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남대총 남분 '마랑'명 주칠기 바둑알 통

 

[image]
발굴 직후의 모습.
[image]
복원품의 모습. 사진 출처 : 경향신문 - 황남대총 출토 바둑통에 새겨진 이름 '마랑'···그는 3~4세기 커제?
1. 개요
2. 내용


1. 개요


1973년부터 1975년까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황남대총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명문칠기 바둑알 통 2점. 현재 2점 모두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image]
출토 당시의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황남대총 칠기에 등장하는 마랑(馬朗)은 중국 바둑고수"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바둑알 통 2점으로, 제작 연대는 대략 3세기 후반~4세기 초(서기 200~300년대)로 추정되고 있다.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황남대총에 함께 묻힌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등 7만여점에 이르는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문화재청은 1973년부터 약 2년동안 황남대총 남분과 북분을 발굴 조사하였고, 총 7만여 점의 유물을 발굴하였다. 이 중에는 다양한 형태의 칠기 공예품도 다수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 중 남분의 주곽 수장부에 놓여있던 청동시루에서 확인된 이 2점의 칠기 나무그릇은 당시 신라인들이 바둑을 둔 후 바둑알을 모아 넣어둔 바둑통으로 확인되었다.
[image]
칠기 바닥에 새겨진 '마랑(馬朗)' 글씨의 모습. 사진 출처 : 아시아경제 - 황남대총 칠기에 적힌 '마랑'의 정체…"中 바둑 최고수"
이 칠기 그릇은 1973년 최초 발굴 이후 수십년간 그저 바둑알 통이라고만 알려져 있었으나 2018년에 이은석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해양유물연구과장과 정일 목표대 중국언어와문화학과 교수의 연구 결과 그릇 바닥에 새겨진 마랑이란 인명이 고대 동아시아바둑 성인인 '기성(棋聖)'이라는 칭호를 얻은 인물로 중국 서진(西晉·266∼316) 시기에 활약한 바둑 최고수라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그리고 이 칠기는 마랑이 전성기로 활동하던 서기 290년대에 제작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 밖에 마랑명 칠기의 바로 옆에 크기가 같고 동일한 화염무늬가 있는 또 다른 칠기 그릇 한점이 나왔는데, 비록 '마랑' 글자는 보이지 않았지만 학계에서는 이 칠기가 사실상 '마랑'명 칠기와 셋트로 바둑알을 넣는 통인 것으로 보고 있다.
[image]
용강동 6호분 출토 바둑돌(위), 황남대총 남분 출토 바둑돌(아래).
이 '마랑'명 칠기의 발굴과 동시에 황남대총 남분에서는 바둑돌로 추정되는 자연석도 243점이나 발견되었는데, 이 바둑돌들은 사람이 인공적으로 깎아 만든 흔적이 보이고, 검은색, 흰색, 회색 등으로 분류되며 크기는 직경 1~2㎝, 두께는 0.3~0.7㎝ 내외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바둑돌과는 달리 흰돌과 검은 돌의 차이가 모호했는데, 이에 대해 학계에서는 원래 완전히 검은색으로 색칠한 돌이 함께 있었지만 오랜 세월을 지내는 동안 색이 떨어져 나갔거나, 발굴 당시 유물을 세척하던 과정에서 지워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바둑돌(추정)은 황남대총 남분 뿐 아니라 천마총(350개)과 금관총(약 200개), 용강동 6호분, 쪽샘지구 제44호분 등에서 계속 발굴되고 있으며, 분황사지에서는 전돌로 만든 15×15줄 바둑판이 발견되기도 했다. 이러한 유물들은 고신라와 통일신라 시대를 통틀어 바둑이 매우 성행했음을 알려준다.
지금으로부터 1,700여년 전에 만들어진 바둑알 통 칠기 작품들로, 당시 바둑 문화를 향유하며 이루어진 중국과 신라 양국의 국제 교류 활동 및 고대 칠기공예품 제작술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