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영화)
[image]
작가 구속까지 부른 장정일의 문제작 <내게 거짓말을 해봐>를 원작으로 한 1999년[1] 작 영화. 주연은 이상현[2] , 김태연. 영화음악은 달파란이 맡았다.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으로 유명하고 작품마다 논란을 빚어온 장선우 감독의 작품으로 중년의 조각가 J와 여고생 Y[3] 의 외도와 두 사람의 사디즘-마조히즘적인 섹스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다. 무엇보다 중년 기혼남과 여고생이 벌이는 충격적인 정사 장면들[4][5] 이 논란이 되었으며, 이 때문에 노랑머리에 이어 심의보류 판정을 받았다. 아이러니하게도 동시에 베니스 영화제 경쟁 부문에 출품되기도 했다.
성인 영화의 예술과 외설 논란을 불러온 영화이기도 하다. 실제로 등급보류심사에서 등급보류 결정을 두 차례나 받았다가 이 예술과 외설 논란을 겪은 뒤에야 보류 결정이 취소가 되어 상영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미 그 사이에 복제 비디오, CD에 시중에 풀렸다 카더라. 아무래도 세기말에 일어난 표현의 자유에 대한 논란 때문인지 영화 '거짓말' 이후의 영화들은 음란·저속한 성적 표현의 수위가 종전에 비해 좀 더 과감해졌다. 다만 반대로 노출은 약해졌다. 더 나아가 유엔인권위원회로부터 '아동 포르노물'로 규정되어 상영중지 권고까지 받은 영화였다. 그래도 서울관객 기준 31만명을 기록하여 흥행에 성공했고 장선우는 아무리 망해도 평균 이상의 흥행실적을 올리는 감독으로써의 명성을 이어나갔다. 바로 ''' 다음 작품'''으로 영화계에서 사실상 은퇴하다시피 했지만 말이다.
영화 내용은 없다. 네오 리얼리즘 영화 마냥 조명도 없다. 완전 캠코더로 찍은 듯하다. 그리고 배우들의 발연기와 원작소설에 있던 심리묘사나 사회비판적 요소들이 대부분 생략되었고, 픽션과 현실을 뒤섞는 등 내용이 너무 난해하다.
엔딩 크레딧에 이박사의 뽕짝이 BGM으로 흐르는게 묘하게 개그포인트.
논란의 중심에 섰던 영화라서, 개봉 당시에 므흣한 것을 바라고 관람한 커플들은 국어책 읽는 듯한 연기와 벗는가 싶더니 회초리를 드는 이뭐병스러운 장면에 실소를 금치 못했다고. 그래도 한국영화에서 펨돔이 등장하는 대표적인 SM씬이다. 그런데 정작 맞는 사람보고 움직이지도 말고 소리도 내지 말라고 윽박지르는게 순전히 학교나 군대의 빳다 체벌장면만 연상시켜놔서 상대의 자연스러운 반응을 통한 서로간의 교감을 중시하는 BDSM의 분위기와는 한참 떨어지는 면이 있다.
달파란이 음악 담당이라 그런지 OST는 상당히 수작이다. 굉장히 환각적이고 중독적인 분위기를 풍기는데, 특히 이박사가 참여한 3곡은 중독성이 엄청나다.
당시에는 얼마나 야하길래? 라는 제목으로 뉴스에도 떴을 만큼 엄청난 수위로 화제가 되었지만, 각종 해외 성인영화와 야동에 익숙한 21세기를 살아가는 세대에게 있어서는 "뭐야 겨우 이 정도로?" 소리가 절로 나온다. 바꿔 말하자면 1990년대의 한국이 그만큼 엄청나게 성에 엄격했다는 소리이기도 하며[6] , 막 초고속 인터넷이 개통되었을때니까 이 정도 수위의 영화가 양지로 나온것으로도 엄청난 화제가 된 것이라는 얘기이다. 문제는 최근 나오는 뉴스에 화제가 뜨는 영화들의 수위가 더욱 낮게 나온다. 성에 개방된 현실과는 반대로 영화에서의 성은 더욱 엄격해진 꼴.
작가 구속까지 부른 장정일의 문제작 <내게 거짓말을 해봐>를 원작으로 한 1999년[1] 작 영화. 주연은 이상현[2] , 김태연. 영화음악은 달파란이 맡았다.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으로 유명하고 작품마다 논란을 빚어온 장선우 감독의 작품으로 중년의 조각가 J와 여고생 Y[3] 의 외도와 두 사람의 사디즘-마조히즘적인 섹스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다. 무엇보다 중년 기혼남과 여고생이 벌이는 충격적인 정사 장면들[4][5] 이 논란이 되었으며, 이 때문에 노랑머리에 이어 심의보류 판정을 받았다. 아이러니하게도 동시에 베니스 영화제 경쟁 부문에 출품되기도 했다.
성인 영화의 예술과 외설 논란을 불러온 영화이기도 하다. 실제로 등급보류심사에서 등급보류 결정을 두 차례나 받았다가 이 예술과 외설 논란을 겪은 뒤에야 보류 결정이 취소가 되어 상영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미 그 사이에 복제 비디오, CD에 시중에 풀렸다 카더라. 아무래도 세기말에 일어난 표현의 자유에 대한 논란 때문인지 영화 '거짓말' 이후의 영화들은 음란·저속한 성적 표현의 수위가 종전에 비해 좀 더 과감해졌다. 다만 반대로 노출은 약해졌다. 더 나아가 유엔인권위원회로부터 '아동 포르노물'로 규정되어 상영중지 권고까지 받은 영화였다. 그래도 서울관객 기준 31만명을 기록하여 흥행에 성공했고 장선우는 아무리 망해도 평균 이상의 흥행실적을 올리는 감독으로써의 명성을 이어나갔다. 바로 ''' 다음 작품'''으로 영화계에서 사실상 은퇴하다시피 했지만 말이다.
영화 내용은 없다. 네오 리얼리즘 영화 마냥 조명도 없다. 완전 캠코더로 찍은 듯하다. 그리고 배우들의 발연기와 원작소설에 있던 심리묘사나 사회비판적 요소들이 대부분 생략되었고, 픽션과 현실을 뒤섞는 등 내용이 너무 난해하다.
엔딩 크레딧에 이박사의 뽕짝이 BGM으로 흐르는게 묘하게 개그포인트.
논란의 중심에 섰던 영화라서, 개봉 당시에 므흣한 것을 바라고 관람한 커플들은 국어책 읽는 듯한 연기와 벗는가 싶더니 회초리를 드는 이뭐병스러운 장면에 실소를 금치 못했다고. 그래도 한국영화에서 펨돔이 등장하는 대표적인 SM씬이다. 그런데 정작 맞는 사람보고 움직이지도 말고 소리도 내지 말라고 윽박지르는게 순전히 학교나 군대의 빳다 체벌장면만 연상시켜놔서 상대의 자연스러운 반응을 통한 서로간의 교감을 중시하는 BDSM의 분위기와는 한참 떨어지는 면이 있다.
달파란이 음악 담당이라 그런지 OST는 상당히 수작이다. 굉장히 환각적이고 중독적인 분위기를 풍기는데, 특히 이박사가 참여한 3곡은 중독성이 엄청나다.
당시에는 얼마나 야하길래? 라는 제목으로 뉴스에도 떴을 만큼 엄청난 수위로 화제가 되었지만, 각종 해외 성인영화와 야동에 익숙한 21세기를 살아가는 세대에게 있어서는 "뭐야 겨우 이 정도로?" 소리가 절로 나온다. 바꿔 말하자면 1990년대의 한국이 그만큼 엄청나게 성에 엄격했다는 소리이기도 하며[6] , 막 초고속 인터넷이 개통되었을때니까 이 정도 수위의 영화가 양지로 나온것으로도 엄청난 화제가 된 것이라는 얘기이다. 문제는 최근 나오는 뉴스에 화제가 뜨는 영화들의 수위가 더욱 낮게 나온다. 성에 개방된 현실과는 반대로 영화에서의 성은 더욱 엄격해진 꼴.
[1] 촬영은 이상현의 촬영일기에 의하면 1998년 8월 15일~12월 26일[2] 배우가 아니라 조각가이자 사진작가이다.[3] 중간에 머리를 자른다.[4] 음모도 나온다. 나탈리와 박쥐의 조상급 영화다. 사실 거짓말 이전에 나온 영화인 꽃잎에서 이정현의 음모가 나오긴 했다.[5] 또한 남성 주연 배우인 이상현의 성기의 윤곽도 나온다.[6] 물론 그때도 청소년 문제 가운데 음란비디오의 확산이 문제점으로 언급되거나 PC 통신을 통해 음란소설들이 유포되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볼 사람은 다 보기는 했다는 것을 알수있다. 단지 접근성이 떨어졌을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