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란스 내려

 

1. 개요
2. 유사한 농담
3. 인프라 마비 사례
4. 관련 문서


1. 개요


halting problem 컴퓨터가 절대 해결 못할 문제

당시 대학의 학과들이 통폐합되면서 학부제로 바뀔 때였다. 인서울인 모 대학의 통폐합 관련학과 교수들은 고민하고 있었다. 특히, 학과장들은 자신의 입지가 줄어드는 까닭에 애가 많이 탔다.

그 학교의 공대 중에서 전자공학과, 통신공학과, 전기공학과 이렇게 세 학과도 하나의 학부(전기전자통신공학부)로 통합되기에 이르렀다. 날이면 날마다 세 학과 학과장들은 모여서 머리를 맞대고 차후 대책을 논의했다. 세 학과장이 내심으로는 자신의 학과장입지가 어떻게 될지를 가장 궁금해했다.

그러던 어느 날, 세 학과장이 나란히 강단에 서서 특강을 하게되었다. 맨 처음 강단에 선 전자공학과장이 자신의 강의 말미에, 때는 이 때다 싶어 전자공학과의 존재 이유와 자신이 학부장이 되어야 하는 이유를 설파하기 시작했다.

"여러분, 지금은 바야흐로 전자의 시대입니다. 요즈음 일렉트로닉스라는 말을 빼고 말이 되는 게 거의 없습니다. 거의 많이들 사용하는 핸드폰만 해도 그렇습니다. 에... 만일, 전자공학이라는 학문이 발달하지 않았다면, 여러분들의 핸드폰은 탄생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 조그만 기계에 들어가는 전자회로 설계와 구성을 누가 했겠습니까?"

그는 전자공학과 학생들의 열렬한 박수를 받으며 강단을 내려왔다.

다음으로 강단에 선 통신공학과장은 강단에 서자마자 침을 튀기며 반론을 제기했다.

"여러분, 핸드폰 말씀이 나와서 말인데요, 아무리 회로구성이 되었다하더라도 그것이 하나의 핸드폰이라는 기계구실을 하려면 전파 등 통신이라는 매개체가 있어야 합니다. 아무리 정교하게 잘 설계된 전자회로의 핸드폰이라도 통신이 개입하지 않으면 그것은 그저 잘 만들어진 기계 아니, 장난감에 불과합니다!"

그는 통신공학과 학생들로부터 우레와 같은 박수를 받았다.

오후에 시작한 강의. 두 번의 강연을 거치면서 날은 어둑어둑 해졌고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각 학과장들의 열변의 목소리가 커져가면서, 어느새 강의실 전등도 환하게 켜졌다.

마지막으로 강단에 오른 백발의 노 교수인 전기공학과장, 앞의 두 학과장처럼 열변을 토하는 대신 팔짱을 낀 채, 심각한 표정으로 눈을 지그시 감고 있었다. 한창 술렁거리던 강의실이 점점 조용해지다가 급기야, 찬물을 끼얹은듯 조용해졌다. 그리고 한참 후에 전기공학과장이 버럭 소리쳤다.

'''"야, 조교! 가서 도란스 내려!"'''

두꺼비집이나 누전차단기를 의미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빌딩에는 고압을 수전해서 저압(220V)로 내려주는 변압기가 있다. 이걸 내리면 빌딩 내부의 모든 전기가 꺼진다. 그래서 내리면 모든 전기가 꺼지는 "누전차단기의 스위치를 내려라"는 이야기와 동의어가 된 것이다.
변압기, 즉 트랜스포머(Transformer)의 트랜스(Trans)를 일본어 식으로 읽은 게 도란스(トランス)인데, 이게 없으면 (즉, 전기가 없으면) 전자 기술도 통신 기술도 무용지물이다. 어떤 전자기기도 일단은 전기가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전기공학과장의 센스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더불어 인프라가 마비되거나 없어지면 그에 의존해야만 하는 모든 것이 발전할 수 없다는 의미로도 풀이될 수 있다.

당시 유머코드는 전기과의 갑질(?)보다는 다른 과는 영단어를 섞어가며 청산유수처럼 읊지만 정작 전기공학과는 '도란스'라는 일본어를 쓰며 앞뒤 설명 없이도 한마디로 상황을 정리한다는 데에 방점이 찍혀 있었다. 이는 당시 전기과가 공대에서 무식하기로 토목과, 기계과와 삼대 트리오를 이룬다는 정서 때문이었다. 간단히 요약해 보자면 토목과는 안전모 쓰고 삽질이나 하고, 기계과는 개과라 불리며 손에 기름칠하며 전기과는 전봇대 올라가 '뺀찌'질 한다는 것. 물론 구전되는 유머답게 내용 자체도 본문처럼 장황한 묘사는 없었다.[1] 즉 영어 읊어대며 엘레강스하게 굴어봤자 '전기과한텐 못 이겨'라는 정서가 짙은, 어찌 보면 자조적인 농담.

2. 유사한 농담


20세기 버전에선 전기통신공학부는 전파공학과였고, 핸드폰이 아니라 홈오토메이션 같은 주제를 썼다. 이유야 다른 거 없고, 90년대 당시 용어가 그랬기 때문이다. 대부분 학교에 존재하는 전자통신공학부의 옛 이름이 전파공학과였고, 홈 오토메이션(HA)는 그냥 요즘의 스마트홈 같은 것이다.[2]
이와 비슷한 유머가 다른 학과 버전도 존재한다.

제목: 신의 전공은 무엇인가?

철학자: 신은 철학자일 것이다. 인간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가를 제시해 주니까.

생물학자: 아니오, 신은 그 이전에 인간을 만들었소. 따라서 생물학자임이 틀림없소.

건축가: 하지만 신은 인간을 만들기 이전에 혼돈으로부터 이 세상을 만들었소. 따라서 신은 건축가요.

그러자 마지막으로 경제학자는 씩 웃으며 말했다.

경제학자: 그럼 ''' 그 혼돈누가 일으켰을까요? '''참고

변호사정치인 등의 버전도 있다. 공산주의 유머 중에도 있다.

3. 인프라 마비 사례


상술했듯, 기술이 의존하는 인프라가 마비되면 '도란스 내려' 상황이 실제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인프라 마비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소요사태로도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유머는 단순 농담이 아닌 블랙 코미디로 받아들이는 게 적절하다.
다음은 주요 인프라 마비 사례로, 하나같이 큰 불편을 야기한 사례들이다. 심지어 하나는 중대 재난에도 들어가는 사례이다.
'도란스 내려간' 대표적인 사례로 꼽자 하면 역시 이 사건을 꼽을 수 있다. 비록 전기 공급의 마비가 아닌 통신망의 파괴였지만, 그 파괴로 인해 주변 지역의 IT 인프라가 통째로 마비된 바 있다. 다른 것보다도 전기 및 통신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IT 기술이니만큼 이런 현상이 두드러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구글 인증 서버가 마비되면서 직속 서비스는 물론이고 구글 계정과 연동돼 있던 다른 모든 서비스 역시 통째로 마비되었다. 심지어 구글 홈을 쓰고 있던 한 사용자는 음성인식 기능이 완전히 죽자 TV도 못 켜고 보일러도 못 켜는 심각한 불편을 겪기도 했다. #
이에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넷플릭스법을 처음으로 적용해 구글에 대한 조사에 들어가기도 했다. 사실 해외 사업자의 망 사용 관련 무임승차 논란이 있어왔고, 넷플릭스가 그 논란의 중심에 있었는데, 정작 넷플릭스법의 첫 상대는 넷플릭스가 아닌 구글이 된 격이다.
전기 및 통신에 국한하지 않으면 이 역시 '도란스 내려간' 사례로 볼 수 있다. 택배를 비롯한 물류는 필연적으로 교통 인프라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데, 폭설로 인해 그 인프라가 마비되었기 때문이다.[3] 특히 수도권은 택배 수요량을 대부분 소화시키지 못할 정도로 시스템이 완전히 꼬여 버렸고, 그 중에서도 서울 강남의 경우 외제차의 길막으로 안 그래도 안 좋은 도로 상황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기도 했다.
상술한 한반도 한파 및 폭설은 '따위'로 보일 정도로, 정말로 도란스 내려가 중대 재난마저 선포된 사례. 겨울에도 기온이 영하로는 잘 안 내려가는 텍사스에서 기록적인 한파가 기록되었고, 이 때문에 발전소가 셧다운되면서 대규모 정전 사태가 일어났다. 이 때문에 전기료가 한때 200배 가까이 치솟고, 주민들은 가구까지 태워가며 몸을 녹이는 등 사회적 혼란마저 일어나는 중이다.

4. 관련 문서



[1] 가령, 끝까지 듣고만 있던 전기과 교수가 벌떡 일어나 "야. 도란스 내려!"라 말하며 강의실 문을 박차고 나갔다는 정도.[2] 데이터마이닝에 몇 가지 개념과 발전요소 첨가해 빅데이터란 새 이름으로 마케팅하는 거랑 비슷하다. 공장 자동화(팩토리오토메이션)란 자매품도 있었다.[3] 게다가 물류 쪽은 재택근무가 원천 불가능하기에 인력이 어떻게든 투입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고, 이 때문에 감염병으로도 충분히 '도란스가 내려갈'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