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衣'''옷 의
'''부수
나머지 획수'''

衣, 0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ころも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획순
1. 개요
2. 상세
3. 자형
5. 용례
6. 유의자
7. 衣가 들어가는 한자

[clearfix]

1. 개요


'''옷 의(衣).''' , 의복, 입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선 U+8863, 한자검정시험에선 6급에 배정되어있다.
옷을 입고 깃을 여맨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옛날엔 상반신에 입는 옷을 衣(옷 의), 하반신에 입는 옷을 裳(치마 상)으로 하여 합쳐서 衣裳(의상)이라 하였다.
훈이 '옷'인건 중세 국어 때도 같았는데, 이때는 종성 ㅅ의 음이 좀 달랐다.[1]

3. 자형


[image]
[image]
[image]
[image]
갑골문
금문
대전체
소전체

4. 부수



주로 의복과 관련이 깊다.
부수로 쓰일 땐 3가지 방법으로 쓰여진다.
  1. 衤으로 변에 쓰이는 경우
  2. 衣자체가 한자와 결합되는 경우
  3. 衣의 亠부분과 아랫부분이 나누어진 뒤 과 비슷하게[2] 그 사이에 한자가 들어가는 경우
1번과 같이 衤의 형태로 변해서 쓰이는 대표적인 한자로는 複(겹칠 복), 褐(갈색 갈), 裸(벗을 라), 被(입을 피) 등이 있고,
2번과 같이 衣의 형태가 온전히 쓰이는 대표적인 한자로는 裳(치마 상), 裂(찢을 렬), 裝(꾸밀 장), 製(지을 제) 등이 있고,
3번과 같이 衣가 위아래로 나누어져 쓰이는 대표적인 한자로는 衰(쇠할 쇠), 衷(속마음 충), 襄(도울 양) 등이 있다.
이 때, '속 리' 자는 1번과 같이 衤로도(裡) 쓰이고 3번과 같이 나뉘어진 衣자로도(裏) 쓰인다.[3]

5. 용례



5.1. 단어



5.2. 고사성어



5.3. 인명/지명/창작물



6. 유의자



7. 衣가 들어가는 한자


衣(옷 의) 가운데에 다양한 모양이 들어가 여러 한자가 나온다.
  • (속 리)
  • (성씨 배)
  • (더러울 설)
  • (쇠할 쇠)
  • (도울 양)
  • (슬플 애)
  • (속마음 충)
  • (기릴 포)

[1] 현재는 종성 ㅅ을 ㄷ으로 치환해서 발음하지만, 당시에는 종성에서도 초성 ㅅ처럼 발음했으며, 時와 함께 ㅅ의 음을 알려준다.[2] 다만, 行이 좌우로 나뉘어져서 그 사이에 한자가 들어가는 것이라면, 이쪽은 상하로 나뉘어져서 그 사이에 한자가 들어간다는 차이가 있다.[3] 물론 둘다 구조는 衣 + (마을 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