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20 BMS

 

'''M120 BMS'''
''M120 Battalion Mortar System''

[image]
'''종류'''
박격포
'''원산지'''
[image] 이스라엘
'''이력'''
'''역사'''
1990년~현재
'''개발'''
솔탐 시스템즈
'''생산'''
솔탐 시스템즈
엘빗 시스템즈
제너럴 다이내믹스
'''운용'''
[image] 미국
[image] 폴란드
[image] 조지아
[image] 볼리비아
[image] 이라크
[image] 이집트
'''기종'''
'''원형'''
K6
'''파생형'''
M120A1
M121
RMS6L
'''제원'''
'''포신'''
175.3 cm
'''중량'''
144.7 kg
'''구경'''
120 mm
'''운용인원'''
5명
'''발사속도'''
분당 4발(지속)
분당 16발(최대)
'''최소사거리'''
200 m
'''최대사거리'''
7,240 m
1. 개요
2. 상세
2.1. 역사
2.2. 특징
3. 종류
3.1. 독립형
3.1.1. M120
3.1.2. M120A1
3.2. 탑재형
4. 출처
5. 둘러보기


1. 개요



M120 BMS(대대 박격포, Battalion Mortar System)는 미 육군미 해병대의 제식 120mm 박격포이다.

2. 상세



2.1. 역사


[image]
1990년 미 육군에서는 약 40년 동안 운용해온 M30을 대체하기 위해 솔탐 시스템즈 사의 사거리 연장형 M-65인 K6을 일반 보병용에는 M120, M1064 전용으로는 M121 제식명으로 채택하고 이후의 M1129에도 자동화 주퇴복좌장치를 적용시킨 RMS6L를 적용시켰다.
2016년에는 엘빗 시스템즈 사의 M150/151 독립형 화력통제장치(MFCS-D)와 경량형 탄도계산컴퓨터(LHMBC) 등이 통합되어 정밀 포격이 가능해진 M120A1을 추가적으로 도입하였으며, 2017년부로 M327 EFSS(미 해병원정군 화력지원용 박격포, Expeditionary Fire Support System)를 포기한 미 해병대에서도 이를 운용하고 있다.

2.2. 특징


[image]
M1100 트레일러
[image]
M326 MSS
[image]
기본적으로 강선이 없는 전형적인 활강형 M298 포신, M190 포다리, M9 포판, M67 조준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140kg이 넘는 무거운 총 중량 때문에 인력 대신 M1100 트레일러 또는 M326 적재장비(MSS)에 실어 차량 뒤에 견인하는 형태로 운반이 이루어진다.
특이하게도 M303 하위구경 호환용 부품(Sub-Caliber insert)을 M298 포신 내에 장착할 경우 81mm 탄약을 발사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또한 약 7,000m의 거리에서 5m의 오차범위를 나타내는 XM395 GPS 유도탄(PGMM) 사용도 가능하다.
[image]
M303 81mm 호환용 부품

3. 종류



3.1. 독립형



3.1.1. M120


[image]
보병 화력지원을 위한 대대급 독립형으로, 제너럴 다이내믹스 사에서 면허 생산을 거친다는 점을 제외하면 K6 제원과 동일하다.

3.1.2. M120A1


[image]

''2020년 1월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 주 르준 기지(Marine Corps Base Camp Lejeune)에서 포격 훈련 중인 제2해병사단''
보병 화력지원을 위한 대대급 독립형으로, 구성 요소는 변함없으나 TALIN 3000 위성항법장치(INS/GPS Navigator)와 통합된 M150/151 MFCS-D(독립형 화력통제장치, MFCS-Dismounted)이 적용되어 이전보다 훨씬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인 투사가 가능해졌다.

3.2. 탑재형



3.2.1. M121


[image]
M1064 자주박격포 탑재형으로, BAD(후폭풍 감쇄기, Blast Attenuation Device)와 길이 조정형 M191 포다리에서 차이를 보인다.

3.2.2. RMS6L


[image]
M1129 자주박격포 탑재형으로, M95/96 MFCS-M(탑재형 화력통제장치, MFCS-Mounted)과 자동화 주퇴복좌장치가 합쳐진 카돔(קשת)을 통해 효율성과 명중률이 모두 향상되었으며, 별도의 포판에 통합된 독립형 XM905로도 운용되고 있다.

4. 출처



4.1. 웹사이트



4.2. PDF



5.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