 2017 시즌


전기리그에서 부진하면서, 6월 13일자로 이탈리아 대표팀 출신 마이크 데마크와 계약을 포기하였으며 이후 테렌스 마린을 영입하였으나 역시 8월 5일 방출하고 미첼 닉스를 영입하였다.
KBO처럼 CPBL 후기 리그도 최종전까지 리그 우승팀이 안 가려졌는데, 공교롭게도 우승을 두고 경쟁하던 라미고 몽키스와 유니 라이온스가 맞붙게 되었다. 여기서 이기면 타이완 시리즈 진출이고, 지면 플레이오프에 가야 하는 상황에서 패하는 바람에 중신 브라더스와 플레이오프를 거치게 되었다.

2.2. 2018 시즌


외국인 선수로는 데이빗 마르티네스, 조쉬 뢰니케, 좌완 라이언 버듀고 세 명의 선발투수와 사인하였으며, 2군 백업 용병으로 일본 출신의 무명 치넨 코야와 계약하였다. 데이빗 마르티네스는 성적 부진으로 방출되었고, 치넨 코야 역시 한 경기 등판에 그쳤다. 결국 넥센에서 뛰었던 앤디 밴 헤켄을 8월 15일자로 영입했다.
17시즌 후반기 마냥 라미고 몽키스와 우승의 향방을 놓고 다투던 중, 결국 3.5게임차로 전기리그 우승에는 실패했다.
10월 7일, 좌완 라이언 버듀고가 '''CPBL 최초의 퍼펙트 게임'''을 달성해내었다! 게다가 쿠오푸린의 끝내기 홈런 승리는 덤. 사실 6월에 닉 애디튼을 상대로 노히터 게임을 내준 적도 있었다. 또 하나의 진기록은 10월 13일에 나왔는데, 라미고 몽키스 전에서 두팀 도합 3루타 '''여섯 개''' 가 터지는 일이 벌어졌다. 그야말로 기행열전 2018 시즌.
한편 라미고에게 다시 한 번 통합우승을 내주며 올해는 푸방 가디언즈와 플레이오프에서 맞붙게 되었다.
그리고 플레이오프에서 3승 1패로 승리하며 5년만에 타이완 시리즈 진출에 성공했다!
타이완 시리즈에서는 1승 어드밴티지를 가진 라미고를 상대로 1차전 패배 후 2,3차전을 내리 승리하며 2승 2패
동률을 만드는 등 나름 열심히 싸웠으나 결국 시리즈 스코어 2대4로 패배, 준우승에 머무르게 되었다.
2018 시즌은 라이온스 투수진에게는 한단계 도약의 해였다. 24세의 새 마무리투수 천윈원(陳韻文)은 3점대 방어율과 19세이브를 달성하며 메이저리그 출신의 니푸더, 리첸창을 넘어 대만리그 세이브 2위에 올랐으며, 24세 장천옌(江辰晏), 25세 쉬쯔제(施子謙) 역시 토종 선발투수 4,5선발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시즌 종료 후 퉁이에서만 14년을 뛴 베테랑 포수 가오즈강(高志綱)이 은퇴를 선언했다. 다음 시즌부터 퉁이의 2군 감독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한다.

2.3. 2019 시즌


시즌 종료 후 앤디 밴 헤켄을 방출했다. 놀랍게도 대체 용병은 텍사스 불펜 및 대체선발 투수로 2년간 활약한 오스틴 비벤스-덕스. 조쉬 로에니케와 함께 MLB에서 상당한 경력을 가진 선수를 둘이나 로스터에 넣게 되었다. 이외에도 퍼펙트 게임 투수 버듀고를 재계약하였으며 리그 내 유일한 2군 용병 치넨 코야도 2년차 계약에 성공했다.
라이언 버듀고가 부상으로 뛰지 못하는 바람에 일단 개막전은 조쉬 로에니케를 선발로 하며 보험용 용병이었던 치넨 코야는 불펜 투수로 개막 로스터에 합류하였다. 그리하여 버듀고와 오스틴 비벤스-덕스, 판웨이룬, 쉬즈치엔, 쟝첸웬 총 다섯명의 선발 로스터로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 토종 선발이 3명이나 들어간 흔치 않은 케이스.
3월 23일 라미고와의 개막전에서 로에니케는 5이닝 무실점으로 승리요건을 채웠지만 뒤이어 올라온 치넨 코야는 0.1이닝 1실점으로 안 좋았고[6] 결국 3번째로 올라온 왕징밍이 블론세이브를 하면서 장렬하게 패했다.
3월 24일 푸방과의 두번째 개막전(?)에서는[7] 푸방이 야심차게 데려온 헨리 소사에게 제대로 틀어막히면서 1점밖에 못 냈지만 상대팀 푸방 가디언즈 타선이 더 물빠따화되면서 한 점도 못 내는 바람에(...) 1:0이라는 축구 스코어로 신승했다. 심지어 이 날 퉁이의 선발은 쟝첸웬이었고 불펜까지 다 토종 선수만 올라왔는데도 이겼다.
전반기에 꼴지를 기록하였으며, 후반기에도 꼴지를 기록하였다.

2.4. 2020 시즌


연습경기에서 키움 히어로즈를 상대해 2전 2패를 당했다.
4월 12일 개막전[8]에서는 중신 브라더스를 만나 연장 11회 혈투 끝에 4:1로 승리했다.
개막전의 승리가 무색하게 이후에는 좋지못한 성적을 기록하며 전기리그는 3위로 마감.
후기리그에서는 퉁이, 중신, 푸방 세 팀이 선두권에서 혼전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마지막 두 경기를 남겨두고 1위~3위까지 0.5게임차로 혼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10월 21일 기준 푸방이 1위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리그 마지막 두 경기는 퉁이-푸방전(원정)과 퉁이-중신(홈)전의 잔여경기다. 퉁이는 이 경기에서 최소 1승 1무 이상을 해야 타이완시리즈에 진출할 수 있는 상황이다. 그나마 무승부가 푸방전에서 발생할 경우 퉁이와 푸방이 동률이 되어 순위결정전을 치뤄야 하는 상황.
푸방과의 경기에서 2-0, 중신과의 경기에서 3-2로 2연승을 거두며 극적으로 후기리그 역전 우승을 이뤄내며 2년 만에 우승에 도전한다.
이번 타이완시리즈는 전통의 라이벌 중신과의 맞대결로 양 팀간 타이완시리즈 전적은 3승 2패로 퉁이가 앞서고 있다.
2020 타이완 시리즈에선 1승 3패로 위기에 몰렸다가 5,6,7차전을 이기며 4승 3패로 중신을 꺾고 7년 만에 타이완 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퉁이의 통산 9번째 우승을 기록하였다.

3. 홈구장



3.1. 타이난 시립 야구장




3.2. 아태국제야구장


2023년 개장을 목표로 안남구 타이완역사박물관 옆에 건설중인 야구장. 25,000석 규모로 개장 후에는 타이완 최대의 야구장 타이틀을 가져올 예정. 안남구는 전통적인 타이난 도시 영역에 속하고 신구장 또한 안남구 중심지와 가깝지만, 정작 타이난 중심지와 거리가 멀어 다른 신규 구장들처럼 접근성이 떨어질듯하다.
한국과 일본의 스프링캠프를 유치할 5면의 야구장은 2019년 7월 오픈하였다. 참고로 개장 후 최초 경기인 U-12리틀야구월드컵에서 한국은 이 대회 최고 성적인 4위를 기록하고 귀국하였다.

3.3.


공식 홈페이지 홈구장 안내(중국어) - 무려 7개 구장을 소개하고 있다.
과거 홈경기의 거의 절반이 타이난 외 지역에 편성되었다. 심지어 10개 구장을 홈으로 쓰기도 했고, 남의 홈구장에서도 홈경기를 개최했다.[9] CPBL리그가 일본의 영향으로 원래 출장경기가 많았는데, 2010년대 중후반 들어 대부분 출장경기가 사라지는 추세에도 퉁이는 2010년대 후반까지도 출장경기를 다수 편성했다. 전국적 인기 구단 인데다가 타이난구장 또한 건설된지 80년이 넘어 출장경기를 자주 치렀다. 퉁이그룹은 타이난에 본사를 둔 회사로 한 때 홈경기를 39경기까지 편성했으나, 구장의 열악함 및 타 지역 관중들의 편의를 무시할 수 없었다. 이는 타오위안으로 연고 이전 후 출장경기를 전혀 편성하지 않는 라미고 몽키즈와 매우 대비되었다.
2018년 이후 타이난 홈경기를 지속적으로 늘려오다가 2020년에는 매년 열리던 화롄(대만동부) 시리즈 5게임만 제2구장 경기로 펼치게 되었다. 1군 경기 뿐만 아니라 2군 홈경기도 이 곳에서 치르고 있기 때문에 경기는 제법 열린다.[10]

4. 유니폼


전통적으로 모기업의 상징색인 녹색과 주황색을 써 와서 대만에서도 촌스럽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이었다. 특히 모자에 녹색과 주황색을 같이 써서 촌스러움이 더해졌다. 가슴팍에 80년대 三星처럼 統一라고 크게 쓰인건 덤.
초창기 홈경기 유니폼 복각버전, 원정 유니폼은 녹색
2016년까지 쓰인 홈경기 유니폼
[image]
2008-2016년 시즌에는 원정 유니폼을 주황색에서 녹색으로 바꾸고 흰색이나 금색을 적절히 써서 배색의 촌스러움은 벗었으나 유니폼에 크게 쓰인 7-ELEVEN의 압박은 어찌할 바가 없었다. 홈경기 유니폼은 기존 유니폼에서 큰 변화가 없음.
[image]출처
2017년 3월 21일에 구단 공식 페이스북의 라이브 방송을 통해 새 기본 유니폼을 공개했다. 드디어 구단 고유 컬러 그린-오렌지에서 녹색을 버렸다! 스프링캠프 유니폼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들여 파란색은 빼고 검은색을 보조 색상으로 활용하였다. 네덜란드 야구 국가대표팀와 비슷한 느낌을 주는 컬러 선택은 나름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세부 디자인에서 아쉬운 점이 많다는 반응이 다수이다.
2020시즌에는 주말경기 유니폼을 도입하는데 구단 역사상 최초로 지역명 유니폼을 출시한다. 리그에서는 라미고 몽키스 시절의 TAOYUAN 유니폼 이후 두 번째. 지난 시즌 입었던 리그 30주년 기념 Proud 유니폼을 기반으로 깔끔하게 나왔다.
[image]
2017년 1월 9일 발표된 앞서 스프링캠프 유니폼으로 새로운 팀 엠블럼과 함께 공개되어 새 정식 유니폼에 대한 퉁이팬들의 기대치를 높였다. 그리고 대폭 개선된 새 유니폼에 퉁이팬들은 안도하게 되었다.
2020시즌 스프링캠프 유니폼은 벚꽃 에디션으로 출시되었다. 일반적으로 핑크 유니폼들이 판매용으로만 나오거나 한 번 입고 끝나는 반면, 퉁이 라이온스의 벚꽃 에디션은 스프링캠프와 시범경기 내내 착용하고 나선다. 헬멧까지 흰색으로 하고 핑크색 구단 로고를 붙였다.

5. 선수단


출처: https://www.uni-lions.com.tw/team-member.aspx?mtype=1
투수

배번
이름
12
천윈원(陳韻文, 진운문)
16
장천옌(江辰晏, 강진안)
18
판웨이룬(潘威倫, 반위륜)
19
구린뤼양(古林睿煬, 고림예양)
23
류쉔다(劉軒荅, 유헌답)
26
테디 스탠키위츠(泰迪, 태적)
40
황쥔얀(黃竣彥, 황준언)
41
왕징밍(王鏡銘, 왕경명)
42
푸위강(傅于剛, 부우강)
45
스즈젠(施子謙, 시자겸)
50
브록 다익손(布雷克, 포뢰극)
54
팀 멜빌(猛威爾, 맹위이)
60
정쥔런(鄭鈞仁, 정균인)
95
장청펑(江承峰, 강승봉)
포수
배번
이름
31
린위러(林祐樂, 임우락)
65
천중위(陳重羽, 진중우)
74
장차오위안(張肇元, 장조원)
내야수
배번
이름
5
궈푸린(郭阜林, 곽부림)
13
천융지(陳鏞基, 진용기)
24
천제샨(陳傑憲, 진걸헌)
35
판졔카이(潘傑楷, 반걸해)
39
린주제(林祖傑, 임조걸)
62
우제루이(吳桀睿, 오걸예)
64
린청카이(林靖凱, 임정개)
66
천중팅(陳重廷, 임중정)
68
가오궈칭(高國慶, 고국경)
외야수
배번
이름
6
탕자오팅(唐肇廷, 당조정)
27
장량웨이(江亮緯, 강량위)
32
쑤즈제(蘇智傑, 소지걸)
55
판우슝(潘武雄, 반무웅)
77
린안커(林安可, 임안가)

6. 기타


  • 현존하는 대만 프로야구 팀들 중 연고지 이전이 없는 유일한 팀이다.
  • 2008년 아시아 시리즈에서 SK 와이번스를 상대로 10:4로 대승을 거두고 결승전에 진출했다. 그 경기를 본 야갤러들은 우주최강 퉁이 드립을 쳤다.
  • 라이온즈는 한국-일본-중국-대만 리그에 모두 존재하는 야구팀 이름이다. 따라서 이 구단은 대만의 라이온즈가 된다. 실제로 2008년 아시아 시리즈에서는 일본쪽에서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대만쪽에서는 퉁이 라이언스, 중국에서는 톈진 라이언스가 진출하여 라이온즈 시리즈가 성사될 했다. 그나마 삼성 라이온즈와 퉁이 라이언스의 해후(?)는 2011년 아시아 시리즈에서 이루어졌다.

7. 관련 문서



[1] 중국어 발음으로는 퉁이 쓰. 2017년 팀 영문명이 바뀌었음에도 중국어 정식명칭을 유지함.[2] 2017년 팀 로고가 바뀌고 유니폼 전면에 표시되는 이름이 바뀌어서 정식 팀 명칭도 바뀐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다.[3] 세븐일레븐의 대만 법인. 퉁이그룹의 관계사이다.[4] 전후기 통합우승으로 시리즈가 취소되었다. 1985년 삼성과 같은 예.[5] 2017년 1월 9일 발표한 새로운 엠블럼. 이 엠블럼을 사용하면서부터는 'uni-president' 라는 영어 표기가 uni로 단축되면서 영어 구단명도 '유니 라이온스'로 통일된다.[6] 그러나 홀드를 기록하긴 했다(...)[7] 퉁이 입장에선 개막전이 아니었으나 푸방은 3월 23일 휴식을 했기 때문에 이 경기가 개막전이었다.[8] 원래는 작년 타이완 시리즈 진출팀인 라쿠텐 몽키스중신 브라더스의 11일 경기였으나, 라쿠텐 몽키스의 구장 소재지인 타오위안에 비가 내리며 12일 경기까지 취소되었다.[9] 퉁이 뿐만 아니라 리그 전체적으로 있던 일이었다.[10] 2군 경기는 아직도 순회 경기로 열리고 2014년 이후로는 리그 전체가 남부지방에서만 2군 경기를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