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상

 


'''노벨기념경제학상
Nobel Memorial Prize in Economic Sciences'''
[image]
'''주최 및 장소'''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
[image] 스웨덴 스톡홀름
'''상금'''
900만 SEK
100만 달러[1]
(2018년 기준)
'''첫 시상년도'''
1969년
'''최근 수상자'''
폴 밀그럼 [image]
로버트 윌슨 [image]
(2020년 기준)
'''링크'''
공식 홈페이지
1. 개요
2. 오해와 진실
2.1. 노벨상이 아니다?
2.2. 국적을 차별한다?
2.3. 주류경제학만을 옹호한다?
2.4. 수상자가 모든 시사/경제문제에 폭넒은 인식을 가지고 있다?
3.1. 수상자 통계
4. 기타

[clearfix]

1. 개요


스웨덴어
Sveriges Riksbanks pris i ekonomisk vetenskap till Alfred Nobels minne
영어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
한국어
알프레드 노벨을 기념하는 경제학 분야의 스웨덴 중앙은행상
경제학 분야에 대하여 뛰어난 업적을 남긴 학자에게 수여되는 노벨상의 한 부문. 노벨상 중 가장 늦은 1969년부터 시상하고 있다. 다만, 엄밀하게 말하면 노벨상이 아니라 스웨덴 중앙은행상이다.

2. 오해와 진실



2.1. 노벨상이 아니다?


스웨덴 중앙은행 설립 300주년을 기념하여 제정된 상으로서, 알프레드 노벨이 유언으로 정한 시상 분야가 아니다. 따라서 노벨 재단에서 수여하는 상이 아니므로 이 점에서 나머지 5개 부문과 차이가 있다. 이 상의 정식 명칭은 다른 노벨상과 다르게''' '알프레드 노벨 기념 스웨덴 중앙은행 경제학상'(The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이다. 노벨의 유언에 의해 만들어진 나머지 5개 분야 노벨상은 정식 명칭이 Nobel Prize(예: Nobel Prize in physics)로 시작되지만, 노벨 경제학상은 The Sveriges Riksbank Prize로 시작하는 것만 보아도, 노벨 경제학상은 노벨상이 아니라, 스웨덴 중앙은행상인 것이다.
알프레드 노벨의 형의 후손[2]인 피터 노벨은 노벨 경제학상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해당 학계에서의 공신력이나 수상자 선정 과정에 대해서는 그 공정성과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심사주체가 스웨덴 왕립 아카데미로 노벨물리학상, 노벨화학상과 동일하며 시상식도 다른 부문 수상자들과 함께 치러진다. 경제학계에서 노벨상 수상자는 업계의 수많은 네임드 가운데에서도 경제학의 발전에 보다 근본적이고 중요한 공헌을 한 학자로 평가받아, 대단한 영예로 여겨진다.
하지만 일단 형식상으로는 '노벨상(Nobel Prize)'은 아니다.

2.2. 국적을 차별한다?


노벨경제학상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비판 중 하나가 지나치게 미국인 학자들에게 우호적인 상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역대 수상자들 가운데 미국 국적을 가진 학자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국적상 미국이 아니더라도 미국에서 대학을 나왔거나 미국 연구기관(재직대학)에 소속된 사람들이 상을 받는다.
그러나 이는 심사위원들이 국적을 차별해서라기보다는, 현대 경제의 중심지가 미국이며, 이에 따라 가장 활발한 경제학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곳도 미국이기 때문이다.[3] 또한 이는 다른 사회과학보다 좀 더 보편적이며 정량적인(general and quantitative) 성격을 띠는 경우가 많은 경제학의 특징 때문이기도 하다. 경제학은 사회과학 가운데 심리학과 함께 이른바 "과학화"가 가장 진행된 분과이며, 이 경향을 이끈 이들이 다름 아닌 미국 학계였다.
물론 이러한 소위 '과학화' [4] 경향은 그 자체가 편향적이라는 비판을 많이 받아 왔기도 하다. 정확하게 말해서 현대 경제학의 중심지가 미국이라는 말은, 현대 주류 경제학의 중심지가 미국이고 실제로 미국 경제학계가(또는 미국 자체가) 세계의 정치, 경제에 압도적인 헤게모니를 지니고 있다는 의미이지, 꼭 미국의 경제학 내지 경제학자들이 가장 우월해서라고 볼 수는 없다. [5]
경제학의 대표적인 학자들이 대부분 미국인이고, 미국이 아니더라도 유럽 등 서구권 소속인 경우가 많은 것은 사실이며 동시에 현대 경제학의 헤게머니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에 있는 것은 사실이다. 예외적으로 아시아에서는 인도 출신의 센과 바네르지가 수상하기도 했는데, 인도 자체가 영국의 식민지로 오래 있으면서 서구적 색채가 강하다는 특징과 센과 바네르지는 인도 출신이지만 미국에서 많이 활동하던 사람들이다.

2.3. 주류경제학만을 옹호한다?


수상자의 다수가 신고전파종합(neoclassical synthesis) 경제학자라는 것은 사실이다. 이는 경제학계에서 신고전파 경제학=경제학이라 볼 수 있을 정도의 비중을 자랑하기 때문이다.
전형적인 신고전파 경제학자 외에도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 학파도 많이 받았다. 이게 왜 이러냐면 노벨상을 수상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그들이 수행한 연구로 인해서 수많은 여타 학자들이 영향을 받고 그에 따라 전체 경제학계의 추후 연구 방향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 [6] 게임이론과 행동경제학이 대표적. 엘리너 오스트롬이 그나마 근래에는 주류경제학과 제일 거리가 있는 편이나 그녀가 속한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 학파의 통찰은 주류경제학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요즘도 비주류 경제학으로 손꼽히는 이들도 받았다.

2.4. 수상자가 모든 시사/경제문제에 폭넒은 인식을 가지고 있다?


노벨경제학상은 경제학 내에서도 특정 분야에서의 학문적 업적을 고려해서 주는 것이다. 경제와 시사에 대해 아는 게 많다고 주는 것은 아니다.
물론, 노벨경제학상 수상자가 경제학 전공자로서 일반인보다 많이 알 거라는 점, 수상자들이 대단히 명석한 사람이므로 평범한 사람보다는 배우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노벨경제학상 수상자가 자기 분야 이외의 분야에 대해 해당 분야 전공자보다 더 잘 아는가?'라고 질문을 바꿔본다면, 아닐 확률이 굉장히 높다. 1960년대에는 매년 2,500여건~3,000여건 정도만 새로운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때문에 대학자라 할 만한 사람은 정말로 '경제학'을 전공하는 것이 가능했다. 하지만 오늘날 SSCI 등재지 등 국제적인 수준의 학술지에서 발표된 경제학 관련 article은 447,103건(2016말)에 달하고, 매년 22,000여건의 새로운 연구들이 추가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한 인간이 경제학의 모든 분야에 통달하는 것은 이미 불가능해졌다.[7] 기본은 알아도 그 해당 세부분야의 최신 연구성과까지 세밀하게 파악하고 있지는 못하다. 오히려 자신이 학부 시절 배웠던 (그리고 지금은 많이 수정된) 옛날 이론에 머물러 있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라고 해서 경제 시사를 전부 꿴다 볼 수는 없으며 주로 그 사람의 주된 연구 영역이 무엇인지를 살필 필요가 있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라고 해서 모든 경제 문제의 명쾌한 해답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고, 한국경제에 대해선 국내 전문가보다 모를 수도 있다.[8] 이런데도 진영논리에 휩싸인 미디어매체들이 수상자들의 이론이나 강연 한두마디를 앞뒤 맥락을 모두 짤라버린채 단편적으로 가지고 와서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치적 극단주의자들이 이것을 사방에 퍼나르면서 자신들의 신념을 강화하고 대중을 선동한다. 심지어 수상자들의 연구성과가 자신들의 주장에 부합하지 않으면 왜곡하는 짓도 저지른다. 2015년 수상자 앵거스 디턴의 저서 위대한 탈출한국경제신문이 내용을 왜곡해서 출판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3. 역대 수상자




3.1. 수상자 통계


  • 노벨경제학상은 2020년 기준 52회, 총 85명에게 수여되었다.
  • 최연소 수상자(케네스 애로)의 수상 당시 연령은 51세로 다른 분야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또한 수상자의 평균 연령(67세)도 제일 높다. 이 기록은 2019년 에스테르 뒤플로(47)에 의해 갱신되었다.
이는 경제학이라는 학문 특성상 이론이 정립이 되어 현실에 반영되어 그 결과가 입증되는 시간이 비교적 오래걸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벨상 수상자의 평균연령이 59세인데에 비해 경제학상은 평균 67세로 8년 정도가 더 높다. 노벨상은 살아있는 사람에게만 수여되기 때문에 장수하지 않는다면 못 받을 수도 있다. 이 비극에 해당하는 일례가 블랙-숄즈 모형(BSOPM, Black Scholes Option Pricing Model)의 창시자 중 한 명인 피셔 블랙(1938~1995)이다. 피셔 블랙은 후두암으로 인해 1995년 사망했는데, 블랙-숄즈 모형을 통해 로버트 머턴 마이런 숄스가 1997년에 수상했다.
  • 1969년 경제학상 수상자 얀 틴베르헌의 동생인 조류학자 니콜라스 틴베르헌은 4년 후 생리학상을 수상한다.
  • 1974년 경제학상 수상자 군나르 뮈르달[9]의 아내 알바 뮈르달은 8년 후 평화상을 수상한다.

4. 기타


노벨경제학상을 한국인이 수상한다면 노벨상이 아닌 것으로 보더라도 세금을 내지 않는다.[10] 외국정부·국제기관·국제단체 기타 외국의 단체나 기금으로부터 받는 상이기 때문. 그러나 일본인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경우에는 다른 노벨상은 일본의 소득세가 면세되는 것과 달리 일본 정부에 세금을 내야 한다고 한다. 아직까지는 일본인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일이 없지만...[11]

[1] 한화 기준 약 10억 6,680만 원.[2] 참고로 알프레드 노벨 본인은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3] 실제로 경제학자의 영향력을 재는 RePec같은 사이트에서는 국가별 학자 랭킹을 제공하고 있는데, 미국만은 나라 단위가 아닌 주 단위로 집계된다.[4] 경제학뿐만이 아니라 현대 미국 정치학, 심리학 등은 수량적 모델과 과학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5] 소련이 폭삭 망하면서 순수한 마르크스경제학의 존재감은 감소하였다. 다만 복지자본주의 사상과 이를 위한 정부의 개입을 주장하는 케인지언 학풍을 더하고 있는게 현재 좌파계열 경제학의 트랜드인데, 케인지언 학파의 핵심이 미국인 만큼 이 분야에서도 미국의 존재감은 압도적이다. 케인스는 영국 사람이지만, 케인스 경제학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뤄진 곳은 미국이다. 다만 최근엔 도널드 트럼프처럼 자본주의 이론을 정면으로 무시하고 다시금 중상주의 시절의 보호무역제로 돌아가려는 세력에게 밀려서 토마 피케티같은 유럽권 경제학자들로 헤게모니가 넘어간 감이 있다.[6] 수상자들의 면면을 조금만 봐도 알 수 있는 문제다.[7] 이것은 비단 경제학뿐만 아니라 역사학, 자연과학, 법학 등 많은 학문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21세기 들어서 통섭, 융합 같은 개념이 등장한 것에는 이러한 학문의 세분화, 파편화 현상에 대한 반발도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다.) 내과 의사한테 성형수술 상담을 받으면 안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물론 의사니까 기본적인 것은 알겠지만, 성형외과 분야의 최신 경향이나 시술법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당연히 수술 경험도 없을것이다. [8] 물론 우리나라도 G20에 들어갈 정도로 세계경제에서 나름 비중이 있지만, 그래도 미국/중국/일본/서유럽 등의 소위 핵심 세력들과는 여전히 격차가 존재한다. 해외 석학들이 한국 경제를 아주 세심하게 관찰하고 깊숙히 연구했을 가능성이 그렇게 높지는 않다는 것이다. 이들이 보편적으로 제시하는 이론이나 연구방법론을 가지고 한국경제의 문제를 분석하고 대안을 찾는 것은 국내 전문가들의 몫이다.[9] 경제학자 겸 스웨덴 사회민주당 정치인으로 무역장관을 역임했다.[10] 정확히는 소득세법시행령 제18조 2항 '''노벨상'''또는 외국정부·국제기관·국제단체 기타 외국의 단체나 기금으로부터 받는 상의 수상자가 받는 상금과 부상, 국가법령정보센터 출처.[11] 일본은 경제학상을 제외한 나머지 5개 부문에서는 모두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