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1898)
* 정치인/목록
[clearfix]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전 정치인이다. 199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1898년 경상북도 경주군(현 경주시) 남도면 수영포(현 경주시 양남면 수렴리)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한문을 수학하였으며, 이후 경주 계남학교[3] 와 대구 계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슈케에(主計)학교를 졸업하고 주오대학 전문부 법과를 다니다가 3학년 때 중퇴하였다.
그는 1919년 3월 11일부터 12일 이틀에 걸쳐 경주군 경주면 노동리(현 경주시 노동동) 교회당에서 목사 박내영과 장로 윤기효(尹琪涍) 등의 주도로 이튿날인 13일 독립만세운동을 일으킬 것을 결의하고 박문홍의 집에서 태극기 300여 개를 만드는 등 준비를 하다가 일본 경찰에 사전 발각되어 실패하였다.
며칠 후 15일 그는 박봉록(朴鳳祿)·서봉룡(徐鳳龍) 등과 함께 경주면 장날에 장터에 모인 다수의 군중을 규합하여 태극기를 앞세우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벌이다가 체포되었다. 그리하여 그 해 4월 15일 대구지방법원 영덕지청[4] 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4개월형을 언도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경주 계남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신간회 경주지부장으로 활동하였다.
8.15 광복 이후 미군정청 경주군 고문을 역임하면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에서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경상북도 경주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일민구락부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안용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자유당 안용대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경주시-월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상무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8년 3월 21일 별세하였으며, 199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전 정치인이다. 199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2. 생애
1898년 경상북도 경주군(현 경주시) 남도면 수영포(현 경주시 양남면 수렴리)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한문을 수학하였으며, 이후 경주 계남학교[3] 와 대구 계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슈케에(主計)학교를 졸업하고 주오대학 전문부 법과를 다니다가 3학년 때 중퇴하였다.
그는 1919년 3월 11일부터 12일 이틀에 걸쳐 경주군 경주면 노동리(현 경주시 노동동) 교회당에서 목사 박내영과 장로 윤기효(尹琪涍) 등의 주도로 이튿날인 13일 독립만세운동을 일으킬 것을 결의하고 박문홍의 집에서 태극기 300여 개를 만드는 등 준비를 하다가 일본 경찰에 사전 발각되어 실패하였다.
며칠 후 15일 그는 박봉록(朴鳳祿)·서봉룡(徐鳳龍) 등과 함께 경주면 장날에 장터에 모인 다수의 군중을 규합하여 태극기를 앞세우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벌이다가 체포되었다. 그리하여 그 해 4월 15일 대구지방법원 영덕지청[4] 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4개월형을 언도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경주 계남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신간회 경주지부장으로 활동하였다.
8.15 광복 이후 미군정청 경주군 고문을 역임하면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에서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경상북도 경주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일민구락부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안용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자유당 안용대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경주시-월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상무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8년 3월 21일 별세하였으며, 199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3. 선거이력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