お
1. 개요
あ행 お단 글자이다.
2. あ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あ행의 글자들은 모음만 있는 글자들답게 글자를 작게 써서 다른 글자와 조합할 수 있다.
3. お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후설 원순 중모음(/o̞/)으로 ㅗ(/o/)와 비슷하다.
[image]
예전에 wo 발음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を 항목도 참조.
4. 발음
위에 말한 대로 ㅗ와 동일하다. 물론 ㅗ는 중고모음이고 オ는 중모음으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5. 모양
[image]
[image]
유래가 된 한자는 각각 다르지만 둘 다 음에서 따왔다. 해당 한자는 지금도 음으로 お를 넣어서 읽는다. 於いて(おいて)라고 써서 '~에 관하여'라는 의미로도 쓸 수 있다.
於의 한국어 발음은 '어'. 한국어에서는 '심지어', '어차피', '어중간' 등 너무 익숙해서 한자어로 느껴지지도 않는 단어들에 심심찮게 쓰이는 편.
가타카나 オ는 한자 才(재주 재)[2] 와 거의 똑같다. 그래서 해당 글자의 유래를 扵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於의 왼쪽 부분인 方의 변형이라고 한다.
한국어 구결에서도 같은 한자를 사용한 적이 있다. 거기서는 '어'로 읽었다.
す나 あ, む랑 헷갈릴 수 있어서 일본 차량 번호판에는 쓰지 않고 대신 を를 쓴다고 한다.
6. 역사적 가나 표기법
は행과 わ행의 순음퇴화로 인해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는 ほ와 を였던 것들이 お로 많이 바뀌었다. (かほ→かお(얼굴), さを→さお(장대))
お단의 장음이 おお와 おう로 두 가지인 것도 순음퇴화의 영향이다. お + お/ほ/を였던 것은 おお로 합쳐졌고, お+ふ는 おう로 합쳐진 것. 하지만 두 표기의 발음은 같다. 이는 현대 가나 표기법이 지향하고자 했던 표음주의에 어긋나는 표기라서 약간 비판이 있었지만 그냥저냥 정착한 모양이다.
7. 한글 표기
무난하게 늘 '오'라고 적는다. 간혹 앞글자 お단의 장음으로 쓰일 때에는 적지 않는다. ex) '''おお'''さか → '''오'''사카
小는 명칭에 쓸 때 お로 읽는 경우(小田原 등)가 있다. 그 반대의 뜻을 가진 大는 おお라고 읽는 경우(상기한 大阪 등)가 있는데, 둘 다 로마자나 한글 표기로는 'O, 오' 한 글자로만 표현해 동음반의어가 된다.[3] 만약 일본어로 표현해야 할 일이 있을 때에는 한글이나 로마자 표기로만으로는 알 수 없는 경우가 있으니 참고해야 할 사항.
8. 한자
8.1. 음독
9. 다른 가나와의 조합
작은 글자로 써서 다음 글자와 조합할 수 있다.
/wo/라는 발음은 한글로 적으면 제일 가까운 글자는 'ㅝ'가 되겠지만 'ㅝ'는 /wʌ/라서 완전히 같지는 않다.
일본에서 /wo/ 발음을 냈던 を가 완전히 퇴화한 걸 보면 일본인에게 여전히 어려운 발음이긴 해서 여기 글자들은 이따금 /wo/로 읽지 않고 두 음절로 끊어서 '우오'라고 읽기도 한다. 그렇게 해서 '우오'라고 읽는 게 정착되면 아예 ォ를 크게 쓰기도 한다. ツォ와 フォ는 그래도 조금 더 많이 쓰이는 듯하다.
[1] 후설 원순 중모음 + 평순화 [2] 한국과 일본에서는 삐침 획을 가로 획과 세로 획의 교차점의 약간 오른쪽 아래 지점에서 왼쪽으로 긋는다. 반면 중국에서는 삐침 획을 가로 획과 세로 획의 교차점에서 왼쪽으로 긋는다.[3] 장음은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ō'로 매크론을 쓰는 게 원칙이나 'oo'로 두 번 적거나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4] 한음은 コウ이다. 皇를 オウ로 읽는 예는 法皇(ほうおう)가 있다.[5] 烏侯切로 한국 한자음도 '우'가 규칙이나 속음으로 '구'가 되었다.[6] 한국 한자음 '을'이나 일본 한자음 オツ나 대응되는 한자가 오로지 '乙' 뿐이다.[7] 久遠(くおん)에서만. 그 외엔 エ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