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 필드

 


'''역대 슈퍼볼 개최 경기장'''
39회 (2005)

40회 (2006)

41회 (2007)
올텔 스타디움
(잭슨빌)
'''포드 필드'''
(디트로이트)
돌핀 스타디움
(마이애미)
[image]
'''디트로이트 라이언스'''
'''포드 필드
Ford Field
'''
위치
미시건디트로이트 2000 Brush Street
기공
1999년 11월 16일
개장
2002년 8월 24일
홈구단
디트로이트 라이언스 (NFL) (2002년~)
운영
디트로이트 웨인 카운티 스타디움 오소리티
잔디
필드터프(인조잔디)
좌석수
65,000석[1]
준공비
4억 3천만 달러

1. 소개
1.1. 폰티악 실버돔
1.2. 디트로이트로의 이주
2. 기타


1. 소개



1.1. 폰티악 실버돔


'''역대 슈퍼볼 개최 경기장'''
15회 (1981)

16회 (1982)

17회 (1983)
루이지애나 슈퍼돔
(뉴올리언스)
'''폰티악 실버돔'''
(디트로이트 근교)
로즈 볼
(로스앤젤레스 근교)
[image]
[image]
[image]
슈퍼볼 XVI
1994 FIFA 월드컵
디트로이트 라이언스1975년부터 '''세계 최초의 공기부양형''' 지붕[2]을 설치한 돔구장이자 8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거대한 경기장이였던 '''폰티악 실버돔'''을 사용하고 있었다.
디트로이트 피스톤즈가 1978년부터 10년간 홈으로 사용하기도 했고, 북쪽 지방 최초로 슈퍼볼을 개최하기도 했고, 1994 FIFA 월드컵 미국에서 월드컵 최초로 돔경기장 경기가 열리기도 하는 등, 여러가지로 상징적인 경기장이였지만, 디트로이트 위성도시라는 경기장 위치 + 거대한 수용규모 + '''70년대 이후 침체되기 시작한 디트로이트 경제'''라는 콤보로 1990년대 최고의 러닝백 중 한명이였던 배리 샌더스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블랙아웃[3]을 자주 당했고 구단주인 포드가는 디트로이트 다운타운에 신축 구장을 건설하기로 결정한다.


이후 실버돔은 활용방안을 찾지 못한채 폐허가 된채로 방치되고 있다가, 결국 2017년 여름부터 철거 작업에 들어가서 12월에 폭파 철거되었다. 역사 속으로 사라지기 싫었는지 첫번째 폭파 시도가 실패하고 두번째 시도에서 폭파된건 덤.

1.2. 디트로이트로의 이주


위성도시인 폰티악을 떠나 1999년에 디트로이트 다운타운에 첫삽을 뜬 새로운 '''폐쇄형 돔구장'''은 2002년에 완공되었으며, 포드가 20년간 4000만 달러에 명명권을 획득하여 '''포드 필드'''가 되었다.
의욕적으로 지은 포드 필드였지만, 가뜩이나 지역경기도 안 좋은데 새 구장 지어서 표 값은 비싸고 2008시즌에 '''0승 16패'''를 당하는 등 선수들은 무기력하기만 해서 팬들이 외면한지라 수시로 TV 중계 블랙아웃을 당하는건 결국 변하지 않았고, 2014년에 조항이 폐지되어서 이제는 상관없는 일이 되었다. 라이언스 구단 입장에서는 다행이라고 할까. 포드 필드 개장 이래 라이언스가 지구 우승을 차지한 적이 없기에, 라이언스의 플레이오프 홈경기 역시 개최하지 못했다. 그래도 슈퍼볼이라도 개최했으니 슬픔의 공장 퍼스트에너지 스타디움보다는 낫다고 해야 할지...

2. 기타



  • 은근히 인상적인 플레이가 많이 나오는 경기장이다. 라이언스가 아닌 상대팀이 주역이긴 경우가 더 많기는 하지만(...).
  • 가까운 곳에 위치한 웨인 주립 대학(Wayne State University)의 졸업식이 매년 이곳에서 진행된다. 졸업식 당일 포드 필드 근처의 교통량은 타이거스나 라이언스 경기가 있는 날의 교통량과 맞먹는다(...).

[1] 70,000석까지 확장 가능[2] 이러한 공기부양식 완전폐쇄형 방식은 나중에 생겨난 메트로 돔, RCA 돔, BC 플레이스, 버드우즈 돔, 도쿄 돔 등의 설계에 응용됐다.[3] 홈 경기가 매진되지 않을때, 해당 마켓에서 TV로 경기를 방송하지 못하는 조항, 2014년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