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규영(소설가)

 

1. 개요
2. 공장장
3. 작품 특징
3.1. 비판
4. 작품 목록
4.1. 무협소설
4.2. 판타지 소설
4.3. 그 외


1. 개요


한국의 대중소설 작가. 주로 무협 소설을 집필하지만 간간히 판타지 소설 또한 출간한다.
현재 판타지 소설에 대한 한계를 느낀건지 판타지 소설 집필을 멈추고 현대물을 쓰는데 이게 먹혔다.
나름 세계관도 만들고 현대물 캐릭 설정이 다른작품서 설정으로 드문드문 까메오로 등장한다

2. 공장장


기존에 PC통신(1997년)에서 연재하다가 2004년 9월에 출간된 《표사》를 출간해 데뷔했다. 그 이후로 출간하고 완결한 작품 숫자는 2011년 7월 시점에서 '''14작'''. 권수로 따지면 무려 '''94권'''이 된다. 8년 동안 한달에 한권씩 뽑아냈다는 소리가 된다. 그야말로 양산형이라는 말이 이처럼 잘 들어맞는 예도 없을 것이다. 2012년에는 100권 돌파를 이룰 수 있을 것 같다.
《표사》가 처음 PC통신에서 연재될 당시 파격적인 진행과 무협소설에 어울리지 않는 현대식 위트 등으로 인기를 끌었다. 지금은 먼치킨-착각물의 매너리즘에 빠져있다는 비판과, 기존의 중국풍을 넘은 한국형 무협을 구현했다는 찬사를 동시에 받고 있다.

3. 작품 특징


황규영의 작품들은 '''소설 전체에 개그신이 엄청나게 많고 술술 잘 읽히며 내용 전개가 빠르지만, 복잡한 스토리가 없고 내용 전개가 가벼우며 과도한 먼치킨 주인공이 다 해결해 버린다'''는 특징이 있다.
무협소설에서 주인공이 강해지는 과정이란 자칫 지루해지기 십상이지만 작품의 몰입감을 극대화시키고, 주인공에게 설정을 부여하여 당위성과 향후의 스토리 전개 방향을 알려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하지만 황규영의 작품 속에서는 이 과정이 완전히 배제되어있으며 주인공이 강한 이유는 지극히 간단하게[1] 처리해버린다. 개연성을 포기하고 속도감을 택한 것이다.
글 전반에 걸쳐 등장인물들의 대사 하나하나가 만담이나 시트콤에 가까운 개그로 구성되어 있다. 한 장면에서만 웃음을 자아내는 일발성 장치가 아니라, 소설 전체에서 이러한 개그 분위기를 이어가는데, 심지어 악당들이 음모를 꾸미는 장면에서도 실소를 자아내는 장면을 끊임없이 삽입하고, 덕분에 심각한 분위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같은 특징들 때문에 황규영의 글은 극단적으로 위기감, 긴장감이 모자라다. 이건 말할 것도 없이 치명적인 단점이지만, 동시에 주인공에게 동화된 독자가 안심하고 읽을 수 있는 '''스트레스가 적은 구성'''이기도 하다. 즉 위기를 극복하고 얻어내는 커다란 카타르시스는 결여되어있지만,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스낵 콘텐츠로서 안정적인 재미를 준다. 이러한 경향은 작가의 초기작 잠룡전설 이후로도 거의 동일하게 진행되어, 황규영 작가의 작품이라면 무협이든, 현대판타지든 전부 비슷한 만담 위주로 극이 진행되며 작품이 비슷하다는 느낌을 준다.
이러한 독특한 분위기와 전개 방식은 기존의 진중하고 협을 중시하며 전투를 충실히 묘사하는 '무협'이라는 소재와는 좀 다른 방식의 작풍인데, 그래서인지 황규영 작가는 무협 장르의 중심 설정인 고대 중국의 시대설정 및 배경을 크게 신경쓰지 않고 내용을 전개하는 편이다. 황규영의 작품을 과거작서부터 최신작까지 읽어보면 점차 배경이 한국으로 넘어오고, 무협물보다는 현대 판타지를 쓰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2]

3.1. 비판


매 작품마다 히로인다수 존재하며, 이 소설의 높으신 분들은 정말로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다.''' 아니, 언제나 민폐다. 농담이 아니라, 거의 모든 작품의 높으신 분들이 '''정말 타지 않는 쓰레기'''가 따로 없는 수준. 주인공의 무공이 뭔지도 안 나오는 무협소설인 개천[3]에서는 높으신 분들에 대한 혐오가 더 노골적으로 드러난다. 아예 주인공이 작품 내의 모든 높으신 분들을 혼자서 다 죽여버린다(...) 높으신 분들 뿐만 아니라 그냥 주인공 일행을 제외한 부유층들 대부분이 쓰레기로 묘사된다.
그리고 그 외의 '''모든''' 엑스트라들도 거의 도움이 안 된다. 그야말로 '''허수아비'''. 그래서 악의 조직에 추풍낙엽으로 쓸려가는데, 모든 위기와 고난을 주인공이 거의 단신으로 극복해낸다.
그리고 무협소설을 써도 무공보다는 주인공의 행적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중요등장 인물을 제외하면 무슨 무공을 쓰는지조차 알 수 없다. 아니, 때로는 주인공을 제외한 주연들의 무공도 알 수 없다. 무협소설인데도 불구하고!
말하자면 인물 유형이 극히 한정되어있다. 황규영의 작품 속에 나오는 인물 유형을 거칠게 구분하자면 대개 다음의 네 종류로 갈린다.
  1. 주인공에게 털리는 역할의 찌질이
  2. 악역
  3. 착하지만 무능한 조연
  4. 유능한 주인공
위의 사항에서 자연스럽게 알 수 있듯이, 주인공을 포함해서, 등장인물들에게 포스간지 같은 게 전혀 없다. 전부 멍청하고 어딘가 찌질한 캐릭터들 밖에 없고, 사실 주인공이란 녀석도 포스나 간지를 뿜어내지를 못한다. 툭 까놓고 말해서, 캐릭터들의 언행이라든가, 정신 수준이 거진 초딩 수준이다. 심지어 최종보스조차도 이게 세상을 뒤집어 엎으려는 악당인지 길거리의 양아치 두목인지 헷갈릴 정도다(...). 그리고 묘사가 너무하다고 여겨질 정도로 간결하다. 이건 대부분의 양판소에 해당하는 특징이기는 하나, 조금 심하다 싶을 정도. 작중 인물들의 외모를 알기 어렵다. 거의 모든 캐릭터들이 미남, 미녀, 추남[4], 중년인 같은 수준으로 묘사된다.
최근작 '평행차원에서 온 능력자'의 사례를 볼때 주,조연 전 등장인물이 초딩체를 사용하며 입체적인 인물이 하나도 없다. 정말 양판 및 킬링의 대명사....
하지만 이렇게 특징적인 개그, 학살 소설이 아예 흡입력이 부족한 애매한 소설보다는 낫다.
처음 보면 피식 웃으면서 볼 수 있겠지만 이런 흔하고 멍청한 캐릭터들을 계속 우려먹다보니 결국은 질리는 게 문제. 여담이지만 무협소설에서 무공 명칭을 드물게 알려줘도 전혀 안 멋있다. 등장인물이 포스가 없게 하는 요소 중 하나.
그리고 어쩐지 무협인데 무협 같지가 않다. 상단이라든가, 옷가게라든가, 보석점 같은 가게들이 저잣거리에서 조금만 뒤져보면 찾을 수 있는 것처럼 묘사되는 등. 그리고 무협지에서 주인공들은 왠지 소면, 닭꼬치(...), 국밥(...) 같은 음식을 즐겨 먹는다.
특히 특별 히로인과 연결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작품내의 주인공 능력과 행동을 보면 여자가 안꼬일수 없긴 한데 주인공이 죄다 고자라 결말까지 이어지지 않는게 대부분이다. 확실하게 이어지는 작품은 하나도 없으며 눈치상 이어질 작품이 몇개 있긴하다

4. 작품 목록



4.1. 무협소설


  • 표사 (1-8, 완결)
  • 잠룡전설 (1-10, 완결)
  • 천하제일협객 (1-7, 완결)
  • 금룡진천하 (1-10, 완결)
  • 이것이 나의 복수다. (1-7, 완결)
  • 천년용왕 (1-6, 완결)
  • 참마전기 (1-7, 완결)
  • 천왕 (1-7, 완결)
  • 절대신마 (1-6, 완결)
  • 개천 (1-8, 완결)
  • 의기 (1-6, 완결)
  • 무림개발자 (93화, 완)
  • 사상최강 (네이버 웹소설 연재완결)
  • 패왕께서 지구로 귀환하셨다.

4.2. 판타지 소설


  • 소환전기 (1-6, 완결)
  • 가즈 블러드 (1-5, 완결)
  • 평행차원에서 온 능력자 (카카오페이지 연재완결)
  • 다 잘하는 히어로(연재중)

4.3. 그 외


  • 더 타이거 (단권 완결)
  • 네가 누구를 건드렸는지 아느냐 (단권 완결)
  • 도시의 히어로 (5권 완결)
  • 천둥새 (3권 완결)
  • 차원의 균열 (네이버 웹소설 연재완결)



[1] 예) 영약을 많이 먹어서, 재능이 뛰어나서 등등[2] 잠룡전설이나 천하제일협객 시기에는 사천, 북해나 남만같은 중국식 배경과 당문, 녹림같은 중국식 문파를 썼지만 금룡진천하 이후부터 무황성이나 무천맹, 사혈련같이 정파, 사파라고 구분할 수 있는 정도로만 짓고 지역이름도 개천마을이라고 짓는등 적는 것을 최대한 삼가다가 천년용왕시기부터는 지역이름도 한국식으로 바꿔서 쓰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천년용왕에서는 옥수나 녹사평(녹사), 대흥같이 서울시 내부 지역명에서 따오고 참마전기에서는 의정부(의부), 남양주(남양), 장단, 파주(장파), 경기도(기주), 충청도(청도) 같이 수도권에서 따왔다. 개천에서는 조선8도를 변형시켜서 사용했다. 잠룡전설 시기만 하더라도 별호가 한자로 되어 있었으나, 개천이나 의기에 다다르면 순우리말로 된 별호만을 사용하게 된다.[3] 사실 무협소설이라고 볼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무공이 전혀 안 나온다. 칼질하는 건 나오지만, 무협소설이라기보다는 현실의 높으신 분들을 혐오하고 까는 소설에 더 가까울 듯.[4] 주인공에게 털리는 역할의 찌질이들 중에서 상당수가 추남이다. 이들은 잘 생긴 주인공을 보면서 열폭하는 역할을 주로 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