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랑크 상수

 




1. 개요
2. 상세
2.1. 디랙 상수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1. 개요


Planck constant, Planck's constant
단위 진동수 당 에너지. 막스 플랑크가 빛의 양자화를 제창하며 도입한 상수로서, 흑체복사에 관한 막스 플랑크 법칙을 설명하는 본인의 논문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며 '보조량'을 뜻하는 독일어 Hilfsgröße의 머리글자를 따서 $$h$$로 나타낸다. 막스 플랑크가 독일인이기 때문에 독일어식으로 '하'라고 읽으나[1], 최근엔 그냥 영어식으로 읽는 경우도 있다.

2. 상세


물리적인 차원은 액션의 차원이고 현재의 값은 2019년 5월 20일 부로 정확히 $$6.626\,070\,15\times10^{-34}\rm\,J\!\cdot\!s$$이다. 측정할 때마다 결과값이 계속 다르게 나오므로 $$6.626\,06$$까지 정도만 국제적으로 거의 통일된 값이었는데, 2017년 10월 16일에 소수점 이하 8자리까지의 값이 국제적으로 합의되었고, 이후 SI 단위 중 $$\rm kg$$의 정의가 플랑크 상수 기반으로 바뀌면서 고정된 참값이 되었다. 양자역학에 줄보다 더 많이 쓰는 [math(\rm eV)] 단위로는 $$4.135\,667\,696\times10^{-15}\rm\,eV\!\cdot\!s$$.
의미는 '단위 진동수당 에너지'. 플랑크 상수는 흑체복사를 설명하기 위해 등장한 에너지 양자화 개념의 단위를 정해주는 핵심적인 상수인데, 양자화 개념 자체가 흑체복사의 실험값에 이론을 끼워 맞추는 시도 중에 우연히 등장한 것이다. 이는 진동수가 $$\nu$$인 빛에 의한 에너지 교환이 $$h\nu$$의 정수배 단위로만 이뤄진다는 개념으로, 진동수가 큰 빛일수록 단위 덩어리의 에너지가 높아져서 덩어리 하나를 만들어 내는 것이 지수함수적으로 힘들어져 (그렇지 않으면 발산했을) 전체 에너지를 수렴시킨다는 개념으로 무한한 개수의 진동수가 에너지에 기여하면 총 에너지가 무한이 된다는 '자외선 파탄'을 해결한 것이다.
처음 등장할 때만 해도 미심쩍던 에너지 양자 개념이 20세기 물리학의 핵심으로 올라가게 된 것은 광전효과를 깔끔하게 설명할 수 있게 되면서이다. 물질에 빛을 쪼여 에너지를 전달하면 이를 원자가 흡수하여 전자를 방출하게 된다. 이때 튀어나오는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빛의 밝기에는 무관하게 오로지 빛의 진동수로만 결정된다. 에너지가 양자화된 이론에서는 이것을 양자 덩어리 개수가 아니라 덩어리 하나당 에너지가 전자의 운동에너지를 결정한다는 논리로 설명할 수 있다.[2]
매우 자주 사용되는 상수이다. 불확정성 원리부터 시작해서 전자의 오비탈, 광전효과양자 역학에 관련된 식에는 모조리 등장. 양자역학의 알파이자 오메가이며, 가히 열려라 참깨급 만능키로, 단위계에 에너지와 시간이 죄다 들어가있어서(에너지는 무게와 거리로도 환산된다.), 현존하는 물리학 내에 쓰이는 단위는 거의 다 들어가있기 때문에 요래조래 변환해서 플랑크 단위로 잘 써먹고 있다.
2018년 11월 16일에 열린 국제 도량형 총회(CGPM)에서 SI 단위를 전면 재정의하면서 [math(\rm kg)]의 정의 또한 이렇게 고정된 플랑크 상수 값을 기반으로 재정의하는 데에 만장일치로 합의되었고, 2019년 5월 20일부터는 새로 정의된 $$\rm kg$$을 사용한다.

2.1. 디랙 상수


진동수 $$\nu$$의 빛이 갖는 에너지에 대한 식 $$E = h\nu$$에서, $$\nu$$에 $$2\pi\rm\,rad$$을 곱하면 각진동수 $$\omega$$가 되므로, 해당 식은 각진동수가 $$\omega$$인 입자에 관한 에너지식 $$E = \dfrac h{2\pi}\cdot2\pi\nu = \dfrac h{2\pi}\omega$$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이때 $$\dfrac h{2\pi}$$를 '''디랙 상수(Dirac constant)''' 또는 '''환산 플랑크 상수(reduced Planck constant)'''라고 하며 $$\hbar$$로 나타낸다. 발음은 영어로 '에이치 바(bar)', 독일어로 '하 크베어(h quer)'이다.[3] 단위를 엄밀하게 쓰면 $$\rm J\!\cdot\!s\!\cdot\!rad^{-1}$$이지만 라디안이 무차원량이고 거추장스럽기 때문에 보통 라디안을 생략한(즉, 플랑크 상수와 똑같은) 단위를 쓴다.
이것이 각운동량의 기본 단위인 것도 전술한 이유 때문이고, 슈뢰딩거 방정식도 $$\hbar$$를 쓰는 게 더 간결하기도 해서, 물리이론을 전개하다 보면 이렇게 묶어서 사용하는 게 유용한 경우가 많다. '$$\hbar$$로 나눈다. = 양자화'급. 이 상수가 등장하는지 등장하지 않는지에 따라 양자역학적인 식인지 아닌지가 판별될 정도이다. 원 태생이 흑체 복사였기 때문에 당연히 열역학통계역학, 전자기학에도 엄청 나온다. 공돌이들이 계산기 두드리기 귀찮게 하는 주범이기도 하다.
자매품으로 플랑크 시간, 플랑크 길이, 플랑크 질량 등의 플랑크 단위가 있다. 모두 정의에 디랙 상수가 들어간다.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미드 기묘한 이야기 시즌3 마지막 부분에서 금고의 비밀번호로 나온다. 단 극의 배경이 85년이라 그런지 위에 나온 정확한 값이 아닌 6.62607004로 등장한다. 극 중 초반부에서는 더스틴의 가상 여자친구 로 자리매김 하는듯 했으나, 후반부에서 실제 존재한다는것이 밝혀지면서 수지가 외워준다.

[1] 대표적으로 진동수가 $$\nu$$(뉴)인 광자 1개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식 $$E = h\nu$$에서 $$h\nu$$는 '하뉴'라고 읽는다.[2] 오비탈 개념이 추가로 있어야 이해가 쉬워지나 여기서 필요한 부분만 설명하자면, 전자가 원자핵에서의 거리가 변하려면 특정한 값 이상의 에너지가 필요하다.[3] '하 바'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 '하'는 'H'의 독일어 이름이고 '바'는 영어 bar이므로 엄밀히는 틀린 표현이다. 일단 '하 바'로 검색하면 본 항목으로 리다이렉트되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