よ
1. 개요
- 가타카나: ヨ (与의 약자)
- 히라가나: よ (与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요
- 라틴 문자 표기: yo
- IPA: /jo̞/ (유성 경구개 접근음 + 후설 원순 중모음[1] )
- 일본어 통화표: 吉野のヨ (요시노노 요)
- 일본어 모스 부호: --
2. や행 전반에 해당되는 사항
や행의 초성은 유성 경구개 접근음이다. 또한 /j/가 들어간 모음들을 표시하기 위해 い단과 조합할 수 있다. キャ / ジャ 등. 그 외에 ヴ / フ / テ와도 조합해 /vja/, /fya/, /tya/를 낼 수도 있다.
3. お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후설 원순 중모음(/o̞/)으로 ㅗ(/o/)와 비슷하다.
4. 모양
[image]
[image]
줄 여(与)에서 따왔다. 특이하게도 이 글자는 與의 약자인데 與가 예전에는 与로도 쓰였기 때문에 그렇다. 약자로 与를 쓰게 된 건 이전의 용례를 다시 되찾아온 것. 지금도 이 한자는 よ라고 읽는다.
히라가나는 위 상(上)과 닮았다.
가타카나 ヨ는 ㅌ나 E를 뒤집은 것처럼 생겼다. 또, '있음'을 뜻하는 수학 기호∃와 닮아있기도 하다. 디지털화된 숫자 3과 유사하기도. 키릴문자에서 З(ze)를 Ш(sh) 쓰듯이 썼다면 정말 닮았겠지만 다행히(?) 둥글둥글하게 쓸 때가 많다.
5. 쓰임
5.1. 주장을 나타내는 종조사
주로 ね와 함께 일본어에서 자주 쓰이는 종조사로 처음에 배운다. よね로 ね랑 같이 쓸 수도 있다.
한국어의 "요"와 완전히 기능히 다르다. 일본 쪽에서는 자신의 말이 사실임을 강조하거나, 따지는 어조를 만들기 위해서라거나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예를 들면 "~한다고!" "~하다니깐!" 정도. 이렇게 한국어로 마땅한 단어가 없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번역자의 센스가 필요하다. 한국어 존대 어미 '-(어)요'와 음이 같다 보니 무심코 존댓말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면 오역이 된다.
해머(삐리리 불어봐 재규어)의 말버릇이다.
5.2. 기타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일본어 키보드에서 よ는 숫자 9 위치에 배당되어 있어서 이를 이용한 은어도 있다고 한다.
한국 말장난에 왜요는 일본 담요라는 게 있는데, 요(褥)는 한자라서 잘 하면 일본어에서도 요를 요라고 부를 수 있었겠지만(..) 아쉽게도 해당 한자의 일본 발음은 じょく고('굴욕'할 때 욕(辱)도 같은 발음)이고 애초에 일본에선 요도 '까는 이불(敷布団;しきぶとん)'이라고 해서 이 한자를 쓰지 않는다. 노래 요(謡)는 일본에서도 よう라고 좀 길게 비슷하게 읽는다.
고전적 용법으로, 이름이나 호칭 뒤에 붙어 '~여,' '~이시여' 등의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일본 가부키같은 전통 무용극에서 나오는 기묘한 효과음(?)이기도 하다.[2] 일본 전통을 소재로한 음악에서도 샘플링 처럼 많이 쓰인다.
6. 한자
6.1. 음독
ヨ로 읽는 독음은 3종이며 한자 수는 33자이다. ヤ행 중에서는 제일 많다.
輿(가마 여)는 상용한자에 들어가있지 않아, 輿論(여론)이라는 단어는 현재에는 世論으로 바꿔서 쓸 때가 많다.
6.2. 훈독
世夜四代 등이 있다. 世와 代는 지명이나 사람 이름에 꽤 많이 쓰인다. 千代(치요)나 代々木(요요기), 君が代(기미가요) 등. 이 때의 代와 世는 꽤 긴 시간대를 가리킨다는 점에서 비슷한데, 代는 주로 '시대'/'치세', 世는 '세상', '천하' 등 미묘하게 다르다. 아무튼 꽤나 세월의 무상함을 드러내기에 시에서 두루두루 잘 쓰이는 표현. 世는 훈독 よ도 폭넓게 쓰여서 輿論을 世論으로 대체하기도 했다. 輿論에서 輿라는 글자가 상용한자에 없는 글자라서 대체할 표기를 찾던 중 마침 世論이라는 단어가 있어서 輿論을 世論으로 대체하게 된 것. 世の中(よのなか)는 '세상'이란 뜻으로 자주 쓰이는 표현이다.
夜는 주로 よる의 줄임으로 합성어에서 よ가 된다. 夜空(よぞら), 夜中(よなか), 夜目(よめ) 등.
숫자 4는 어째서인지 다른 숫자들은 음으로 읽다가도 4에서만 훈으로 よ라고 읽는 경우가 꽤 있다. さんこ(3개)에서 よんこ(4개)가 된다든지. 아마도 여타 한자문화권처럼 4의 음인 し가 死와 발음이 같다 보니 이를 회피하기 위함인 것으로 보인다.
7. 한글 표기
무난하게 늘 '요'라고 적는다.
[1] 정확히는 ɤ̞와 o̞의 중간이다.[2] 정확히는 '''요→오↗'''[3] 한국 한자음으로 '요'인 것은 모두 장음이다. 대개 아래 ヨウ이며, 凹(오목할 요)만이 オウ이다.[4] 상용한자표 한자 중 한국 한자음으로 '옹'으로 읽는 글자는 이 글자 외에 翁뿐이며 그 글자는 オウ이다.[5] 보통 '유'로 읽는 글자는 일본 한자음으로도 ユ, ユウ 등 ユ 계열이 많다.[6] 상용한자 내에 한국 한자음으로 '옥'인 글자는 獄玉屋沃 네 글자가 있는데 네 개가 모두 일본 한자음이 다르다. 각각 ゴク, ギョク, オク, ヨク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