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파사우루스
[image]
복원도
[image]
두개골 및 뇌 구조[1]
백악기 전기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노도사우루스과 곡룡류 공룡이다. 속명은 화석이 발견된 미국 텍사스 주의 '파 파 층(Paw Paw Formation)'에서 따온 '파 파 층의 도마뱀'이라는 뜻이다.[2]
모식표본은 하악골을 제외한 두개골 화석이 전부지만, 이 두개골의 보존 상태가 '''뇌와 비강, 내이의 구조를 전부 복원해낼 수 있을 정도로''' 좋았던 덕에 그와 관련한 많은 연구가 진행될 수 있었다. 심지어 다른 노도사우루스류에서 화석상의 증거가 확인되지 않았던 '''눈꺼풀'''까지 남아있을 정도. CT 스캔 등을 통해 분석한 결과 파노플로사우루스 등의 다른 곡룡류들과 매우 유사한 형태의 뇌와 비강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청각은 현생 악어 정도로 그닥 좋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는 반면 후각은 매우 발달해 있었으리라고 여겨진다. 아마 이 뛰어난 후각은 먹이를 찾거나 천적의 접근을 알아차리는데 도움을 주었을 것이며, 커다란 비강 덕분에 공기 순환을 통해 머리 부분의 체온을 조절하는 부가적 효과도 거둘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두개골을 토대로 추산한 몸길이는 대략 4.5m 정도 되며, 현재는 사우로펠타와 가까운 관계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복원도에서도 대부분 사우로펠타와 비슷한 생김새로 묘사되곤 한다. 여담으로 앞서 같은 지층에서 발견된 텍사세테스(''Texasetes'')라는 노도사우루스류 공룡이 있는데, 일각에서는 이 공룡이 파파사우루스와 같은 종이라고 주장하면서 파파사우루스가 텍사세테스의 동물이명으로 흡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 보레알로펠타가 이 공룡과 상당히 가까운 편이라고 한다.
어째서인지는 몰라도 여태까지 매체에서의 등장은 일본 애니메이션들 뿐이다. 첫 데뷔는 고대왕자 공룡킹 애니판 31화에서 하였고, 후에 2015년 여름에 개봉하였던 영화 고 녀석 맛나겠다 2: 함께라서 행복해에 키라리[3][4] 라는 이름의 개체가 출연한다.
복원도
[image]
두개골 및 뇌 구조[1]
1. 개요
백악기 전기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노도사우루스과 곡룡류 공룡이다. 속명은 화석이 발견된 미국 텍사스 주의 '파 파 층(Paw Paw Formation)'에서 따온 '파 파 층의 도마뱀'이라는 뜻이다.[2]
2. 상세
모식표본은 하악골을 제외한 두개골 화석이 전부지만, 이 두개골의 보존 상태가 '''뇌와 비강, 내이의 구조를 전부 복원해낼 수 있을 정도로''' 좋았던 덕에 그와 관련한 많은 연구가 진행될 수 있었다. 심지어 다른 노도사우루스류에서 화석상의 증거가 확인되지 않았던 '''눈꺼풀'''까지 남아있을 정도. CT 스캔 등을 통해 분석한 결과 파노플로사우루스 등의 다른 곡룡류들과 매우 유사한 형태의 뇌와 비강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청각은 현생 악어 정도로 그닥 좋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는 반면 후각은 매우 발달해 있었으리라고 여겨진다. 아마 이 뛰어난 후각은 먹이를 찾거나 천적의 접근을 알아차리는데 도움을 주었을 것이며, 커다란 비강 덕분에 공기 순환을 통해 머리 부분의 체온을 조절하는 부가적 효과도 거둘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두개골을 토대로 추산한 몸길이는 대략 4.5m 정도 되며, 현재는 사우로펠타와 가까운 관계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복원도에서도 대부분 사우로펠타와 비슷한 생김새로 묘사되곤 한다. 여담으로 앞서 같은 지층에서 발견된 텍사세테스(''Texasetes'')라는 노도사우루스류 공룡이 있는데, 일각에서는 이 공룡이 파파사우루스와 같은 종이라고 주장하면서 파파사우루스가 텍사세테스의 동물이명으로 흡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 보레알로펠타가 이 공룡과 상당히 가까운 편이라고 한다.
3. 등장 매체
어째서인지는 몰라도 여태까지 매체에서의 등장은 일본 애니메이션들 뿐이다. 첫 데뷔는 고대왕자 공룡킹 애니판 31화에서 하였고, 후에 2015년 여름에 개봉하였던 영화 고 녀석 맛나겠다 2: 함께라서 행복해에 키라리[3][4] 라는 이름의 개체가 출연한다.
[1] CT 스캔을 통한 분석[2] 한국인 고생물학자인 이융남 박사가 명명했다. 이융남 본인의 저서 공룡학자 이융남 박사의 공룡대탐험에서도 관련 내용이 나온다.[3] 일본어로 반짝반빡 빛나는 대상을 가리킨다.[4] 원판 성우는 카카즈 유미, 더빙판 성우는 조경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