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장
1. 개요
技能長 / Master Craftsman
국가기술자격의 최상위 등급 중 하나. 기능계 자격의 끝판왕.
총 27종류(산업인력공단 26, 방송통신전파진흥원 1)의 자격이 있으며, 연 1~2회 실시한다.
[image]
가스, 전기, 용접처럼 기능장과 기술사가 같이 있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기술사가 일단은 더 상위 등급이다. 예를들어 학점은행제나 가산점 부여 기준 등에서 여전히 기술사를 기능장보다 더 높게 쳐준다. 다만, 기능계의 실무특화 요건상, 둘 다 별개로 가지면 더 좋아한다. 예를들어 전기 기능사의 경우, 직접 배선을 다루는 등 실무를 더 빡세게 보기 때문에 현장에서 전기기사보다도 더 선호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기능사출신의 현장근로자들은 기능장을 기사보다 더 따기 쉽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기사를 비롯한 기술계는 사무특화형으로 최신기술과 같은 이론을 중시하고, 기능계는 현장특화형으로 경험과 같은 실무를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기사의 필기가 기능장보다 어려워도 전혀 이상한게 아니다. 물론 이는 기능계와 기술계가 엄격히 구분됐었던 과거의 유물로, 현재 기술사나 기능장 둘 다 없는 정보처리계 자격증은 기사만 따면 기능사까지 다 커버된다. 즉, 가스를 비롯한 전기나 용접은 원래 구분됐었던 기능계와 기술계를 억지로 통합하면서 어쩌다보니 기술사가 기능장의 상위자격증이 됐다뿐이지, 둘 다 별개로 각각 최상위의 대우를 받는다고 볼 수 있다.
즉, 각 분야의 최고봉이 기술사, 기능장인 셈.
아무튼 응시자격은
- 국가기술자격 산업기사 이상(?)[2]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 5년 경력
-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 7년 경력
- 국가기술자격 미보유자로서 동일직무분야 9년 경력.
- 한국폴리텍대학의 해당 분야 기능장 과정 직업훈련[3] 을 이수한 자[4]
시험은 기능사와 마찬가지로 필기와 실기로 나뉘는데, 필기와 실기 모두 커트라인은 60점이다. 기능사와 같이 필기시험에서 과락이 적용되지 않는다.[7] 실기시험은 기능사처럼 완전한 작업형으로 치르는 경우보다 기능사의 작업형 과 기사의 필답형이 포함된 복합형 실기 시험으로 치뤄지는 경우가 많다.
필기 시험 자체는 크게 어려운 편은 아니다. 과락이 없고 문항수가 적어서 산업기사보다도 쉬운 종목도 있다. 문제는 기능장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실기 시험인데, 동작만 되면 합격인 기능사와 필답형만 잘 보면 합격인 기사 와는 달리 '''동작은 물론 작업상태 가 모두 만족해야하고 필답형 까지 잘봐야 한다.''' [8] ''' 즉, 산업기사/기사에서는 만점인 수준이 기능장에서는 커트라인 수준.''' 기능사 실기와는 다른 게 추가되기도 한다.[9] 당연하겠지만 실기 문제의 난이도는 기능장이라는 것도 명심해야 한다.
'''※기능장 취득시 혜택'''
* 직업능력개발교사 2급 자격(별도 양성교육 이수 시)
* 기능대학 교수
* 동일 분야 기술지도사 1차시험 면제
* 우수기능인 및 명장 가산점
* 학점은행제 30학점 인정
* 중소기업 전문인력 활용 장려금
* 국비해외연수 우대
* 국가기술 자격증 실기 채점위원 채용
* 국가기술 자격증 필기/실기 문제 출제위원 채용
* 공기업 사기업 승진 가산 및 자격증 수당
* 산업현장교수 지원 가능 : 해당분야 15년이상 경력
* 기능대학 교수
* 동일 분야 기술지도사 1차시험 면제
* 우수기능인 및 명장 가산점
* 학점은행제 30학점 인정
* 중소기업 전문인력 활용 장려금
* 국비해외연수 우대
* 국가기술 자격증 실기 채점위원 채용
* 국가기술 자격증 필기/실기 문제 출제위원 채용
* 공기업 사기업 승진 가산 및 자격증 수당
* 산업현장교수 지원 가능 : 해당분야 15년이상 경력
2. 대한민국 기능장 자격증 종류
자세한 종류 및 일정은 해당 항목으로.
표시 없음 - 한국산업인력공단 관리 자격
◆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관리 자격 (1개)
◎ - 「행정안전부 소관 비상대비자원 관리법 시행규칙」에 의한 인력자원 (19~60세 대한민국 국민 남녀 동원훈련 대상) (11개)
2.1. 자격증 목록
- 12. 이용ㆍ숙박ㆍ여행ㆍ오락ㆍ스포츠
- 121. 이용ㆍ미용 - 이용장, 미용장
- 13. 음식 서비스
- 131. 조리 - 조리기능장◎
- 14. 건설
- 141. 건축 - 건축목재시공기능장◎, 건축일반시공기능장◎
- 142. 토목 - 잠수기능장◎[10]
- 145. 건설 배관 - 배관기능장◎
- 16. 기계
- 161. 기계제작 - 기계가공기능장◎
- 162. 기계장비설비ㆍ설치 - 건설기계정비기능장◎
- 163. 철도 - 철도차량정비기능장
- 166. 자동차 - 자동차정비기능장◎
- 167. 금형ㆍ공작기계 - 금형제작기능장
- 17. 재료
- 171. 금속ㆍ재료 - 금속재료기능장, 압연기능장, 제강기능장, 제선기능장
- 172. 판금ㆍ제관ㆍ새시 - 판금제관기능장
- 173. 단조ㆍ주조 - 주조기능장
- 174. 용접 - 용접기능장◎
- 175. 도장ㆍ도금 - 표면처리기능장
- 18. 화학
- 182. 위험물 - 위험물기능장
- 20. 전기ㆍ전자
- 201. 전기 - 전기기능장◎
- 202. 전자 - 전자기기기능장◎
- 21. 정보통신
- 213. 통신 - 통신설비기능장◆
- 22. 식품가공
- 222. 제과ㆍ제빵 - 제과기능장
- 23. 인쇄ㆍ목재ㆍ가구ㆍ공예
- 232. 목재ㆍ가구ㆍ공예 - 귀금속가공기능장
- 25. 안전관리
- 251. 안전관리 - 가스기능장◎
- 26. 환경ㆍ에너지
- 262. 에너지ㆍ기상 - 에너지관리기능장
[1] 1999년 3월 28일부터 기사 2급과 기능사 1급이 산업기사로 통합되었다. 그래서 산업기사가 기능직렬과 기술직렬에 모두 존재한다.[2] 이를테면 기술사(...)나 기사 자격이 있어도 별도로 우대하지 않고 산업기사와 같은 급으로 보아 5년 경력을 추가로 요구한다는 얘기다. 반면, 이보다 높은 자격증인 기술사의 경우 기사 + 4년이다. 기사 자격증 응시 자격에 이미 산업기사 + 1년이 포함되기 때문. 또한 기술사의 경우 기능장 + 몇년의 응시 자격이 따로 없는데, 기능장 응시 자격과 겹치는 부분이 많아서 보통 기능장 자격이 충족되면 자연스럽게 기술사 응시 자격이 주어지기 때문이다.[3] 그렇다. 학위과정이 아니라 직업훈련 과정이다. 이걸 수료한다고 해서 산업학사나 전문학사 학위까지 주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유의할 것.[4] 폴리텍의 기능장 직업훈련은 직종에 따라 1년제 또는 2년제로 편제되어 있다. 입학 대상은 산업기사 취득 후 실무경력 1년 이상, 기능사 취득 후 실무경력 3년 이상인 자이다. 국가기술자격 미보유자의 경우 그냥 똑같이 실무경력 9년 이상.[5] 또는 "기능사 취득 후 1년 경력으로 산업기사 응시, 산업기사 취득 후 1년 경력으로 폴리텍 기능장과정 직업훈련 입학·수료." 좀 거칠지만 이와 같은 방법도 있다. 보통 기능사 도전자들이 6개월 ~ 2년 정도 교육을 받고 시험에 응시한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무자격자가 기능장이 되기까지 운이 좋으면 4 ~ 6년 정도 소요되는 셈이다. 모든 시험을 한 방에 척척 붙어야 한다는 전제가 깔리므로 엄청나게 재수 좋은 사람이어야 비로소 가능한 시나리오겠지만. 물론 이런 식으로 조기졸업이라도 하듯 기능장 타이틀을 단기간에 따내어봤자 경력이 딸리는데 현장에서 얼마나 인정받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그리고 이 과정 인원을 모집할 때 제일 우선으로 보는 것이 경력인지라 폴리텍 내에 인맥이 있거나 하는게 아니라면 현실적으로 20대가 이 방식을 써서 빠른 기능장 취득을 하는 건 굉장히 힘들다. 20대 기능장이 많이 나오지 않고있는 이유이기도하다.[6] 특성화고등학교라면 특기생이 되어 기능대회에 나가 메달을 따면 바로 산업기사에 응시 가능하다.[7] 1999년 국가기술자격 체계 개정 전까지 기능장을 기능사의 최상위 등급으로 취급하여 과락을 적용시키지 않은 게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데, 이 때문에 기능장과 기능사 사이에 산업기사가 끼어 있는 기능직렬 국가기술자격의 경우 기능사 필기에서 과락이 없었다가 산업기사 필기에서 과락이 생겼는데 그보다 더 상위인 기능장 필기에서 과락이 다시 없어지는 괴랄한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8] 복합형이 있는 기사도 있지만 기능장과 비교할 수 없다. 기능장의 작업 형 실기시험은 단 한번의 실수도 용납이 안된다. 즉 감점이 없고 바로 실격이다.[9] 예를 들어 전기기능사는 제어판과 배관작업 정도만 하면 되지만 전기기능장은 제어판과 배관작업은 물론이고 거기에 PLC, PCB 회로가 추가된다. 이외에도 3로 스위치 등 여러 가지가 추가되며 아예 전기기능장 실기를 따로 배워야 치를 수 있다. 조리기능사의 경우 2개의 과제만 작업, 제출하면 되던 시험이 조리기능장에서는 9~10개로 늘어나며, 우육·계육·돈육·명태, 끽해야 복어 정도나 작업대에 올라오던 기능사 때와는 달리, 시험장에 들어갔더니 웬 '''자라 님'''이 작업대에 떡하니 올라앉아 당신과 눈빛 교환을 하고 있는(...) 식으로 개별 과제의 난도 역시 수직상승하게 된다.[10] 2018년 하반기 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