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5일
1. 개요
1년의 227번째(윤년의 경우 228번째) 날에 해당한다.
2. 사건
2.1. 실제
- 1261년 - 미하일 8세가 콘스탄티노폴리스 환도식을 거행하고 이로써 팔레올로고스 왕조가 세워졌다.
- 1886년 - 나가사키 청국수병 폭동사건 발생.
- 1945년 - 일본 제국이 연합국에 패배해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되었다.[1] 이와 함께 조선이 광복을 맞이했으며 이에 따라 만주국도 해산되고 만주국 황제였던 선통제도 쫓겨다니는 신세가 되었다.
- 1946년 - 한국의 광복절 기념행사가 이 해부터 시작됐다.
- 1947년 - 인도가 영국에서 독립했다.[2]
- 1948년 -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 1971년 - 리처드 닉슨이 금태환 정지를 선언하면서 브레튼우즈 체제가 사실상 종결되었다.
- 1974년
- 문세광의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으로 육영수 여사가 사망했다.
- 서울 지하철 1호선[3] 및 수도권 전철이 개통되었다.
- 관광호가 새마을호로 개칭되었다.
- 1990년 - 빅토르 최가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1995년 - 조선총독부 청사가 철거되었다.
- 2015년 - 북한이 북한 표준시(평양시간)를 30분 늦추는 식으로 조정했다.
- 2017년 -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가 정식 발매되었다.
- 2019년 - 크로사가 규슈 동부로 가면서 한국과 일본이 태풍 크로사의 영향을 받았다.
- 2020년 - 2020년 8.15 광복절 문재인 정부 규탄 집회가 코로나 19로 나라가 혼란한 와중 열리며 감염 우려가 가중되었다.
2.2. 가상
- 4E 201년 - 다크워터 갈림길에 매복하고 있던 툴리우스 장군 휘하 제국군 특공대가 울프릭 스톰클록과 친위대를 생포하는 데 성공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국경을 넘다가 근처에서 붙잡힌 신원불상자가 함께 헬겐으로 압송된다.
- 2038년 - 디트로이트에서 인간에게 위해를 가하는 안드로이드와 교섭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교섭가를 파견한다.
- 연도 불명 - 8월 14일과 함께 카게로우 프로젝트의 미디어 믹스에서 설정된 중심 배경. 또한 한 메두사에 의해 매번 아지랑이 데이즈라는 초자연현상이 폭주하게 되어 사람들을 집어삼키는 날이다.
3. 기념일 및 절기
3.1. 음력
[image]
3.2. 양력
- 제2차 세계 대전 최후의 전역이었던 태평양 전쟁의 종전일이자 대한민국의 광복절, 정식 정부 수립일(남한), 일본의 패전일. 이건 당시 승전국 출신이냐, 패전국 출신이냐, 혹은 식민지였다가 독립한 국가 출신이냐에 따라 복불복이 갈린다. 일본인들은 종전기념일로 부른다. 한편 인도의 독립기념일이기도 하다. 1947년 8월 15일 자정에 공식 권력이 영국에서 인도와 파키스탄으로 넘어갔다. 파키스탄은 전날인 8월 14일을 기념한다. 마찬가지로 바레인(1971)과 콩고 공화국(1960)의 독립일이다. 바레인은 독립기념일은 기념하지 않지만 콩고는 당일을 기념한다.
- 역사적으로 기독교에서는 8월 15일에 성모 마리아의 죽음과 몽소승천을 기념해 왔다. 정교회에서도 8월 15일을 성모안식축일로 정하여 기념하고 있다. 가톨릭에서도 비슷하게 8월 9일로 이날을 관습적으로 기념하고 있었는데, 1950년 8월 15일 교황 비오 12세가 성모승천 교리를 정식으로 믿을 교리로 선포하면서[4] 이 날을 성모 승천 대축일로 옮겨 지정했다. 성모 마리아의 죽음과 승천에 관한 정교회와 가톨릭, 개신교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성모 마리아 문서 참조. 한국 가톨릭에서는 4대 축일 중 하나로 의무 축일.[5] 이 되는 셈이다. 또한 음력 1월 1일과 8월 15일은 각각 설날과 추석이다. 건너뛰면 고해성사를 보아야 한다.[6] 특이하게 콜롬비아는 8월 15일이 월요일이 아닌 경우 그 날 이후 첫 번째 월요일에 옮겨 지낸다. (2017년 8월 21일, 2018년 8월 20일, 2019년 8월 19일, 2020년 8월 17일 등.)
- 물론 '성모승천대축일'은 다른 나라에서도 중요한 축일이었다. 일본에서는 이때 판공성사(고해성사)를 하는 관습이 있다. 여담으로 아소 다로가 "패전 기념일"에 야스쿠니 신사 신사참배를 미뤄온 게 이 대축일 때문.
- 일본의 명절인 오봉이다. 원래는 음력 7월 15일에 쇠었으나, 메이지 시대에 태양력을 적용한 이후로는 대부분 8월 15일에 쇤다. 단, 오키나와 등지는 음력 7월 15일을 고수하고 있다.
4. 축일
- 성모 마리아
- 성 스타니슬라오 코스트카
- 성 아르눌포
- 성 알리피오
- 성 타르시치오
5. 생일
태어난 아기가 이 날 생일이라면 이름을 '광복'이라고 짓기도 한다.
5.1. 실존 인물
- 1195년 -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1231년): 프란치스코회 수도자, 교회학자, 가톨릭 성인
- 1661년 - 숙종(조선)음력(~1720년): 조선의 19대 국왕
- 1688년 -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1740년): 프로이센 왕국의 2번째 국왕
- 1696년 - 영빈 이씨(~1764년): 화평옹주, 사도세자, 화협옹주, 화완옹주의 생모
- 1769년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1821년): 프랑스의 황제
- 1771년 - 월터 스콧(~1832년): 대영제국의 역사소설가
- 1926년 - 박인환(~1956년): 대한민국의 시인
- 1943년 - 지병수: 전국노래자랑 출연자
- 1944년 - 스즈키 레이코: 일본의 성우
- 1945년 - 선우용녀음력
- 1946년
- 1947년 - 김정태(~2014년): 대한민국의 전 국민은행장
- 1950년 - 앤 엘리자베스 앨리스 루이즈 공주: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딸
- 1955년
- 1965년 - 송영재: 한국의 영화배우
- 1967년 - 타치바나 타카시: 일본의 정치인
- 1969년
- 1970년
- 김갑중
- 이종범
- 1971년 - 나루오카 아키히코
- 1972년 - 벤 애플렉: 미국의 배우
- 1973년 - 이시와타리 다이스케
- 1974년
- 1976년 - 오세득: 대한민국의 셰프
- 1980년
- 1981년
- 1983년 - 나카무라 다케야
- 1986년 - 황선희: 한국의 배우
- 1989년
- 1990년 - 제니퍼 로렌스, TIN
- 1993년
- 알렉스 옥슬레이드체임벌린 : 영국의 축구선수
- 나카다 아유
- 이슬찬 - 축구선수
- 1995년
- 1996년
- 1997년 - 김도현: 한국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Pine'
- 2002년 - 나가오 켄토: 일본 아이돌 나니와 단시의 멤버
- 생년 미상 - 배인영
5.2. 가상 인물
- 광휘 - 천지해
- 넥키 바사라 - 마크로스7
- 도봉순, 도봉기 - 힘쎈여자 도봉순
- 레이라 해밀턴 - 카레이도 스타
- 모모치 자부자, 카쿠즈, 오오츠츠키 카구야 - 나루토
- 루리카와 우라라 - 오메가 라비린스 Z
- 미야비 - 섬란 카구라
- 박상준 - 퇴마록
- 시로가네 츠무기 - 단간론파 시리즈
- 시지마 다이치 - 데빌 서바이버 2
- 아자미 - 카게로우 프로젝트
- 우츠시미 케미-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유미즈카 사츠키 - 월희
- 카라스마 타다오미 - 암살교실
- 카부라기 마야 - 보건실의 사신
- 케이트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코나 나코 - 세계정복그녀
- 쿄코쿠 히노와노카미 가오우 -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 쿠가 나츠키 - 마이히메
- 쿠루미자와 사타니키아 맥도웰(사타냐) - 가브릴 드롭아웃
- 타이라 아카네 - 단간론파 어나더
- 하워드 스타크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혼고 타케시 - 가면라이더
-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 노을빛 세계에서 너와 노래를…
- 히나코 - 시스터 프린세스
- 히지리 리리코 - 하미다시 크리에이티브
- B.J. 블라즈코윅즈 - 울펜슈타인 시리즈
- GM - 전자오락수호대
6. 기일
6.1. 실존 인물
- 1728년 - 마랭 마레(1656년~): 프랑스의 비올라 다 감바 연주자, 작곡가
- 1852년 - 요한 가돌린(1760년~): Johan Gadolin, 핀란드의 화학자
- 1969년 - 최용덕(1898년~): 한국의 독립운동가, 2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초대 국방차관
- 1971년 - 폴 루카스(1894년~): 헝가리의 배우
- 1974년
- 육영수(1925년~): 박정희 대통령 영부인,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으로 사망.
- 장봉화(1957년~): 당시 성동여자실업고등학교 2학년생으로, 합창단원이었다.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으로 사망.
- 오토 브라운(1900년~): 독일의 혁명가, 동독의 정치가.
- 1989년 - 이내창(1962년~): 대한민국의 민주화운동가
- 1990년 - 빅토르 최(1962년~): 구 소련의 록 음악 뮤지션
- 2012년 - 해리 해리슨(1925년~): 미국의 SF 소설가
- 2013년 - 백원길(1972년~): 대한민국의 배우
- 2016년
- 2018년 - 사쿠라 모모코(1965년~): 일본의 만화가
6.2. 가상 인물
7. 여담
6.25 전쟁 당시 북한의 김일성은 그해 8월 15일까지 남한을 완전히 점령하여 새로운 광복절, 즉 조국해방일로 선포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1] 구미에서는 2차대전이 종결된 날로 8월 14일을 꼽기도 한다. 일본 항복 시기가 8월 15일 정오인데 이는 JST 기준이므로 미국 시간으로는 8월 14일이었기 때문. 사실 미국은 일본이 항복 문서에 조인한 9월 2일 (일본 시간 기준으로는 9월 3일)을 종전일로 본다.[2] 즉, 인도의 독립기념일도 한국의 광복절과 같은 8월 15일이다.[3] 당시에는 종로선이라고 불렸다.[4] 없던 교리를 갑자기 만들어낸 것이 아니고, 이전부터 믿어오고 있던 교리를 쐐기박는 것이다.[5] 주일은 아니어도 주일처럼 의무적으로 경축하며 지내야 하는 축일. 이런 날은 보편전례력에서 축일인 날도 해당 지역에 한해서 대축일로, 주일과 마찬가지로 의무적으로 미사에 참례해야 하는 날이기도 하다. 아직 조선교구이던 시절부터 이 땅의 주보성인은 나자렛의 성 요셉과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마리아'였다. 그러므로 성 요셉 축일(3월 19일)과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마리아 축일(12월 8일)을 의무 축일로 지내야 한다. 그런데 의무 축일에는 신자들이 성당에 꼭 나와야 하는데, 성 요셉 축일이나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마리아 축일은 우리나라에서 휴일이 아니다. 그러니까 신자들이 미사에 못 나온다. 이 곤란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우리나라의 공휴일이면서도 성모 마리아의 축일인 날을 골라 의무축일로 정했다. 그게 1월 1일(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과 8월 15일. 즉, 독립기념일이 곧 주보성인의 축일. 물론 성모 마리아의 축일은 하루가 아니지만... 이런 의무 축일이 일요일과 겹치면 의무 축일이 상위 축일이므로 의무 축일 미사만 집전한다.[6] 이 축일이 사람 하나를 살리기도 했다. 감곡 매괴 성모순례지 문서 참조.[7] 다른 선택을 하면 살 수 있는 다른 캐릭터들과는 달리 다니엘은 무조건 죽는다.[8] 심지어 그것도 한 번이 아니라 수만 수천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