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강포
Smoothbore, 滑腔砲
내부에 강선이 없고 매끈한(滑) 포강(腔)[1] 을 가진 포신으로 구성된 대포. 주로 전차의 주포나 소화기로써는 산탄총에 사용된다.
'비탈진 곳을 미끄러져 내려감' 을 의미하는 활강(滑降)에서 온 단어가 아님에 주의. 이 활강은 스키의 활강 경기 같은 곳에 쓰이는 단어다.
원래 활강포는 대포라는 물건이 탄생하면서부터 등장한다. 초창기의 대포는 발사 시 당장 폭발하지 않는 것부터 해결해야 했으며, 제조공정도 미숙하여 동일한 공정에서 제작되더라도 포탄이 날아가는 탄도와 명중률이 대포마다 제멋대로였다. 물론 강선을 판다는 발상 자체가 나오는 시점도 대포가 개발되자마자 나온 것도 아니었으며,[2] 강선을 포신 내부에 파는 작업도 매우 힘들었고 포탄을 장전하는 방식도 전장식이라 한동안 대포는 활강포일 수밖에 없었다. 물론 이건 총에도 적용돼서 한동안 전장의 주역이 소총이 아닌 머스킷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의 발전은 표준화된 대포의 생산을 가능하게 만들었으며, 강선을 파는 기술도 발전시키게 되었다. 이에 따라 포탄의 형상도 과거의 통솔리드 구형포탄에서 일반적인 포탄의 모습인 원추형 + 원통형으로 바뀜에 따라 기본적으로 포탄의 탄도를 안정시키지 못하는 기존의 활강포는 급속도로 퇴출되었다. 물론 이때 개인화기도 소총으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활강포는 산탄총이나 박격포를 제외한 대부분 무기에 강선을 사용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될 때까지 가치가 없었으며, 1950년대에 전차의 주포 관통력을 향상시키는 실험에서 재발견될 때까지 과거의 유물로 남아있었다.
1950년대까지 전차도 일반 대포처럼 강선이 파인 강선포를 전차포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아래와 같은 문제점에 봉착하게 된다.
과거의 활강포가 대포제작기술의 발전단계에 불과했다면, 현대의 활강포는 당시의 전차들이 고민했던 문제점인 관통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리고 21세기의 기준에서도 전차포 등의 경우에는 레일건의 대체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앞으로도 상당 기간 사용이 지속되며 관련 기술도 계속 연구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활강포라는 형식 자체의 문제점이 엄연히 존재하는 데다가, 강선포도 기술의 발전에 의해 비용을 좀 더 들이면 활강포 못지않은 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특유의 범용성이 남아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활강포는 전차포나 기타 관통력을 크게 요구하는 대포의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기술로 남을 가능성이 더 크다.
전차포 외에 활강식이 살아남은 예로는 박격포와 산탄총이 있다. 박격포는 전장식이라 탄을 포신 내부로 '떨어뜨려' 추진체를 점화하는데 강선을 파게 되면 탄을 집어넣기 힘들어지는 등 여러 가지 애로사항이 생기기 때문이다. 다만 강선이 파인 박격포도 있긴 한데, 거기 들어가는 포탄은 자세제어용 날개가 없다. 산탄총은 애초에 장거리 사격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물건이 아니고 탄자도 총신에 맞물리지 않는 작은 구슬 여러 개를 날리는 식이라 강선을 파 봤자 명중률 향상효과는 커녕, 오히려 줄어들고 제조단가만 비싸진다. 다만 구슬 여러 발이 아니라 큰 납덩이 하나를 날리는 슬러그 탄이라는 게 있는데, 슬러그탄 전용 산탄총은 강선이 파여있는 모델이 많다. 반대로 슬러그탄에 홈을 내서 강선의 효과를 내는 라이플드 슬러그(Rifled Slug)라는 탄종도 있다.
만일 진공상태인 우주에서 사용된다면 활강포의 사용이 거의 일방적으로 유리하다. 애초에 강선의 의의는 탄이 공기의 저항에 의해 뒤집히려는 성질을 억제하기 위해 각운동량을 부여해 팽이마냥 안 쓰러지도록 하는 목적이기 때문에 공기가 없는 우주에선 장점이 되지 못하고, 강선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속으로 적중률도 올라가고 마찬가지 이유로 관통력도 증가, 포신의 내구도와 가격은 활강포가 압도적으로 유리하니 강선포를 쓸 이유가 아예 없는 수준. 하지만 최초로 우주에서 사용된 포는 23mm 강선포였다. 우주 정거장 문서 참조.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에 등장하는 건담인 건담 발바토스의 주포가 “활공포”라 표기되어 활공포가 대체 뭔가 궁금증을 자아냈는데, 활강포의 오기였다고 한다. (프라모델 조립설명서 등에는 현재도 활공포라고 잘못 적혀있다.)
1. 개요
내부에 강선이 없고 매끈한(滑) 포강(腔)[1] 을 가진 포신으로 구성된 대포. 주로 전차의 주포나 소화기로써는 산탄총에 사용된다.
'비탈진 곳을 미끄러져 내려감' 을 의미하는 활강(滑降)에서 온 단어가 아님에 주의. 이 활강은 스키의 활강 경기 같은 곳에 쓰이는 단어다.
2. 역사
2.1. 탄생과 좌절
원래 활강포는 대포라는 물건이 탄생하면서부터 등장한다. 초창기의 대포는 발사 시 당장 폭발하지 않는 것부터 해결해야 했으며, 제조공정도 미숙하여 동일한 공정에서 제작되더라도 포탄이 날아가는 탄도와 명중률이 대포마다 제멋대로였다. 물론 강선을 판다는 발상 자체가 나오는 시점도 대포가 개발되자마자 나온 것도 아니었으며,[2] 강선을 포신 내부에 파는 작업도 매우 힘들었고 포탄을 장전하는 방식도 전장식이라 한동안 대포는 활강포일 수밖에 없었다. 물론 이건 총에도 적용돼서 한동안 전장의 주역이 소총이 아닌 머스킷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의 발전은 표준화된 대포의 생산을 가능하게 만들었으며, 강선을 파는 기술도 발전시키게 되었다. 이에 따라 포탄의 형상도 과거의 통솔리드 구형포탄에서 일반적인 포탄의 모습인 원추형 + 원통형으로 바뀜에 따라 기본적으로 포탄의 탄도를 안정시키지 못하는 기존의 활강포는 급속도로 퇴출되었다. 물론 이때 개인화기도 소총으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활강포는 산탄총이나 박격포를 제외한 대부분 무기에 강선을 사용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될 때까지 가치가 없었으며, 1950년대에 전차의 주포 관통력을 향상시키는 실험에서 재발견될 때까지 과거의 유물로 남아있었다.
2.2. 강선포의 한계와 재발견
1950년대까지 전차도 일반 대포처럼 강선이 파인 강선포를 전차포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아래와 같은 문제점에 봉착하게 된다.
- 신형포탄의 위력을 강선이 잡아먹는 문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전차포가 활강포가 된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다. 원래 1950년대의 철갑탄 중 가장 관통력이 높은 포탄은 APDS(분리철갑탄)이었으나, 17파운더의 경우처럼 근거리까지 접근해서 쏴도 명중률이 별로 좋지 못했다. 이는 포탄이 포구를 떠난 다음에 세이보(SABOT)라는 이탈자가 정확하게 관통자로부터 떨어져나가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었으나, 관통자의 폭보다 길이가 4배 이상일 경우, 강선에 의한 회전으로는 더 이상 탄도를 제대로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전자의 문제점은 포탄의 품질 향상으로 해결되지만 후자는 그 당시 기술로는 해결이 불가능했다. 이건 대전차고폭탄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는데, 당시 가장 관통력이 높다고 평가받는 탄이었으나 이상하게도 바주카 같은 보병용 대전차화기로 쏠 때보다 전차포로 사격할 때 관통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강선에 의한 회전력/원심력이 일점에 집중되어야할 폭발력을 사방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먼로-노이만 효과를 방해하기 때문이었다.
- 강선포의 수명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문제
적의 전차를 잡기 위해 무거운 포탄을 빠른 속도로 발사한 결과, 강선포 자체의 수명이 크게 줄어들며 수명 이내의 강선포라도 내부 강선이 쉽게 파손되므로 명중률이 크게 저하되게 되었다.
- 전차의 포탑에 탑재할 수준의 한계까지 구경이 커진 문제
1950년대에 이미 전차에 탑재되는 강선포의 구경은 120mm ~ 122mm까지 상승한 상태였고, 이 상황에서 관통력을 더 증가시키려면 구경을 더 키워야 하는데 당시의 기술력으로는 제대로 된 장갑을 가진 선회포탑에 탑재할 수 있는 한계점에 봉착한 상태였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T-62부터 활강포가 대량으로 전차에 탑재되기 시작했다. T-62 자체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는 땜빵용 전차였으나 세계 각국에 활강포의 위력을 널리 선전한 관계로 그 이후의 전차들이 125mm나 120mm등 활강포를 도입하게 된 계기를 마련하였다.
3. 평가
과거의 활강포가 대포제작기술의 발전단계에 불과했다면, 현대의 활강포는 당시의 전차들이 고민했던 문제점인 관통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리고 21세기의 기준에서도 전차포 등의 경우에는 레일건의 대체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앞으로도 상당 기간 사용이 지속되며 관련 기술도 계속 연구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활강포라는 형식 자체의 문제점이 엄연히 존재하는 데다가, 강선포도 기술의 발전에 의해 비용을 좀 더 들이면 활강포 못지않은 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특유의 범용성이 남아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활강포는 전차포나 기타 관통력을 크게 요구하는 대포의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기술로 남을 가능성이 더 크다.
전차포 외에 활강식이 살아남은 예로는 박격포와 산탄총이 있다. 박격포는 전장식이라 탄을 포신 내부로 '떨어뜨려' 추진체를 점화하는데 강선을 파게 되면 탄을 집어넣기 힘들어지는 등 여러 가지 애로사항이 생기기 때문이다. 다만 강선이 파인 박격포도 있긴 한데, 거기 들어가는 포탄은 자세제어용 날개가 없다. 산탄총은 애초에 장거리 사격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물건이 아니고 탄자도 총신에 맞물리지 않는 작은 구슬 여러 개를 날리는 식이라 강선을 파 봤자 명중률 향상효과는 커녕, 오히려 줄어들고 제조단가만 비싸진다. 다만 구슬 여러 발이 아니라 큰 납덩이 하나를 날리는 슬러그 탄이라는 게 있는데, 슬러그탄 전용 산탄총은 강선이 파여있는 모델이 많다. 반대로 슬러그탄에 홈을 내서 강선의 효과를 내는 라이플드 슬러그(Rifled Slug)라는 탄종도 있다.
3.1. 장점
- 강선포보다 상대적으로 튼튼하고, 제조하기 쉽다. 당장 강선을 안 파는 것만으로도 제조공정과 생산시간, 생산비용이 줄어들며, 포신 내부에 쓸데없는 상처가 생기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고압력을 장시간 버틸 수 있다.
- 강선으로 인한 문제점이 없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강선포가 관통력에 주는 문제점이 없으므로 분리철갑탄보다 더 가늘고 긴 날개안정분리철갑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대전차고폭탄의 위력도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대보병용 유산탄이나 포발사 미사일 같은 특수탄종을 강선포보다 훨씬 쉽게 사용할수있다.
- 강선 마모에 따른 사격의 변수가 줄어서 명중률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사격통제 시 걱정거리가 하나 줄어든다.[3]
4. 기타
만일 진공상태인 우주에서 사용된다면 활강포의 사용이 거의 일방적으로 유리하다. 애초에 강선의 의의는 탄이 공기의 저항에 의해 뒤집히려는 성질을 억제하기 위해 각운동량을 부여해 팽이마냥 안 쓰러지도록 하는 목적이기 때문에 공기가 없는 우주에선 장점이 되지 못하고, 강선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속으로 적중률도 올라가고 마찬가지 이유로 관통력도 증가, 포신의 내구도와 가격은 활강포가 압도적으로 유리하니 강선포를 쓸 이유가 아예 없는 수준. 하지만 최초로 우주에서 사용된 포는 23mm 강선포였다. 우주 정거장 문서 참조.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에 등장하는 건담인 건담 발바토스의 주포가 “활공포”라 표기되어 활공포가 대체 뭔가 궁금증을 자아냈는데, 활강포의 오기였다고 한다. (프라모델 조립설명서 등에는 현재도 활공포라고 잘못 적혀있다.)
[1] 한자 '腔'은 속이 비어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복강이라든가 구강이라든가..[2] 강선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이 정립된 연도가 1747년이다.[3] 이런 사격통제를 컴퓨터가 해주는 시대임에도 컴퓨터의 계산거리를 하나 줄어주어서 탄도 계산이 더 빨리 된다. 예를 들면 K1 전차 사통장치에는 강선 마모 수준이라는 변수를 하나 더 입력해야 하지만 활강포를 사용하는 K1A1 이후 전차에서는 이 데이터를 입력해줄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