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 이동설
Continental Drift
[image]
최신버전
360도 영상
독일 기상학자 알프레트 베게너(Alfred Wegener)가 1912년도에 발표한 지질학적 모델이다. 가장 중요한 골자는 대륙이 '표이(drift)'했었다는 것이다.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대륙의 움직임을 주장한 근대적인 첫 번째 모델로 간주되며, '''오늘날 판 구조론 구축의 시작점'''으로 인정받고 있다.
대륙 혹은 최소한 땅덩이가 정적이지 않고 어떤 방식으로 움직여왔을 것이란 생각은 이전부터 있었다. 특히 알프스 산맥에서 발견되는 일련의 스러스트 단층, 즉 네프(nappe) 구조는 지각의 길이가 줄어들어야함을 말해주고 있었다. 또한 이전부터 대서양 양쪽에서 발견되는 고생물 분포와 구조적 성질을 기반으로 육교(land-bridge)와 같은 생각이 존재해 왔다. 실제로 곤드와나 대륙과 같은 명칭은 베게너 이전부터 제시된 것들이다. 이전의 저자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대서양 양쪽의 두 대륙에서 발견되는 공통점을 설명해야 했는데, 대륙 자체가 움직여 대서양이 펼쳐졌다고 결론 짓기보다는, 다른 방식의 설명을 도입하여 해결하려 했었다. 이에는 열팽창, 기조력, 육교 등이 포함된다. 최초로 이를 언급한 인물인 스니데르 펠레그리니라는 지질학자는 대홍수(...)가 흩어지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기상학자이자 천문학자였던 베게너는 1912년 대륙 이동설을 발표하면서 기존에 알려져 있었던 몇 가지 지질학적 사실들을 근거로 들었다. 이 근거들은 대부분 베게너에 의해 새롭게 연구된 것이라기보다는 이곳 저곳에 흩어진 자료를 취합한 것에 가깝다. 가장 대표적인 근거는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인도, 호주, 남극에 이르는 다양한 지역에서 같은 생물[1] 의 화석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또한 같은 퇴적암층(예컨대 빙하퇴적층)이나 지구조가 다른 대륙에서 똑같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애팔래치아 산맥에서 시작하여 스코틀랜드를 지나 노르웨이로 이어지는 고대 산맥도 대륙이동설에서 잘 맞아떨어지는 지구조였다.
그는 이와 같은 근거를 바탕으로 대서양이 없고 대륙들이 한데 몰려 있었던 시절이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 때의 큰 대륙을 판게아(Pangea)라고 명명했다. 그는 대륙들은 규소와 알루미늄이 풍부한 규장질 성분으로 되어 있고, 그 아래, 즉 바다 밑 땅에는 철과 마그네슘 등이 풍부한 고철질 암석들이 분포하여, 대륙은 그 고철질층 위에 얹어져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 규장질 층, 즉 대륙은 고철질 층 위를 표이하게 되는 것이다. 과거 지구에는 큰 대륙이 있었지만, 대륙이 표이하면서 찢어지고 지금에 이르렀다고 생각했다.
그의 이론은 놀랍도록 통찰력 있는 것이었지만, 당시 과학적 관측 기법의 한계 등으로 현대적 관점에서 사실과 차이가 나는 부분도 있다. 우선 대륙이 이동하는 속도가 너무 빨랐다. 그의 생각에 따르면 매년 2.5m를 대륙이 이동해야했다. 이는 후에 실제 관측된 것보다 수십배 빠른 속도였다. 또 하나의 문제는 고철질 위를 미끄러지는 규장질은 무엇이 밀고 있는가이다.[2] 즉, 이 대륙이 움직이기 위한 원동력이 턱없이 부족했다. 지구물리학의 모든 변수를 합해도 터무니없이 많은 에너지가 요구됐다.
결론적으로 베게너의 이론은 다수의 지지를 얻지 못했으며 소수의 과학자들만이 베게너의 편을 들었다. 대륙 이동의 원동력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결정적으로 작용했고, 그가 기상학자라는 점 때문에, 대륙이동설은 수십 년 간 냉소를 받게 되었다.
본격적인 해저 탐사와 지질학의 발달로 인해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은 오늘날 판 구조론으로 재탄생했고 베게너는 오늘날 판 구조론의 아버지로 여겨지게 되었다'''. 베게너 이후 판 구조론이 정립되는 과정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라.
세네카의 저작에 따르면 탈레스는 땅은 물 위의 배처럼 떠다니며, 땅이 흔들리는 이유는 물의 움직임에 따라 요동치는 것이다라는 주장을 하였다고 한다.
[image]
최신버전
360도 영상
1. 개요
독일 기상학자 알프레트 베게너(Alfred Wegener)가 1912년도에 발표한 지질학적 모델이다. 가장 중요한 골자는 대륙이 '표이(drift)'했었다는 것이다.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대륙의 움직임을 주장한 근대적인 첫 번째 모델로 간주되며, '''오늘날 판 구조론 구축의 시작점'''으로 인정받고 있다.
2. 설명
대륙 혹은 최소한 땅덩이가 정적이지 않고 어떤 방식으로 움직여왔을 것이란 생각은 이전부터 있었다. 특히 알프스 산맥에서 발견되는 일련의 스러스트 단층, 즉 네프(nappe) 구조는 지각의 길이가 줄어들어야함을 말해주고 있었다. 또한 이전부터 대서양 양쪽에서 발견되는 고생물 분포와 구조적 성질을 기반으로 육교(land-bridge)와 같은 생각이 존재해 왔다. 실제로 곤드와나 대륙과 같은 명칭은 베게너 이전부터 제시된 것들이다. 이전의 저자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대서양 양쪽의 두 대륙에서 발견되는 공통점을 설명해야 했는데, 대륙 자체가 움직여 대서양이 펼쳐졌다고 결론 짓기보다는, 다른 방식의 설명을 도입하여 해결하려 했었다. 이에는 열팽창, 기조력, 육교 등이 포함된다. 최초로 이를 언급한 인물인 스니데르 펠레그리니라는 지질학자는 대홍수(...)가 흩어지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기상학자이자 천문학자였던 베게너는 1912년 대륙 이동설을 발표하면서 기존에 알려져 있었던 몇 가지 지질학적 사실들을 근거로 들었다. 이 근거들은 대부분 베게너에 의해 새롭게 연구된 것이라기보다는 이곳 저곳에 흩어진 자료를 취합한 것에 가깝다. 가장 대표적인 근거는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인도, 호주, 남극에 이르는 다양한 지역에서 같은 생물[1] 의 화석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또한 같은 퇴적암층(예컨대 빙하퇴적층)이나 지구조가 다른 대륙에서 똑같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애팔래치아 산맥에서 시작하여 스코틀랜드를 지나 노르웨이로 이어지는 고대 산맥도 대륙이동설에서 잘 맞아떨어지는 지구조였다.
그는 이와 같은 근거를 바탕으로 대서양이 없고 대륙들이 한데 몰려 있었던 시절이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 때의 큰 대륙을 판게아(Pangea)라고 명명했다. 그는 대륙들은 규소와 알루미늄이 풍부한 규장질 성분으로 되어 있고, 그 아래, 즉 바다 밑 땅에는 철과 마그네슘 등이 풍부한 고철질 암석들이 분포하여, 대륙은 그 고철질층 위에 얹어져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 규장질 층, 즉 대륙은 고철질 층 위를 표이하게 되는 것이다. 과거 지구에는 큰 대륙이 있었지만, 대륙이 표이하면서 찢어지고 지금에 이르렀다고 생각했다.
3. 한계
그의 이론은 놀랍도록 통찰력 있는 것이었지만, 당시 과학적 관측 기법의 한계 등으로 현대적 관점에서 사실과 차이가 나는 부분도 있다. 우선 대륙이 이동하는 속도가 너무 빨랐다. 그의 생각에 따르면 매년 2.5m를 대륙이 이동해야했다. 이는 후에 실제 관측된 것보다 수십배 빠른 속도였다. 또 하나의 문제는 고철질 위를 미끄러지는 규장질은 무엇이 밀고 있는가이다.[2] 즉, 이 대륙이 움직이기 위한 원동력이 턱없이 부족했다. 지구물리학의 모든 변수를 합해도 터무니없이 많은 에너지가 요구됐다.
결론적으로 베게너의 이론은 다수의 지지를 얻지 못했으며 소수의 과학자들만이 베게너의 편을 들었다. 대륙 이동의 원동력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결정적으로 작용했고, 그가 기상학자라는 점 때문에, 대륙이동설은 수십 년 간 냉소를 받게 되었다.
4. 이후
본격적인 해저 탐사와 지질학의 발달로 인해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은 오늘날 판 구조론으로 재탄생했고 베게너는 오늘날 판 구조론의 아버지로 여겨지게 되었다'''. 베게너 이후 판 구조론이 정립되는 과정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라.
5. 기타
세네카의 저작에 따르면 탈레스는 땅은 물 위의 배처럼 떠다니며, 땅이 흔들리는 이유는 물의 움직임에 따라 요동치는 것이다라는 주장을 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