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사무엘슨

 


'''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

[image]
1969년

1970년

1971년
랑나르 프리슈
얀 틴베르헌

'''폴 사무엘슨'''

사이먼 쿠즈네츠
[image]

Paul Anthony Samuelson
1915년 5월 15일 ~ 2009년 12월 13일
미국의 경제학자. 인디애나 주 출신이며 1931년시카고 대학교에 입학하여 1935년에 학사 학위를 이수한 뒤 1936년 석사학위를 이수하였고 194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이수했다. 1940년도 MIT 조교수로 일하다가 1947년에 정식 교수가 되었다. 현시 선호 이론(revealed preference theory)을 개발했고 신고전학파 종합(neoclassical synthesis)을 이루어냈다. 또한 효율적 시장 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의 개발에도 일조했고 후생경제학에도 큰 자취를 남겼다. 또한 국제경제학헥셔-올린 모델에서나, 재정학 쪽에서도 큰 업적을 남겼다.
이처럼 현대 경제학의 각 분야가 어느 정도 정립된 이후에도, 세부전공을 가리지 않고 큰 연구 업적을 남겼기 때문에 흔히 '''경제학의 마지막 거장'''으로 불린다. 사무엘슨 이후의 경제학자들은 모두 특정 세부 전공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긴 사람들이며, 사무엘슨처럼 소비자 이론부터 거시 경제 정책론까지 전방위적으로 활약한 학자는 더 이상 나오지 않고 있다.
현대적 의미의 경제학원론 교과서를 정립한 인물로도 꼽힌다. 맨큐의 경제학을 비롯한 오늘날의 경제학원론 교과서들은 그의 저서에 빚을 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대인이다. 가계도를 봐도 조카로 로렌스 서머스,[1] 처남으로 케네스 애로우[2]를 두는 등, 나름 명망 있는 가문.
신자유주의와 자유 시장론의 상징이라고 볼 수있는 시카고 대학 출신이지만, 케인지언 이론에도 상당히 정통했다. 따라서 시카고학파의 자유 시장 이론과 케인지언의 혼합 경제 이론을 절충한 신고전학파 종합 이론을 만들어낸 인물이다. 때문에 완전히 자유로운 시장보다는 합리적인 규제가 동반된 시장이 훨씬 이롭다고 하였다.
밀턴 프리드먼과 사적으로는 친구였지만,[3] 프리드먼과 학문적 갈등이 있었다. 시장주의적인 프리드먼과 케인지언 성향의 사무엘슨은, 둘 모두 신고전학파 종합으로 분류가 된다고는 해도, 사상적으로는 꽤 다를 수밖에 없다.
소련이 존속 가능한 체제임을 보였다고 1989년에 의견을 표명했다.
'사실임을 쉽게 알 수 있지만 이해하기는 어려운 이론'으로 데이비드 리카도비교 우위론을 들었다는 일화가 있다.
하버드 대학교 박사 과정 당시 지도 교수가 조지프 슘페터였다. 박사 논문 심사 때 슘페터가 '''"Did we pass?"'''라고 물었다고 하는데, 즉 '''"우리가 잘 이해했는가?"''' 스승이 제자에게 할 수 있는 최고의 찬사인 셈. 저 박사 논문은 이후 책으로 출판되었고, 그것이 오늘날 경제학의 고전 중 하나인 <Foundations for Economic Analysis>이다.
그러나 정작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모교인 하버드에서는 교수가 되지 못하고 MIT 교수가 되었다고 한다.
[1] 빌 클린턴 재임 시절에 미국 재무 장관을 역임했고, 이후 하버드대 총장으로도 재직했던 경제 관료 출신의 저명 학자다. 영화 <소셜 네트워크>에서 윙클보스 형제가 면담을 요청했던 당시 하버드대 총장으로 등장(물론 본인은 아니고)했다.[2] 스탠포드 대학 교수이며, 1972년 52세의 나이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이는 에스테르 뒤플로의 47살 기록의 뒤를 이은 두 번째로 어린 경제학상 수상 기록.[3] 두 사람 모두 시카고 대학교 출신 경제학자이기 때문이다. 사무엘슨은 시카고에서 학사 학위를, 프리드먼은 석사 학위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