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닥불
1. 잎사귀나 장작 등의 나뭇가지와 같은 땔감을 모아 놓고 피우는 불
Bonfire, Campfire
적당히 탈 만한 땔감을 모아 불을 붙이면 된다. 가장 원시적인 형태는 장작에 불을 붙이는 것인데, 장작 문서에서도 알 수 있듯 그냥 장작에는 불이 잘 붙지 않기 때문에 보통 불이 잘 붙는 불쏘시개를 이용해 장작에 불을 장시간 노출시켜 불이 붙게 만든다. 오늘날엔 석유를 착화제로 뿌려서 쉽게 불을 붙일 수 있다.
보통 야외에서 빛과 열을 얻기 위해 만들며, 살균이나 훈제 요리를 하거나 구난 신호를 보내기 위해 연기를 발생시키는 용도로도 만든다. 이 때문에 조난 상황에서 모닥불을 지피고 유지하는 것은 생존에 직결되는 굉장히 중요한 과제다.[1]
다양한 모닥불 피우는 법.
아무런 준비 없이 즉석에서 모닥불을 지피는 것은, 경험이 없다면 의외로 어려운 일이다.[2] 잔가지, 낙엽, 종이 등 쉽게 불이 붙지만 빨리 타 없어지는 불쏘시개를 구하고선, 느리고 오래타는 장작도 구해야 한다. 불쏘시개와 같은 점화제 없이 장작에 불 붙이기는 고역이며, 장작 없이 불쏘시개만으로는 불이 금방 꺼지고 만다.
장작의 경우 최대한 물기가 없는 마른 나무를 구하는게 좋다. 젖은 나무는 하얀 연기를 대량 발생시키며, 불 온도가 낮아지고 탁탁 거리며 폭발하기도 한다. 혹여나 마른 나무를 많이 구할 수 없다면, 젖은 가지를 건조시킬 수 있게 불 주변에 두어 열로 말린 다음 사용하면 된다.
설령 연기를 내는 것이 목적이라도 젖은 가지를 마구 불에 던져넣는 것은 좋지 않다. 불 자체가 약해지기 때문에 연기가 많이 발생하지 않는다. 일단 마른 장작으로 안정적인 불을 만든 다음, 그 위에 싱싱한 젖은 가지나 잎, 풀 등을 얹도록 하자.
과거 부루스타같은 실외용 조리기구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야외에서 요리를 조리하기 위해 필수적이었다. 이런 야외 조리기구가 이미 상용화된 오늘날에도 특유의 운치 덕분에 바비큐, 마시멜로등을 구워먹는데 쓰인다.[3]
대한민국에서는 조난상황이거나 특별히 허가를 받은 상황이 아니라면 함부로 피웠다가는 경찰서 정모를 할 수도 있으니 주의할 것.
애초에 경찰 없는 외지가 아닌 이상 모닥불은 안피우는게 정신건강에 이로울것이다.
중세 시대를 무대로 한 모험극에서는 클리셰처럼 자주 등장한다. 여행 중 야영을 하기 위해 모닥불을 피우고 그 사이에 등장인물의 과거나 앞으로의 계획을 이야기하거나 불시에 습격을 받는 등의 전개가 나오는 일이 대부분. 실제로 모닥불에 옹기종기 모여서 불을 바라보는 행위는 밤에 기습을 받을 위험이 있는 곳이라면 상당히 위험한 행동이다. 사람의 눈은 밝기에 적응하기 때문에 불을 바라보고 있다가 갑자기 불이 꺼지면 적응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되고, 그동안 눈뜬 장님이 되어버리기 때문. 또 모닥불은 주변을 환하게 만들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눈에 띈다.
다만 그 일대의 야생동물을 경계해야 한다면 모닥불은 주변을 살피는 조명이자 유사시에 좋은 무기가 될 수 있다. 물론 곰 같이 엄청 큰 맹수들의 경우 때에 따라 불을 보거나 들이밀어도 겁먹지 않고 달려들 수도 있으니 조심해야한다.
오히려 모닥불 때문에 호랑이나 곰 등의 맹수가 호기심을 갖고 다가올수도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바다 한가운데는 모닥불을 피우기 최적의 장소다. 바다 위에서는 나무같이 불에 탈만한 가연성 물질이 없고 또한 사방이 물이라서 화재위험도 없다. 사방이 물이기에 경찰이나 맹수가 없다는 것도 강력한 장점. 때문에 여기서는 모닥불을 피워도 방화미수라고 경찰이 출동하거나 맹수가 호기심을 갖고 몰려올 위험이 없다. 즉 법적불이익이나 맹수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하다.
2. 백석의 시
아래는 그 전문이다.
새끼오리도 헌신짝도 소똥도 갓신창도 개니빠디도 너울쪽도 짚검불도 가랑잎도 머리카락도 헝겊조각도 막대꼬치도 기와장도 닭의짗도 개터럭도 타는 모닥불
재당도 초시도 문장늙은이도 더부살이 아이도 새사위도 갓사둔도 나그네도 주인도 할아버지도 손자도 붓장사도 땜쟁이도 큰개도 강아지도 모두 모닥불을 쪼인다
모닥불은 어려서 우리 할아버지가 어미아비 없는 서러운 아이로 불쌍하니도 몽둥발이가 된 슬픈 역사가 있다.
3. 상록수의 VOCALOID 오리지널 곡
상록수가 작곡한 시유 오리지널 곡. 부모님에 관한 곡이다.
상록수 본인이 유튜브에서 내려서 지금은 들을 수 없다.