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남대총 남분 앵무조개잔

 

[image]
[image]
사진 출처 : 한국경제 - "황남대총 용도불명 장신구 2점 정체는 앵무조개잔"
1. 개요
2. 내용


1. 개요


[image]
복원품의 모습. 사진 출처 : 매일경제
1973년부터 1975년까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한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앵무조개잔 2점. 인도양 열대 해역에서 잡은 앵무조개를 이용해 만든 패각 공예품으로, 현재 2점 모두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금동제 앵무패각배 : 길이 11㎝, 폭 8㎝, 높이 8.5∼9.5㎝, 남은 조개 두께 0.8∼0.9㎜.
황금제 앵무패각배 : 폭 5.2∼5.4㎝.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의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앵무조개잔 2점으로, 제작 연대는 대략 4세기 후반~5세기 초반(서기 300~400년대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황남대총에 함께 묻힌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등 7만여점에 이르는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잔의 재료가 된 앵무조개고생대에 출현해 지금까지 생존한, 과거 멸종암모나이트와 유사한 종이다. 남북위 30도 사이, 동경 90~175도인 따뜻한 바다에 주로 서식하며, 수심이 150m보다 얕은 곳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고, 300~350m인 곳에 주로 산다. 한반도 주변에는 전혀 서식하지 않는 것으로, 연구 결과 인도양의 심해에서 잡아와서 잔으로 만든 것이 확인되었다.
금동제 앵무잔은 동에 수은 아말감 기법으로 도금했고, 금제 앵무잔은 금과 은 합금으로 금 성분이 약 88%에 이르는 황금 공예품이다.
이러한 앵무조개잔은 근대 이전까지 전 세계적으로 매우 희귀하였는데 동아시아의 경우 중국에서 지금까지 총 3점만이 발견되었고, 일본은 아직 발견된 예가 전혀 없다. 김종우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의 연구 결과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금동제 앵무배 표면에서 옻칠 흔적으로 추정되는 갈색 유기물이 확인됐는데, 기존 3점의 중국 앵무배와는 구별되는 한국 문화만의 특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나마 중국 앵무배와 형태 부분에서는 유사한 금동제 앵무배와는 달리, 황금으로 만든 금제 앵무배는 중국과는 그 형태부터가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에 국립중앙박물관은 2019년에 "황남대총 앵무잔이 금동제 테투리와 함께 크기와 형태가 다른 금제 테두리의 두가지로 제작됐고 표면 마감처리를 옻칠 추정 유기물을 사용한 것으로 미뤄 순수 신라산으로 확인되었다"라고 공식 공개하였다.
황남대총 남분에는 이 외에도 60여종의 다양한 패각류 공예품이 발견되었는데, 학계에서는 이들의 용도에 대해 자세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황남대총 야광조개국자, 천마총 야광조개국자, 금관총 이모가이 말띠꾸미개 등과 함께 신라시대 조개공예술과 국제무역 활동에 대해 연구해볼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