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덕선

 

1. 개요
3. 역 목록



1. 개요


허천역만덕역을 기점으로 하는 철도.
개통 시기는 불명이지만 북한교통연보에 따르면 전철화는 1989년에 이루어졌다. 이 때 단천청년역 - 허천역 - 만덕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몇몇 의문이 가는 부분이 있는 노선이기도 하다. 아래에 서술될 허천역에 존재하는 스위치백 시설이나, 허천역 - 부동역 사이의 터널의 문제라든가(부동역 문서 참고). 대개는 위성 사진으로 그러한 의문점이 해결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자면 신흥선장진선강삭철도 구간의 경우 여러 자료에서 제시되어 오던 강삭철도 구간이 어디에 정확히 존재하는지 확실하게 위성사진으로 규명되어 엔하위키에 작성된 경우. 그런데 만덕선의 경우는 운행체계나 터널의 현황 등을 알아야 이러한 의문점을 풀 수 있다는 점에서 다소 난감한 경우이다. 위성사진으로 터널을 볼 수는 없으니 말이다. 하긴 그걸 알고 있다면 허천역 인근에 살거나 철도총국 관계자라거나... 뭐 그런 사람들이겠지.
궤간은 1435mm 표준궤이며 상기 서술되었듯이 1989년 전철화되었다. 길이 10.3km. 이는 모든 터널이 직선이고 스위치백 구간을 포함했다는 전제 하에 계산된 거리.

2. 만덕선스위치백


일반적인 스위치백의 경우 N자형으로 되어 있어서 진입 → 후진 → 전진의 순서로 이동하게 된다. 만덕선의 스위치백은 특이하게도 이 중에서 "진입"에 해당하는 구간이 쏙 빠진 형태를 띄고 있다. 이는 만덕선이 기본적으로 단풍선의 지선으로 분류되기 때문인데, 전철화는 단천청년역에서 허천역까지 전철화된 후 남은 단풍선을 따라가는 게 아니라 엉뚱하게 만덕역 방향으로 이어지므로(...) 단천청년역을 출발한 전기철도의 종착역이 만덕역이라는 가정 하에 열차의 이동을 서술하도록 하겠다.
열차가 허천역으로 진입하면, 열차의 진행 방향으로 먼저 승강장의 왼쪽 부분에 선다. 승강장의 오른쪽 부분으로 서게 되면 스위치백을 이용할 수 없다.
구글 어스로 승강장 끝부분을 확대해서 잘 보면 두 개의 선로가 승강장측 선로로 합쳐지는 부분이 있는데, 바로 이게 스위치백의 핵심.
그 다음에 승객을 싣고 천천히 560m를 뒤로 후진하기 시작한다. 거리가 길고 높이차가 심해서 후진할 때 선로가 멀리 보이는 영동선의 스위치백 구간(도계역 - 심포리역 구간)과는 달리 이 허천역에서의 스위치백은 바로 옆에 나란히 깔린 선로가 허천역으로 들어올 때 사용한 선로이다.
이렇게 560m를 후진하면 선로의 끝부분에 다다른다. 1.5km 정도를 후진해야 해서 반드시 역무원이 있어야 하고 이 때문에 주위 역세권이 아예 없는 주제에 역이 설치되고 심지어 배치간이역 타이틀까지 획득한 흥전역나한정역과는 달리, 이 열차가 후진해야 하는 거리는 500m 정도이기 때문에 허천역에서 커버가 가능하고, 이 때문에 흥전역과는 달리 후진 완료 지점에 따로 역을 두지 않고 있다.
이제 후진을 완료했으면 선로를 바꾸고 좌측으로 달리기 시작하면 만덕역 방향으로 나가게 된다.
여담으로 이 스위치백 구간을 제외한 길이가 9.8km. 대부분의 자료는 이 때문에 만덕선의 길이를 9.8km로 잡고 있으나, 스위치백 구간을 넣으면 실제 길이는 약 10.3km이다.

3. 역 목록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만덕선 역 목록
역 명
역간거리
기점거리
종점거리
분기노선
비고
소재지
허 천
虛 川
기점
0.0
10.3
단풍선

함남 허천군
부 동
釜 洞
6.6
6.6
3.7


만 덕
滿 德
3.7
10.3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