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지령(유희왕)
유희왕/OCG의 지속 마법 카드.
[image]
일본판 기준 아누비스의 저주, 한글판/영어판 기준 파라오의 사도에서 첫 등장한 지속 마법. 이름 그대로 특정 카드의 사용을 완전히 봉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 효과 특성상 상대 덱이 무엇인지 알았다면 키 카드를 봉쇄하는데 탁월하다. 상대의 덱이 특정 카드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진가를 발휘하는 카드. 예를 들어 백룡 덱과 상대 시 푸른 눈의 백룡을 선언한다거나 블매 덱과 상대 시 블랙 매지션을 선언한다거나 하면 당하는 입장에선 정말 답이 없다.
특히 '''"●필드에 낼 수가 없다"'''라는 텍스트는, 모든 종류의 소환과 필드를 거치는 모든 종류의 발동은 물론 모든 종류의 세트[1] 및 엑시즈 소재로 추가하는 것조차[2] 완전하게 차단하는 매우 강력한 제약이다. 완전히 사망 선고를 내리는 것.
더욱이 선언된 카드는 패에서든, 덱에서든, 묘지에서든, 필드 위에서든 싱크로 / 엑시즈 / 융합 / 링크 소환의 소재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3]
또한, 이 카드는 재정상 특정 타이밍까지 제외되었다가 돌아오는 카드의 하드 카운터이다. 예를 들어 코즈믹이 효과를 발동하여 제외된 상태에서 이 카드로 코즈믹을 선언하면 엔드 페이즈에 코즈믹 블레이저는 필드 위로 돌아오지 않고 묘지로 보내진다. 이는 아공간 물질 전송장치 등 다른 카드도 동일.
과거에는 실전 단계에서 채용하는 일이 거의 없는 카드였지만 패 트랩이 메타의 핵심으로 떠오른 이후 이 카드의 효과가 사실상 제2의 말살의 지명자라는 점을 이용해 채용하는 경우가 늘었다. 다음 턴에 파괴되더라도 일단 그 턴 동안은 선언한 패 트랩으로부터 안전해지기 때문. 그뿐만 아니라 콤보에 의존하는 덱이 늘어나면서 특정 콤보의 핵심 파츠를 선언하는 것으로 그 덱의 핵심 플레이를 아예 틀어 막을 수 있다는 사실도 발굴되며 사이드 덱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카드가 되었다. 먼 옛날에 나온 카드가 메타에 의해 재평가 된 케이스.
단점은 이 카드 자체가 지속 마법이기에 선언한 카드 이외의 카드로 이 카드가 파괴당한다면 별 효과를 얻지 못한다는 것. 아무리 마법 / 함정 견제의 중요도가 낮아졌어도 해피의 깃털과 같은 최소한의 범용 견제 카드는 여전히 투입되는 형편이기에 이 카드가 필드에 오래 남아 있기는 꽤 힘들다. 또한 특정 콤보에 대한 의존성이 낮거나 핵심 카드가 여러 장인 덱들은 한두 종류의 카드만 막아서는 견제는 할 수 있어도 승기를 굳히긴 힘들다는 것도 단점.
또한 "소재를 필요로 하는 특수 소환의 소재"로 사용하는 걸 막지만, 의식 소환 과정에서 릴리스하는 것은 막을 수 없다. 유희왕에서는 '의식 소재'라는 개념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 의식 소환 과정에서 몬스터를 릴리스하는 건 소재로 쓰는 게 아닌 그냥 '릴리스'일 뿐이다.
그리고 텍스트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카드를 발동하기 전부터 이미 필드 위에 존재하는 카드의 경우, 그 카드의 이름을 선언하더라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효과의 발동은 물론 몬스터의 경우 공격 선언 및 표시 형식의 변경도 가능. 물론 그 카드를 추가로 꺼낼 수는 없다.
그 밖에도 지속 마법이기 때문에 발동에 체인되어 파괴되면 아무런 효력도 발휘할 수 없다는 것도 단점. 댄디라이언을 선언한 이 카드의 발동에 체인해서 썬더 브레이크를 발동, 패에서 댄디라이언을 코스트로 버리고 이 카드를 대상 지정했다면, 일련의 체인 처리가 끝난 후에는 이 카드가 필드에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댄디라이언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패 트랩 케어용으로 사용할 때는 말살의 지명자처럼 상대의 패 트랩을 보고 대응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자칫 선언한 패 트랩과 다른 패 트랩에 맞고 콤보가 끊길 가능성도 있다.
2018년 3월 8일, 암흑의 주박의 수록 전에는 '플레이를 할 수 없다'라는 드문 텍스트만 가지고 있어 상당히 많은 재정 변동이나 문의가 따라왔다. 덕분에 사실상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카드중 하나였으나 그 이후가 되면서 많은 변화가 찾아왔다. 재록되면서 "플레이"가 어디까지 포함하는 지 명확하게 되었다. 또한 텍스트가 변경됨에 따라, 이 카드 자체의 룰링도 조금 바뀌었다.
기존에는 없었던 "원래의 카드명" 지정이 추가되면서, 팬텀 오브 카오스 등의 특정 위치 / 특정 상황에서만 카드 이름을 변경하는 카드에는 효력이 미치지 못하게 되었다.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 등, 효과 외 텍스트로 언제나 같은 이름 취급인 카드에 대해선 여전히 유효하다.) 기존에는 A라는 카드를 선언하고 금지령을 발동하면, 팬오카의 효과를 발동하여 A라는 이름을 갖게 할 수는 있었지만, 그 직후부터 플레이할 수 없는 상태로 취급되었는데, 이번 재록 이후로는 A로 선언한 금지령은 A로 베껴진 다른 카드의 플레이는 막을 수 없게 되었다.
재록 이후 "●소재를 필요로 하는 특수 소환의 소재로 할 수 없다."라는 이전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텍스트가 추가되었는데, 융합 몬스터지만 융합 소환이 아닌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의 소환을 막아야 하기 때문. 또한 차원 장벽 같은 카드와 달리 금지령은 이후로도 나올 수 있는 새로운 소환법에도 플레이할 수 없다라는 효과를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 때 가서 에라타 하느니 이러한 텍스트를 신설한 것으로 보인다. 단점 문단에서 서술한 대로 의식 소환은 이에 해당하지 않으니 착각하지 말자.
유사한 효과를 가진 몬스터로 사이킥 블로커가 존재한다.
1. 소개
[image]
일본판 기준 아누비스의 저주, 한글판/영어판 기준 파라오의 사도에서 첫 등장한 지속 마법. 이름 그대로 특정 카드의 사용을 완전히 봉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1.1. 장점
그 효과 특성상 상대 덱이 무엇인지 알았다면 키 카드를 봉쇄하는데 탁월하다. 상대의 덱이 특정 카드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진가를 발휘하는 카드. 예를 들어 백룡 덱과 상대 시 푸른 눈의 백룡을 선언한다거나 블매 덱과 상대 시 블랙 매지션을 선언한다거나 하면 당하는 입장에선 정말 답이 없다.
특히 '''"●필드에 낼 수가 없다"'''라는 텍스트는, 모든 종류의 소환과 필드를 거치는 모든 종류의 발동은 물론 모든 종류의 세트[1] 및 엑시즈 소재로 추가하는 것조차[2] 완전하게 차단하는 매우 강력한 제약이다. 완전히 사망 선고를 내리는 것.
더욱이 선언된 카드는 패에서든, 덱에서든, 묘지에서든, 필드 위에서든 싱크로 / 엑시즈 / 융합 / 링크 소환의 소재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3]
또한, 이 카드는 재정상 특정 타이밍까지 제외되었다가 돌아오는 카드의 하드 카운터이다. 예를 들어 코즈믹이 효과를 발동하여 제외된 상태에서 이 카드로 코즈믹을 선언하면 엔드 페이즈에 코즈믹 블레이저는 필드 위로 돌아오지 않고 묘지로 보내진다. 이는 아공간 물질 전송장치 등 다른 카드도 동일.
과거에는 실전 단계에서 채용하는 일이 거의 없는 카드였지만 패 트랩이 메타의 핵심으로 떠오른 이후 이 카드의 효과가 사실상 제2의 말살의 지명자라는 점을 이용해 채용하는 경우가 늘었다. 다음 턴에 파괴되더라도 일단 그 턴 동안은 선언한 패 트랩으로부터 안전해지기 때문. 그뿐만 아니라 콤보에 의존하는 덱이 늘어나면서 특정 콤보의 핵심 파츠를 선언하는 것으로 그 덱의 핵심 플레이를 아예 틀어 막을 수 있다는 사실도 발굴되며 사이드 덱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카드가 되었다. 먼 옛날에 나온 카드가 메타에 의해 재평가 된 케이스.
1.2. 단점
단점은 이 카드 자체가 지속 마법이기에 선언한 카드 이외의 카드로 이 카드가 파괴당한다면 별 효과를 얻지 못한다는 것. 아무리 마법 / 함정 견제의 중요도가 낮아졌어도 해피의 깃털과 같은 최소한의 범용 견제 카드는 여전히 투입되는 형편이기에 이 카드가 필드에 오래 남아 있기는 꽤 힘들다. 또한 특정 콤보에 대한 의존성이 낮거나 핵심 카드가 여러 장인 덱들은 한두 종류의 카드만 막아서는 견제는 할 수 있어도 승기를 굳히긴 힘들다는 것도 단점.
또한 "소재를 필요로 하는 특수 소환의 소재"로 사용하는 걸 막지만, 의식 소환 과정에서 릴리스하는 것은 막을 수 없다. 유희왕에서는 '의식 소재'라는 개념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 의식 소환 과정에서 몬스터를 릴리스하는 건 소재로 쓰는 게 아닌 그냥 '릴리스'일 뿐이다.
그리고 텍스트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카드를 발동하기 전부터 이미 필드 위에 존재하는 카드의 경우, 그 카드의 이름을 선언하더라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효과의 발동은 물론 몬스터의 경우 공격 선언 및 표시 형식의 변경도 가능. 물론 그 카드를 추가로 꺼낼 수는 없다.
그 밖에도 지속 마법이기 때문에 발동에 체인되어 파괴되면 아무런 효력도 발휘할 수 없다는 것도 단점. 댄디라이언을 선언한 이 카드의 발동에 체인해서 썬더 브레이크를 발동, 패에서 댄디라이언을 코스트로 버리고 이 카드를 대상 지정했다면, 일련의 체인 처리가 끝난 후에는 이 카드가 필드에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댄디라이언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패 트랩 케어용으로 사용할 때는 말살의 지명자처럼 상대의 패 트랩을 보고 대응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자칫 선언한 패 트랩과 다른 패 트랩에 맞고 콤보가 끊길 가능성도 있다.
2. 기타
2018년 3월 8일, 암흑의 주박의 수록 전에는 '플레이를 할 수 없다'라는 드문 텍스트만 가지고 있어 상당히 많은 재정 변동이나 문의가 따라왔다. 덕분에 사실상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카드중 하나였으나 그 이후가 되면서 많은 변화가 찾아왔다. 재록되면서 "플레이"가 어디까지 포함하는 지 명확하게 되었다. 또한 텍스트가 변경됨에 따라, 이 카드 자체의 룰링도 조금 바뀌었다.
기존에는 없었던 "원래의 카드명" 지정이 추가되면서, 팬텀 오브 카오스 등의 특정 위치 / 특정 상황에서만 카드 이름을 변경하는 카드에는 효력이 미치지 못하게 되었다.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 등, 효과 외 텍스트로 언제나 같은 이름 취급인 카드에 대해선 여전히 유효하다.) 기존에는 A라는 카드를 선언하고 금지령을 발동하면, 팬오카의 효과를 발동하여 A라는 이름을 갖게 할 수는 있었지만, 그 직후부터 플레이할 수 없는 상태로 취급되었는데, 이번 재록 이후로는 A로 선언한 금지령은 A로 베껴진 다른 카드의 플레이는 막을 수 없게 되었다.
재록 이후 "●소재를 필요로 하는 특수 소환의 소재로 할 수 없다."라는 이전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텍스트가 추가되었는데, 융합 몬스터지만 융합 소환이 아닌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의 소환을 막아야 하기 때문. 또한 차원 장벽 같은 카드와 달리 금지령은 이후로도 나올 수 있는 새로운 소환법에도 플레이할 수 없다라는 효과를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 때 가서 에라타 하느니 이러한 텍스트를 신설한 것으로 보인다. 단점 문단에서 서술한 대로 의식 소환은 이에 해당하지 않으니 착각하지 말자.
유사한 효과를 가진 몬스터로 사이킥 블로커가 존재한다.
[1] 통상 소환권을 소비하는 몬스터의 세트와 몬스터를 뒷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는 것, 패에서 마법 / 함정 카드의 세트하는 것과 RR-와이즈 스트릭스처럼 효과를 통하여 세트하는 것까지 포함한다.[2] No.101 사일런트 아너즈 아크 나이트 같은 효과가 아닌 헤이즈필라, 십이수의 방합 등의 효과로 필드 이외의 장소에 있는 카드를 필드 위의 엑시즈 소재로 추가하는 효과를 말한다. 이유는 엑시즈 소재 또한 카드가 아닐 뿐 엄연히 필드 위에 존재하기 때문. 다만 크로노다이버 리단처럼 필드 밖의 카드를 무슨 카드인지 확인하지 않고 소재로 추가하는 경우는 막히지 않는다.[3] 단, 미래융합-퓨처 퓨전의 경우는 예외. 이는 퓨처 퓨전의 효과로 융합 소재를 묘지로 보내도 해당 융합 몬스터의 소환이 이루어지기 전까진 그 소재들을 소재로 취급하지 않기 때문이다. 의식 소환 또한 막을 수 없는데, 이는 단점 문단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