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Q-170

 



[image]
[image]
1. 개요
2. 사건사고
3. 활약


1. 개요


록히드 마틴스컹크 웍스팀이 개발한 무인기전익기 형태를 하고 있다. 몇가지 알려진 내용(그나마도 추정에 가깝다.) 외에 구체적인 활동이나 사양은 철저하게 비밀에 부쳐져 있다. 스텔스 기능을 갖추고 15km 상공에서 은밀하게 정찰 활동을 한다. 각종 전자전 기능도 갖추고 있으며 특히, 오사마 빈 라덴 사살 작전 때에는 영상을 백악관으로 실시간 중계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2009년 칸다하르 공항에서 처음으로 사진에 포착되어 '칸다하르의 괴수'라는 별명이 붙었다.

2. 사건사고


최소 12대의 센티넬이 수 년 간 CIA의 운용 하에 이란 핵시설의 동태를 감시해온 것으로 추정되는데, 2011년 12월 첫째 주에 센티넬 한 대가 (미군의 주장에 의하면 아프가니스탄 서부에서) 사라지는 일이 벌어졌다. 미국은 무인기에 기계적 결함이 발생했고 CIA의 원격 파일럿이 통제를 상실했다고 주장했다. 해당 센티넬은 이란 동부에 추락한 것이 포착되자 미국은 기밀 유지를 위해 해당 지점을 폭격하거나 특수부대를 침투시켜 잔해를 폭파하는 방안도 검토했다. 하지만 전쟁 위험 때문에 최종 단계에서 포기되었다.
한편 이란은 자국의 전자전부대에 의해 해킹으로 추락시켜 기체를 획득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미군의 스텔스 능력이나 전자전 능력을 감안할 때 신빙성이 낮다고 여겨진다.[1] 12월 9일에는 획득한 기체라고 주장하는 물체의 모습을 국영TV로 내보냈는데, 상태가 매우 깨끗하여 추락한 그 기체인 지 아니면 모형인 지 의견이 갈렸다.[2][3]
국제법상으로는 불법 영공 침범이 되기 때문에 미국의 물밑 반환 압력에 대해 이란은 증거물을 돌려줄 수 없다는 입장. 어쨌든 이후 오바마 대통령이 정식으로 반환을 요청함으로써 그 기체가 미국의 소유라는 것과 현재 이란이 손에 넣었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그러나 강경한 달러제재를 앞두고도 이란은 돌려주지 않을 기세를 보이고 있다. 러시아중국이 물밑에서 이란과 접촉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미국은 이라크에서 완전히 철수한 직후여서, 이란과 또다시 전쟁을 벌이는 것은 부담스러운 일이다. 그보다는 이란과 불구대천의 원쑤 사이인 이스라엘이 이란의 핵개발을 저지하기 위해 침공할 가능성이 있지 않겠냐는 관측이 많다.[4]
이란이 무인기를 포획한 방법이라며 추가 주장을 내놓았다. 방해전파로 원격조종을 차단한 다음, 강한 전파로 GPS 좌표를 교란시켜서 이란 땅을 아프가니스탄 공군기지로 착각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란은 이후 RQ-170의 잔해를 역설계, 카피한 자국산 스텔스 무인기를 대량 공개했다.

3. 활약


조지아IL-76 수송기를 '''전자전 재밍'''하여 태국에 불시착시킨 전적도 있다. 불시착한 IL-76을 검문한 결과, 북한에서 출발했음이 확인 되었고, 이란F-14 톰캣 전투기용 '''400km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전달하려 했던것으로 추정된다. # 허나 이 주장은 거짓일 가능성이 있는게, 실제로 R-37라고 사거리가 400km에 가까운 미사일이 존재하나, 이 미사일은 MiG-31에만 사용된다. 북한은 MiG-31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그 반대면 몰라도 북한이 이란에 그런 공대공 미사일을 전해줄 가능성은 별로 없다.
[1] 미국측 발표에 의하면 센티넬은 기지와의 연결이 끊어지면 자동조종모드로 전환하여 적당한 공지를 찾아 자동적으로 착륙하므로 이것을 이란이 손에 넣었을 수 있다고 한다.[2] 오른쪽 날개는 부러져서 테이프로 붙여두고 있었고, 왼쪽 날개도 충격으로 인한 찌그러짐이 발견되었다. 하체도 천으로 둘러 친 것을 봐선, 동체 착륙을 시킨 것 같다.[3] 이란이 무인기의 통제를 획득했을 가능성이 낮다고 보면, 무인기가 미국의 통제를 상실하고 활공하다 불시착해 파손이 경미했을 수도 있다. 또는 보여준 기체는 모형이고 진짜 기체는 비밀장소에 보관하고 있을 수도 있다.[4] 그래서 이란은 러시아에게 S-400을 요구했고, 이스라엘 외무장관은 러시아에 가서 데꿀멍했다. 그리고 미국은 이스라엘의 폭주를 막기위해 스턱스넷을 투입해 이란의 원심분리기 천여개를 박살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