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역사
1. 약사(略史)
이회영, 이동녕 등이 건립한 '''신흥무관학교'''의 후신[1] 으로 광복 이후인 1949년에 이시영에 의해 신흥초급대학으로 설립,[2] 1951년 5월 18일에 조영식 박사가 인수하고,[3] 1955년 3월 초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1960년에 경희궁에서 이름을 따와 경희대학교로 개칭했다. [4] [5] [6]
1965년에 동양의과대학을 인수합병하여 의과대학, 약학대학을 신설하였고,[7] 1967년과 1975년에는 고황재단 측에서 각각 전문학교인 경희간호학교와 경희호텔경영전문학교를 설립했으며, 2000년을 전후로 모두 경희대학교의 내부 단과대학으로 인수되어 현재에는 각각 간호과학대학, 호텔관광대학으로 그 명맥을 잇고 있다. 각각의 세부 연혁에 대해서는 해당 링크 참조
1979년에는 용인에 분교인 수원캠퍼스를 설립했으며, 2007년 7월 30일에 국제 캠퍼스로 개명했다. 2012년 국제캠퍼스를 통합하였다.
2009년 개교 60주년을 맞았다. 이와 함께 대외적으로 쓰이는 대학휘장이 변경되었다.기존 교표도 계속 사용하고는 있지만 점점 새 휘장을 사용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2. 신흥무관학교
신흥무관학교는 1911년 이회영 일가 등이 가산을 모두 정리하고 만주 서간도로 이주하여 설립한 '''대표적인 국외 독립군 양성 학교'''이었다.
당시 중화민국 길림성 에 교사(校舍)를 두었고, 1911년에 신흥강습소라는 이름으로 정식 개교한 후 1919년 우리가 익히 아는 이름인 '''신흥무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이후 무수히 많은 독립군들을 배출하였으며, 일제의 만주 침공 등으로 1920년엔 강제 폐교되는 수난을 겪었지만 졸업생들은 김좌진 장군의 북로군정서나 홍범도 장군의 대한의용군 등에 참여하여 만주지역에서의 독립운동을 이어나갔다.
문서가 있는 신흥무관학교의 유명 졸업생으로는 외교관이자 영문학자인 변영태 선생('''신흥 1기'''[8] , 1912년 졸업)이 있다.
해방 후 1947년에 서울시 종로구에 당시 부통령이자 첫 설립자인 이시영이 재개교하여 '''신흥전문학원'''으로 출범하게 되었으며, 1949년에는 대학으로 인가받아 '''신흥초급대학'''으로 출범하게 된다. 그러나 6.25 전쟁의 발발로 부산시로 캠퍼스를 옮겨 피난하게 되었고, 이후 재정난에 휩싸이게 되자 1951년 조영식이 인수하게 된다.
본 단락에서는 1949년 신흥초급대학으로의 가인가 시점 이전의 역사까지 살펴볼 수 있다. 상세 연혁표는 신흥무관학교 연혁 참조.
3. 동양의과대학
현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및 약학대학·의과대학의 전신으로, '''국내 최초·당시 유일의 한의학 강습 기관'''이라는 의의를 가지는 의과대학이었다. 1965년 경희대학교에 인수되었는데, 사실 동양의과대학측이 경희대학교에 맨 처음으로 인수를 요청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 처음에는 고려대학교, 다음에는 동국대학교를 찾아갔으나 양교 모두 거절했다고. 이 학교의 인수로 인해 경희대가 한의학계에 미치는 영향이 어마어마하게 커진 것을 보면 경희사에 기념비적인 일이었다고 볼 수 있다.
4. 연혁표
이하 내용의 출처는 경희대학교 요람 및 연혁이다.
[1] A B 그러나 정작 재단측의 신흥무관학교 계승의식은 모호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개교원년은 성재 이시영 선생이 신흥무관학교를 계승하여 세운 신흥초급대학의 가인가 시점으로 잡고 있으나, 그 이전의 신흥무관학교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으며, 개교기념일은 조영식 박사가 학교를 인수한 1951년 5월 18일을 기점으로 한다. 앞뒤로 어중간한 위치를 개교원년으로 삼고 있어, 부정하지는 않지만 드러내지도 않는 인상을 준다. 이것은 보통의 다른 학교가 뿌리 찾기를 통해 학교 역사를 연장함으로써 전통을 확보하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사상적 배경을 추론해보자면, 항일 무장 투쟁을 위한 독립군 양성학교였던 신흥무관학교의 이념과, 조영식 박사의 창학이념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 볼 수 있겠다. 그가 학교 인수 전에 저술한 《민주주의 자유론》(1948년), 《문화세계의 창조》(1951년)에서 드러나는 사상과, 이후에 주창한 '세계평화론' 등을 토대로 볼 때, 신흥무관학교의 이념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경희대학교는 이러한 이념을 창학 정신으로 하고 있으므로 신흥 무관 학교를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문회 활동은 연결되어있는 부분이 많다. 경희대는 왜 신흥무관학교 흔적과 뿌리를 없앴을까 [2] 2005년 신입생들에게 배부된 학생수첩에는 '신흥무관학교를 기억하자'는 취지의, 현재의 학교에 대해 다소 비판적인 글이 실린적이 있다. 소장하신 위키러라면 업로드를 부탁드린다.[3] 5월 18일을 개교기념일로 하고 있다.[4] 조영식 박사가 서울고에서 교편을 잡고 있을 당시 서울고가 경희궁 내에 위치해 있었고, 동창회 명칭이던 '경희회'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한다.[5] 우리가 흔히 여자 이름으로 쓰는 한자와 동일하다. 때문에 학교 홍보물엔 둘을 엮은 언어유희가 자주 나온다. 최근에는 '경이로운 경희'라는 말장난도 등장했다(...). 그래서 한 배달업체의 "경희야 넌 먹을 때가 제일 예뻐"라는 광고를 경희대에서 보면 기분이 상당히 묘해진다. [6] 고등학생들에겐 '경희랜드'로 대표되는 벚꽃과 캠퍼스로 유명하고 경희라는 명칭 자체는 은근히 네임드인데, 이건 과장 조금 보태서 아파트 단지마다 하나씩 있는 '''경희 한의원'''과 '''경희대 태권도''' 때문. [7] 기존 동양의대에는 의과대학 내부에 한의학과와 관련한 전공 뿐이었다. 합병한 이후 경희대에서 의약학 전체 학부과정으로 확대하기 위해 동 년도에 의과대학 내에 기존 한의학과 외에 의학과, 치의학과를 신설했다.[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등에 이르면 신흥강습소란 명칭으로 '''1911년 첫 설립'''될 시 참여한 학생들 중 한명이었다고 한다.[9] 위키백과에는 경희대학교가 최초로 체육대학을 만들고 태권도를 육성한 것이 신흥무관학교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 서술되어 있다. 이에 대한 근거는 조영식 박사에게 인수되기 전인 신흥초급대학(1949)에 이미 체육학과가 개설되어 있었고 4년제 대학 인가가 난 후 1955년 체육대학으로 설립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다르게 보면 이것은 조영식 박사의 성장 배경과 연관되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그가 일본에서 체육대학에 유학하고 서울고등학교에서 체육교사로 근무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보아 체육학과를 최초의 체육대학 설립으로 이끈 것은 단순히 그의 체육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것이라 해석할 수도 있다.[10] 정문을 지나 직진하면 보이는 탑 '''文化世界의 創造'''라고 쓰여있다.[11] 본관놀이의 시작[12] 헐떡고개를 넘어가면 오른쪽에 위치한 크고 아름다운 탑[13]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 대학원[14] 논스톱 이라는 MBC에서 방영한 청춘 시트콤의 배경이다. 혹여나 이제 좀 있으면 신입생들 나이랑 건물 나이랑 같아져서 논스톱을 아는 신입생이 없을듯...[15] 현재는 학부에서 신입생을 선발한다.[16] 이로 인한 신입생 의무기숙이 도입되었었다가 폐지되었다. 하지만 이때 크게 말이 안나왔던 이유가 정시로 입학한 최초합의 절반의 인원에게 모두 1년장학금에 기숙사비 전액을 지원해줬기 때문이다. 이때 이 장학금에 낚여 서성한 버리고 온 학생들이 많았다.[17] 사실 이미 1년전 국제캠퍼스에 자율전공학부가 동서의과학과와 같이 신설되어 출범하였다. 서울캠의 자율전공학과와의 차이점이라면 입학이 자연계로만 지원이 가능했고 2학년으로 진학시 무조건 다른 전공을 선택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대신 동서의과학과 외에는 인원제한 없이 원하는 전공 모두 가능했다. 동서의과학과도 첫 2년 정도만 수명 정도가 떨어진것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전부 미달이었다. 사실상 원하는 전공에 모두 갈 수 있었던 셈이다.[18] KHU Wi-Fi는 학생들의 경우 본인의 종합정보시스템 비밀번호로 이용 가능하다. Guest Wi-Fi도 있다. 사실 이 이전에도 교내 무선랜망이 존재했다. KT에서 위탁받아 Olleh Wifi로 운영되었는데, KT 휴대폰 사용자는 바로 이용가능, 재학생 및 교내 관계자는 학번과 비밀번호로 로그인 후 이용가능(자동 로그인)했다. 2013년에 자체 Wi-Fi망을 구축한 것. 이후 사용 가능 지역이 건물 밖으로까지 확대되었다.[19] 한 동은 남자, 다른 한 동은 여자기숙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