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문고
1. 개요
[image]
[1]
GA문고(GA文庫)는 일본의 라이트 노벨 브랜드다. 소프트뱅크의 계열사인 소프트뱅크 크리에이티브가 2006년에 창간했다.
GA문고 대상을 만들어 신인을 발굴하고 있다.
역사가 길지 않은, 마이너한 레이블이다. 처음으로 애니메이션화된 작품도 2007년 신곡주계 폴리포니카가 있지만 그 이후 애니화 등의 미디어믹스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다 2012년 4월, 기어와라! 냐루코 양 애니메이션이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으며[2] , 같은 해 7월, 오다 노부나의 야망이 호평 방영되어서 흑역사로부터 벗어났다.
2013년 petit milady와 콜라보레이션을 했다.
2. GA문고 채널
유튜브와 니코니코동화에 GA문고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프로그램은 '오오츠보 유카의 츠봉쥬르', '오오모리 니치카의 오야스미 머메이드', '간간GA 채널', '잠 깰 때, 포테이토 칩스'가 있다.
잠 깰 때, 포테이토 칩스는 원래 기어와라! 냐루코양의 드라마CD 홍보 라디오가 의외로 반응이 좋자 하비 레코즈에서 따로 편성한 방송인데, 나중에 GA문고가 스폰서하면서 GA문고 채널로 들어왔으나 이후 진행자들 중 하나인 마츠키 미유가 요양을 선언하고 이후 사망함에 따라서 사실상 종료되었고 오오츠보 유카의 츠봉쥬르 역시도 2015년을 마지막으로 종료했지만 2016년과 2017년에 특별판을 내고 있으며 오오모리 니치카 역시도 2016년자로 종료됨에 따라서 사실상 간간 GA 채널이 해당 채널의 거의 유일한 성우 영상 프로그램이 되었다.
'우치다와 사쿠라의 간간GA 채널'은 2014년 4월부터 시작한 방송으로, 일반적인 토크쇼에 GA문고 및 소년 간간. 영 간간, 간간 온라인 등의 작품 홍보를 더한 방송이다. 최초 우치다 마아야와 사쿠라 아야네가 진행을 맡았으나, 2015년 4월부터 확대 리뉴얼되었다. '미나세와 야마시타의 간간GA 채널', '우치다와 사쿠라의 간간GA 채널', '코마츠와 쿠보의 간간GA 채널' 순으로 진행자 6명이 짝을 이뤄 월 1회씩 방송하고 있다. 게스트로서 남자 성우인 마츠오카 요시츠구도 자주 등장하는데, 2015년 8월 방송분에는 직접 우치다 유우마와 함께 진행을 맡았다 . 2016년 3월 방송분에서 퍼스널리티를 더 늘리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기존의 진행자 6명에 더해, 오구라 유이와 히다카 리나, 카야노 아이와 카네모토 히사코, 두 그룹이 추가되고, 이전에 임시로 맡은 적이 있는 마츠오카 요시츠구와 우치다 유우마 그룹이 정식으로 들어오기로 하였다. 이로서 6명의 그룹이 돌아가며 방송을 하게 되어 각각의 그룹이 연 2회씩 맡는 체제로 바뀌었다.
하지만 이러한 비정상적인 체계[3] 는 오래 가지 않아서 결국 2017년 9월 28일 GA간간 채널 갱신분[4] 을 통해서 기존 퍼스널러티들이 2018년 3월부로 모두 졸업하는...것 같았지만 기존 우치다 마아야&사쿠라 아야네, 마츠오카 요시츠구&우치다 유우마 콤비들은 유지한채로 남은 2쌍의 콤비 자리는 혼도 카에데&센본기 사야카, 오자와 아리&미네우치 토모미가 새로 담당하기로 한듯.[5] 아마도 지금 유지 되는 콤비들은 아마도 시청자 수와 인기도가 높아서 그런듯.
2021년부터 개편 맞아서 혼도 카에데&센본기 사야카 제외하고 전부 바뀐다.
진행자로서 위에 언급된 성우 대부분은 GA문고 작품의 드라마CD, 애니메이션에 자주 출연한다.
3. 주요 작품 목록
- 고블린 슬레이어[6]
- 기어와라! 냐루코 양
- 나는 아직 사랑에 빠지지 않았다
- 낙제 기사의 영웅담
- 내 여자친구와 소꿉친구가 완전 수라장
- 농림
-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 라이트노블 즐겁게 쓰는 법
- 마녀의 여행
- 반항기 여동생을 마왕의 힘으로 지배해 봤다.
- 사무라이 가드
- 성검사의 금주영창
- 슬라임을 잡으면서 300년, 모르는 사이에 레벨MAX가 되었습니다
- 신곡주계 폴리포니카 시리즈
- 신곡주계 폴리포니카 마블
- 신곡주계 폴리포니카 블랙
- 신곡주계 폴리포니카 레온 더 리저렉터
- 신곡주계 폴리포니카 블루
- 신곡주계 폴리포니카 크림슨
- 신곡주계 폴리포니카 파레트
- 신곡주계 폴리포니카 화이트
- 실격문장의 최강 현자
- 오다 노부나의 야망
- 오토X마호
- 유령 따윈 보이지 않아!
- 이능배틀은 일상계 속에서
- 예를 들어 라스트 던전 앞 마을의 소년이 초반 마을에서 사는 듯한 이야기
- 용왕이 하는 일!
- 조아헌터
- 중고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 초인 고교생들은 이세계에서도 여유롭게 살아가나 봅니다!
- 춤추는 별이 내리는 레네시클
- 혹은 현재진행형의 흑역사
- WHITE ALBUM2
- 헌드레드
- 이레귤러즈 리벨리온
- 픽션 브레이커즈
- 요괴 노천상 티키타카
- 친구 여동생이 나한테만 짜증나게 군다
4. GA문고 대상
GA문고 대상은 각해 전기/후기 응모 작품 가운데 장려상 입상 작품이 결정되고, 이후 장려상 수상작 가운데 전형을 통해 우수상 및 대상이 선정된다. 다른 라이트 노벨 상이 그렇듯이 대상의 경우는 선정되지 않은 해가 많다.
- 제1회(2009·2010년)
- 전기
- 우수상 - 기어와라! 냐루코 양(아이소라 만타)
- 후기
- 장려상 - 유령 따윈 보이지 않아!(무라사키 유키야)
- 전기
- 제2회(2010·2011년)
- 전기
- 우수상 - 춤추는 별이 내리는 레네시클(유우지 유우지)
- 장려상 - 패미맛!(쿠베 켄지)
- 후기
- 우수상 - 단죄의 익시드(미소라 리쿠)
- 전기
- 제4회(2011·2012년)
- 전기
- 우수상 - 우리 집 더부살이가 세계를 장악하고 있다!(나나죠 츠요시)
- 후기
- 대상 -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오모리 후지노)
- 장려상 - 남자 고등학생의 할렐루야!(이치노세 무츠키)
- 전기
- 제5회(2012·2013년)
- 후기
- 장려상 - 신탁학원의 초월자(슈도 카오루)
- 후기
5. 바깥고리
[1] 고블린 슬레이어가 서적화될때 소식을 들은 사람들이 스레에서 한 말이다.(...)[2] BD/DVD 판매량이 7천 장.[3] 주 1회 방송이라면 이런 체계는 기존 분카방송에서도 레디 고나 Five star같이 하루마다 퍼스널러티들이 돌아가면서 진행하는 게 있어서 이해는 되지만 겨우 달 1회 방송에 다수의 퍼스널러티들을 돌아가면서 사용한다는 것 자체에 대해서 부정적인 평가가 지배적이였고 해당 체계로 전환된 이후로 화제성도 낮아지거나 조회수가 낮아지게 되었다.[4] 원래 퍼스널리티 전원들의 스케쥴이 맞지 않았는 지 마지마 준지가 진행했다.[5] 재미있게도 이 4팀의 페어 전부 아임 엔터프라이즈 소속 성우들이다.[6] AA작품이 서적화된 최초의 경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