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ampling Paradise
1. 개요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샘플링에 [1]kors k의 대표곡들에 쓰인 샘플링이 많이 들어간 것과, 곡 느낌이 kors k을 연상시켜 Mamonis가 kors k인가 추정되었었는데, 후에 Ryu☆의 3번째 앨범 발매기념 라이브에서 Release the music 다음에 연주되고, OST에서 kors k로 확인사살. [2]
곡 제목답게 이전에 그가 작곡한 곡들에서 쓰여진 샘플링들이 난무한다. 쓰여진 샘플링은 THE DETONATOR, ICARUS, SigSig, Now and Forever, FIRE FIRE, Flash Back 90's, SOLID STATE SQUAD, Bad Maniacs 등. 이 외에도 CS IIDX 14 GOLD의 곡 셀렉트 테마로도 쓰여진 THE GOLD 등 게임 내에서 플레이 할 수 없거나 아예 수록되지 않은 곡들의 샘플링도 들어가 있다.
S2TB Recording 레이블로 발매된 S2TB Files 2 - Activate 에 익스텐드버전이 수록되어 있으며, The.4th.EP에서 Ryu☆가 리믹스를 했는데 Ryu☆의 스타일은 거의 없다시피 할 정도 The Sampling Paradise에서 나오는 샘플링만 이용해서 만들었다.
2. beatmania IIDX
싱글 어나더 영상
더블 어나더 영상
- 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19 Lincle ~
- 차지 노트, 백 스핀 스크래치 채용
- 단위인정 수록
- SPA : 9단 (20 tricoro ~ 24 SINOBUZ)
'''마모니스'''
탐욕을 관장하는 '''아저씨'''.
언제나 힘내며 살고 있다.
※ 이미지에 마우스 커서를 대었을 시 : 탐욕의 아저씨
- 게이지 조건 : 1크레딧을 전부 같은 버전의 곡으로만 선곡하여 EXTRA STAGE까지 플레이할 것. 한 버전에 한 번만 게이지가 올라가며, 반드시 버전별 폴더에서 골라서 플레이해야 한다.
그리고 이 분의 인상적인 외모 때문인지 다른 링클 캐릭터들과는 달리 사운드 볼텍스 부스 어필카드로도 나오고 우리들의 우주전쟁과 개통! 터벅터벅 라인[4] 에서도 출연하고 Pharaoh의 BGA에도 등장하고 24 SINOBUZ에서는 스텝 업 모드의 배경으로도 나타나는 등 얼굴이 꽤 자주 팔리고 있다. 심지어 もっと!モット!ときめき에서는...'''해당 항목을 참고할 것(...).''' 정신적 충격은 책임지지 않는다.
LED에는 <GREED> MAMONIS <AVARTIA>라고 표시된다.[5]
tricoro에서 moon_child, 雪月花의 뒤를 이어 단위인정 9단의 레벨 12 보스가 되었는데 저번 작의 9단이 생각보다 너무 쉬웠는지 이번에는 앞곡부터 레벨 12급의 레벨 11을 얹은데다 이곡 또한 예전의 문차일드 보다도 상당히 까다로운 배치로 이번작의 9단의 난이도를 엄청나게 올려버린 주범이 되었다. 이후 SINOBUZ까지 9단 보스곡의 위치를 충실히 수행하다가, CANNON BALLERS에서는 10단 1스테이지 단골이었던 Scripted Connection⇒ A mix에게 9단 보스곡 자리를 넘겨주었고 결국 Rootage에서는 SAY BAY가 이 자리를 이어받게 된다. 더불어 싱글 9단에서는 가장 많이 실린 곡이기도 하다. 8단 보스곡인 gigadelic과 작곡가가 동일하기도 하다.
싱글 어나더 패턴은 12렙중에선 중하급으로 친다. 손배치와 관련된 테크닉을 시험하는 패턴으로 스크래치 복합배치가 꽤나 많으며 중간중간 트릴, BSS 뒤에 이어지는 16비트 스크래치 등으로 하드클리어는 어느 정도 어려운 편이다. 최후반의 폭타는 AA보다 밀도가 낮지만 스크견제에 주의. 랜덤으로 어느 정도 쉬운 배치를 뽑을 수 있으나 난이도는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대충 AA와 비슷한 시기에 깰 수 있는 곡으로 취급되는 듯.
싱글 하이퍼 패턴은 9레벨에서는 개념 보면으로 손꼽히는 보면. 스크래치면 스크래치 노트 난타면 노트 난타 빠지는 게 없는 재미있고 실력 다지기에 좋은 패턴이다.
더블 어나더 패턴의 경우 초중반은 비교적 무난하나, 후반 BSS 이후로 난이도가 올라가며 최후반 1마디에서 스크래치 견제와 함께 빡빡한 밀도의 폭타가 나오는 까닭에 클리어가 까다롭다. 12레벨 내에서는 중급의 위치에 있으며 더블 비공식 난이도표에서는 12.2를 책정받았다.
2.1. 아티스트 코멘트
3. 리플렉 비트 시리즈
하드 패턴 영상
화이트하드 패턴 영상
Lincle Link 제5탄 대상곡으로 이식되었다.
HARD의 경우 실제 체감 클리어 난이도도 그렇게 높은 편이 아닌데다 탑 오브젝트의 비중이 동레벨 곡 중에선 상당히 낮은 편이기에 처리력에 자신이 있다면 첫플 풀콤보도 노려볼만 할 정도. 하지만 이게 스코어링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제목답게 기본 비트에 샘플링 박자를 끼워 넣었고 기본 비트에서 앞뒤로 박자를 뒤틀어 놓았기 때문에 원곡을 알아도 초견에 파악하는 것은 힘들다. 여기선 이런 박자가 나오겠거니 예상하면 이후 등장하는 낚시 박자에 그렛과 굿 포풍이 나기 십상. 그래서 Lincle Link 5탄 신규 연동곡 중 글라스로 맨 처음에 해금할 수 있는 곡임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박자 캐치의 어려움 때문에 곡의 존재감을 확실히 마크했다. 리플레시아에서는 판정 완화 + 레벨 상승(구 10 상급 ~ 11 중하급 정도가 받던 13으로 배정되었다.)등의 이유로 다소 저평가받는 중.
화이트 하드의 경우 뒤틀린 박자에 海神 느낌이 나는 동시치기까지 들어가 상당히 까다롭다. 배치마저 14레벨에 걸맞게 나오기 때문에 초견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미디엄 패턴은 9렙 상위권으로 고득점 기준으로 만물쾌락이론 미디엄의 재림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난해하며 베이직은 정박 위주의 패턴이지만 회수컷이 악랄하다(2그렛).[6]
4. 사운드 볼텍스
4.1. The Sampling Paradise (N-Driver Style)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kors k 곡 리믹스 컨테스트의 The Sampling Paradise 부문 당선작으로, 리믹서는 Ignited Night 리믹스의 N-Driver[7] .
- SKILL ANALYZER 수록
- EXHAUST : Skill Level 08 A코스(2015.5.29 ~ 2015.8.21)
EXH 패턴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양노브를 돌리는 패턴이 몇차례 걸쳐서 등장하는데 양노브가 따로 놀기때문에 노브를 보는 동체시력이 상당히 중요하다. ><형태의 패턴도 자주 등장하니 여기에서 판단력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주의하자. 난이도는 16 중위권정도로 평가된다.
4.2. The Sampling Paradise (P*Light Remix)
[image]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kors k 곡 리믹스 컨테스트의 The Sampling Paradise 부문 당선작으로, 리믹서는 P*Light. 원곡에 충실하면서도 P*Light의 개성을 잘 드러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 SKILL ANALYZER 수록
- EXHAUST : Skill Level 09(2015.4.1 ~ 2015.5.29)
자켓의 주인공은 원곡의 레이어에 사용되었던 마모니스.
EXH 패턴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EXH 패턴은 노트와 노브 양 면에서 종합적인 처리력이 요구된다. BT와 FX가 섞인 폭타를 기반으로 원핸드 등이 섞여 들어가는 구성. 곡 전반적으로 꾸준히 등장하는 HYENA식 고속 직각 노브 역시 게이지를 깎아먹기 쉬우니 주의가 필요하다. 초반 메인 멜로디에 진입하기 직전, 한 손으로 BT 4개를 모두 커버해야 하는 롱노트 패턴이 등장하기 때문에 손배치에 신경써야 한다. 중반의 노브 발광은 크게 난해한 구조는 아니지만 헷갈리거나 탈선하기 쉽다.
고속을 기반으로 꾸준히 밀어붙이는 패턴이지만 크게 난해하지 않으며, 스코어링은 비교적 쉽고, 익숙해진 이후에는 크게 난점이 되는 부분이 없어 전반적으로는 17레벨 중위권으로 평가받는다. 여담으로 위의 beatmania IIDX에서 단위인정 9단의 보스곡 위치를 점하고 있다는 것을 오마주했는지 스킬 애널라이저 스킬 레벨 9의 마지막 곡으로 수록되기도 했다. 다만 9단 수준에서는 다소 까다로운 곡일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했다. 실제로 차기작에서 10단 곡이 배정받는 17레벨로 배정된 걸 생각하면 오마주를 취한 대신 코스 난이도가 올라가버린 케이스
[1] 실제로는 Turntable Jockey라고 한다[2] kors k는 비트매니아 IIDX 17 이후로는 kors k 명의만 사용하기로 발언했다. kors k 본인은 트위터에서 기획이라면 어쩔 수 없다고 해명했다. 1회성 명의인 셈.[3] 링클에서는 무려 10만 델라. 트리코로에서 8만델라로 할인하다가 이후에는 더 줄었다.[4] 일종의 '''"꽝"'''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들의 우주전쟁에서는 버프에서 꽝이 걸렸을 경우 랭킹의 쿠프로 얼굴이 죄다 마모니스로 변하며, 개통! 터벅터벅 라인에서는 가장 낮은 배율을 가진 리더(+5%)로 나온다.[5] Mamonis 앞/뒤에붙은 문구는 각각 영어/라틴어로 '탐욕'을 뜻한다. 이는 나머지 Linkle Kingdom 곡도 공통적으로 적용돼있다.[6] 이 곡처럼 BLUE 사이드로만 회수가 가능하다는 말이 있었으나 RED사이드로도 회수가 가능하다.[7] 니코동에서는 네지드라이버 (ねじドライバー)로 유명한 영상 제작자. 주로 실주감과 중독성이 있는 음MAD들을 제작하는걸로 정평이 나있었는데, 플로어 컨테스트에 합격한 이후로 DTM에 집중하는중. [8] ユカリ☆chan+博多の男의 합작이다.[9] IIDX에서 9단을 딸 수 없는 SCバイオメトリク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